<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 |
이름 | 스테판 랑비엘(Stèphane Lambiel) |
국적 |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
출생 | 1985년 4월 2일 ([age(1985-04-02)]세) |
마르티니 | |
신체 | 175cm |
종목 | 피겨 스케이팅 |
은퇴 | 2010년 3월 9일 |
링크 |
[clearfix]
1. 개요
스위스의 前 남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이다. 은퇴한 이후로는 안무가 및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2. 평가
특이하게 점프와 스핀을 양방향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스케이팅 스킬과 프로그램 해석 능력이 돋보였던 선수로, 트레이드 마크로 꼽힐 정도로 훌륭한 스핀, 난이도가 있는 스텝 시퀀스[1],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섬세한 표현력과 안무 수행 능력이 장점이자 특징이었다. 특히 스핀은 평균 레벨 4와 평균 가산점 1.40점을 자랑하며, 이 분야에 있어서는 남자 싱글 역대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3. ISU 공인 최고 점수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ISU 공인 최고 점수 | |
쇼트 | 84.63(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
프리 | 162.09(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
총점 | 246.72(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
4. 프로그램
은퇴 이후 | |||
시즌 | 갈라(EX) | ||
<colbgcolor=#000000> 2019-2020 | Down the Road by C2C | ||
베토벤 현악 사중주 1번 by 루트비히 판 베토벤 | |||
2018-2019 | 슈베르트 즉흥곡 D.899 by 프란츠 슈베르트 | ||
I Love You by Toshi | |||
Goodbye My Lover by 제임스 블런트 | |||
Down the Road by C2C | |||
Son of God by 마이클 스미스 | |||
Merry Christmas Mr. Lawrence by 사카모토 류이치 | |||
Ne Me Quitte Pas by 자크 브렐 | |||
2017-2018 | 녹턴 by 프레데리크 쇼팽 | ||
Slave to the Music by 제임스 모리슨 | |||
Read All About It, Pt. III by Emeli Sandé | |||
쉰들러 리스트 by 존 윌리엄스 | |||
"Echo and Narcissus" - Cheek to Cheek by 어빙 벌린 | |||
"Penelope and Ulysses" - Casta Diva by Vincenzo Bellini | |||
2016-2017 | Sometimes It Snows in April by Prince, Wendy & Lisa | ||
Merry Christmas Mr. Lawrence by 사카모토 류이치 | |||
Slave to the Music by 제임스 모리슨 | |||
사계 by 안토니오 비발디 | |||
Let It Snow! Let It Snow! Let It Snow! by Jule Styne, Sammy Cahn | |||
네순 도르마 by 자코모 푸치니 | |||
Thinking Out Loud by 에드 시런 | |||
Bring Me to Life by Evanescence | |||
2015-2016 | 포에타(플라멩코) by Vicente Amigo | ||
La valse by 모리스 라벨 | |||
Nobody's Perfect by 제시 제이 | |||
Gone Too Soon by 마이클 잭슨 | |||
네순 도르마 by 자코모 푸치니 | |||
Take Me to Church by Hozier | |||
2014-2015 | Prelude in G minor, Op. 23, No.5 by 세르게이 라흐미나노프 | ||
Sense by 톰 오델 | |||
Try by Nelly Furtado | |||
네순 도르마 by 자코모 푸치니 | |||
Say I Wanna Know by Nick Waterhouse | |||
2013-2014 | The Water by Hurts | ||
피아노 협주곡 by 에드바르 그리그 | |||
아베 마리아 by 프란츠 슈베르트 | |||
Votre toast(from Carmen) by Georges Bizet | |||
2012-2013 | 코러스 라인 by Marvin Hamlisch | ||
Run by 리오나 루이스 | |||
Paint it, Black by 롤링 스톤스 | |||
Caruso by Lucio Dalla | |||
Je veux vivre(Roméo et Juliette OST) by Charles Gounod | |||
2011-2012 | Something Got Me Started by 심플리 레드 | ||
Puttin' on the Ritz (Summertime, Alejandro, Puttin' on the Ritz) | |||
My Body Is a Cage by 아케이드 파이어 | |||
La donna è mobile by 주세페 베르디 | |||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by 표트르 차이콥스키 | |||
2010-2011 | Prelude in G minor, Op. 23, No.5 by 세르게이 라흐미나노프 | ||
Don't Stop the Music by Jamie Cullum | |||
Trouble by 지마 빌란 | |||
I'll Stand By You by Kim Wilde | |||
Last Dance by 도나 서머 | |||
Bring Me to Life by Evanescence | |||
현역 시절 | |||
시즌 | 쇼트(SP) | 프리(FS) | 갈라(EX) |
2009-2010 | 윌리엄 텔 서곡 by 조아키노 로시니 | 라 트라비아타 by 주세페 베르디 | Get Me Bodied by 비욘세, Swizz Beatz, Sean |
Let the Good Times Roll by Sam Theard & Fleecie Moore | |||
Otoño Porteño 아스토르 피아졸라 | In Your Eyes by Anastacia & Glen Ballard | ||
Ne Me Quitte Pas by 자크 브렐 | |||
2008-2009[2] | - | - | Otoño Porteño 아스토르 피아졸라 |
Tainted Love by 폴 영 | |||
Freak Like Me by Sugababes | |||
2007-2008 | Carne Cruda by Fernando Egozcue | 포에타(플라멩코) by Vincente Amigo | Un Giorno Per Noi by 조시 그로번 |
Father and Son by 로넌 키팅 | |||
Gimme More & Sexy Back by 브리트니 스피어스 & 저스틴 팀버레이크 | |||
2006-2007 | 지젤 드라마 by Christine Lauterburg | Fix You by 콜드플레이 | |
New Shoes by 파올로 누티니 | |||
The Blood Diamond by 제임스 뉴턴 하워드 | 사계 by 안토니오 비발디 | Stayin' Alive by 로빈 깁 | |
2005-2006 | Dralion(태양의 서커스) | You're Beautiful by 제임스 블런트 | |
If I Hadn't Got You by 리사 스탠스필드 | |||
Malaguena by Maxime Rodriguez | I don't want to be by 개빈 더그로 | ||
Fix You by 콜드플레이 | |||
2004-2005 | Spanish Caravan by 조지 윈스턴 | 아서왕 by 한스 짐머 | E Lucevan e Le Stelle(토스카) by Florent Pagny |
Light My Fire by The Doors | |||
Killer by Seal | |||
트루먼 쇼 by 필립 글래스, Burkhard Dallwitz | Billie Jean by 마이클 잭슨 | ||
Oceania by Björk | |||
2003-2004 | I'm a Doun For Lack o' Johnnie (A Little Scottish Fantasy) by 바네사 메이 | • Zabuca by 요하네스 린스테드 • Loving Paris (From Buddha Bar IV) | Take the Long Way Home by Supertramp |
Objection by Shakira | 집시 댄스 by Edvin Marton | ||
2002-2003 | Laissez-moi Me Griser by Maurice El Medioni, Orchestra Salon Oriental | Chocolat by Rachel Portman | Magic Stradivarius by Edvin Marton |
피아노 협주곡 by E. Künnecke | La Vie Fait Ce Qu'Elle Veut by Julie Zenatti | ||
2001-2002 | • Vuelvo Al Sur • Ya Basta! by Gotan Project's Revancha del Tango | Quidam by Benoit Jutras(태양의 서커스) | Born by Bond |
1999~2001 | La Cumparsita by Xavier Cugat | Triton by Joseph Racaille | - |
5. 커리어
올림픽 | ||
은메달 | 2006 토리노 | 남자 싱글 |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05 모스크바 | 남자 싱글 |
금메달 | 2006 캘거리 | 남자 싱글 |
동메달 | 2007 도쿄 | 남자 싱글 |
유럽선수권 | ||
은메달 | 2006 리옹 | 남자 싱글 |
은메달 | 2008 자그레브 | 남자 싱글 |
은메달 | 2010 탈린 | 남자 싱글 |
그랑프리 파이널 | ||
금메달 | 2005-06 도쿄 | 남자 싱글 |
금메달 | 2007-08 토리노 | 남자 싱글 |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96–97 | 97–98 | 98–99 | 99–00 | 00–01 | 01–02 | 02–03 | 03–04 | 04–05 | 05–06 | 06–07 | 07–08 | 08–09 | 09–10 |
올림픽 | 15th | 2nd | 4th | |||||||||||
세계선수권 | 18th | 10th | 4th | 1st | 1st | 3rd | 5th | |||||||
유럽선수권 | 9th | 4th | 5th | 6th | 4th | 2nd | 2nd | 2nd | ||||||
GP 파이널 | 1st | 1st | ||||||||||||
GP 스케이트 캐나다 | 1st | |||||||||||||
GP 컵 오브 차이나 | 2nd | 3rd | ||||||||||||
GP 컵 오브 러시아 | 5th | 2nd | 2nd | |||||||||||
GP 트로피 랄리크 | 6th | |||||||||||||
네벨혼 트로피 | 1st | |||||||||||||
이토일스 글레이스 | 1st | |||||||||||||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 1st | |||||||||||||
핀란디아 트로피 | 11th | |||||||||||||
국제대회:주니어, 노비스 | ||||||||||||||
주니어 세계선수권 | 10th | 5th | ||||||||||||
JGP 멕시코 | 2nd | |||||||||||||
JGP 일본 | 3rd | |||||||||||||
JGP 노르웨이 | 7th | |||||||||||||
JGP 중국 | 8th | |||||||||||||
JGP 프랑스 | 8th | 9th | ||||||||||||
유러피언 유스 올림픽 페스티벌 | 2nd J | |||||||||||||
트리글라브 트로피 | 1st N | 3rd N | ||||||||||||
국내대회 | ||||||||||||||
스위스선수권 | 1st N | 1st J | 1st J | 1st | 1st | 1st | 1st | 1st | 1st | 1st | 1st | 1st | ||
단체전 | ||||||||||||||
재팬 오픈 | 3rd T 1st P | 2nd T 2nd P | 1st T 1st P | |||||||||||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T=팀 결과, P=개인 결과, J=주니어, N=노비스 |
6. 소속 선수
6.1. 은퇴/이적 선수들
6.2. 코칭 선수 수상 기록
대회 | 금 | 은 | 동 |
올림픽 | <colbgcolor=#ffe970,#c3a100> 0 | <colbgcolor=#c0c0c0,#555555> 1 | <colbgcolor=#d7995b,#6d441a> 1 |
세계선수권 | 2 | 0 | 0 |
유럽선수권 | 0 | 0 | 1 |
그랑프리 파이널 | 1 | 1 | 0 |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0 | 0 | 1 |
합계 | 3 | 1 | 3 |
올림픽 | |||
은메달 | 2022 베이징 | 단체전 | |
동메달 | 2022 베이징 | 남자 싱글 | |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22 몽펠리에 | 남자 싱글 | |
금메달 | 2023 사이타마 | 남자 싱글 | |
유럽선수권 | |||
동메달 | 2022 탈린 | 남자 싱글 | |
그랑프리 파이널 | |||
금메달 | 2022-23 토리노[3]] | 남자 싱글 | |
은메달 | 2023-24 베이징 | 남자 싱글 | |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
동메달 | 2018-19 밴쿠버 | 남자 싱글 |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 하계 올림픽 | |||||
1908 | 1908 런던 | 1920 | 1920 안트베르펀 | |||
동계 올림픽 | ||||||
1회 | 1924 샤모니 | <colbgcolor=#3c3b6e,#141425> 2회 | 1928 생모리츠 | |||
3회 | 1932 레이크플래시드 | 4회 | 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
5회 | 1948 생모리츠 | 6회 | 1952 오슬로 | |||
7회 | 1956 코르티나담페초 | 8회 | 1960 스쿼밸리 | |||
9회 | 1964 인스브루크 | 10회 | 1968 그르노블 | |||
11회 | 1972 삿포로 | 12회 | 1976 인스브루크 | |||
13회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14회 | 1984 사라예보 | |||
15회 | 1988 캘거리 | 16회 | 1992 알베르빌 | |||
17회 | 1994 릴레함메르 | 18회 | 1998 나가노 | |||
19회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20회 | 2006 토리노 | |||
21회 | 2010 밴쿠버 | 22회 | 2014 소치 | |||
23회 | 2018 평창 | 24회 | 2022 베이징 | |||
25회 | 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 26회 | 2030 알프스 | |||
피겨 스케이팅 주요 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회(1896년) ~ 50회(1945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 1896 상트페테르부르크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 1897 스톡홀름 | ||
3회 | 1898 런던 | 4회 | 1899 다보스 | |||
5회 | 1900 다보스 | 6회 | 1901 스톡홀름 | |||
7회 | 1902 런던 | 8회 | 1903 상트페테르부르크 | |||
9회 | 1904 베를린 | 10회 | 1905 스톡홀름 | |||
11회 | 1906 뮌헨 | 12회 | 1907 빈 | |||
13회 | 1908 트로파우 | 14회 | 1909 스톡홀름 | |||
15회 | 1910 다보스 | 16회 | 1911 베를린 | |||
17회 | 1912 맨체스터 | 18회 | 1913 빈 | |||
19회 | 1914 헬싱키 | 20회 | 1915 | 취소WWI | ||
21회 | 1916 | 취소WWI | 22회 | 1917 | 취소WWI | |
23회 | 1918 | 취소WWI | 24회 | 1919 | 취소WWI | |
25회 | 1920 | 취소WWI | 26회 | 1921 | 취소WWI | |
27회 | 1922 스톡홀름 | 28회 | 1923 빈 | |||
29회 | 1924 맨체스터 | 30회 | 1925 빈 | |||
31회 | 1926 베를린 | 32회 | 1927 다보스 | |||
33회 | 1928 베를린 | 34회 | 1929 런던 | |||
35회 | 1930 뉴욕 | 36회 | 1931 베를린 | |||
37회 | 1932 몬트리올 | 38회 | 1933 취리히 | |||
39회 | 1934 스톡홀름 | 40회 | 1935 부다페스트 | |||
41회 | 1936 파리 | 42회 | 1937 빈 | |||
43회 | 1938 베를린 | 44회 | 1939 부다페스트 | |||
45회 | 1940 | 취소WWII | 46회 | 1941 | 취소WWII | |
47회 | 1942 | 취소WWII | 48회 | 1943 | 취소WWII | |
49회 | 1944 | 취소WWII | 50회 | 1945 | 취소WWII | }}}}}}}}} |
51회(1946년) ~ 100회(1995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1회 | 1946 | 취소WWII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2회 | 1947 스톡홀름 | |
53회 | 1948 다보스 | 54회 | 1949 파리 | |||
55회 | 1950 웸블리 | 56회 | 1951 밀라노 | |||
57회 | 1952 파리 | 58회 | 1953 다보스 | |||
59회 | 1954 오슬로 | 60회 | 1955 빈 | |||
61회 | 195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62회 | 1957 콜로라도 스프링스 | |||
63회 | 1958 파리 | 64회 | 1959 콜로라도 스프링스 | |||
65회 | 1960 밴쿠버 | 66회 | 1961 프라하 | 취소사베나 548편 사고 | ||
67회 | 1962 프라하 | 68회 | 1963 코르티나담페초 | |||
69회 | 1964 도르트문트 | 70회 | 1965 콜로라도 스프링스 | |||
71회 | 1966 다보스 | 72회 | 1967 빈 | |||
73회 | 1968 제네바 | 74회 | 1969 콜로라도 스프링스 | |||
75회 | 1970 류블랴나 | 76회 | 1971 리옹 | |||
77회 | 1972 캘거리 | 78회 | 1973 브라티슬라바 | |||
79회 | 1974 뮌헨 | 80회 | 1975 콜로라도 스프링스 | |||
81회 | 1976 예테보리 | 82회 | 1977 도쿄 | |||
83회 | 1978 오타와 | 84회 | 1979 빈 | |||
85회 | 1980 도르트문트 | 86회 | 1981 하트퍼드 | |||
87회 | 1982 코펜하겐 | 88회 | 1983 헬싱키 | |||
89회 | 1984 오타와 | 90회 | 1985 도쿄 | |||
91회 | 1986 제네바 | 92회 | 1987 신시내티 | |||
93회 | 1988 부다페스트 | 94회 | 1989 파리 | |||
95회 | 1990 핼리팩스 | 96회 | 1991 뮌헨 | |||
97회 | 1992 오클랜드 | 98회 | 1993 프라하 | |||
99회 | 1994 치바 | 100회 | 1995 버밍엄 | }}}}}}}}} | ||
101회(1996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01회 | 1996 에드먼턴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02회 | 1997 로잔 | ||
103회 | 1998 미니애폴리스 | 104회 | 1999 헬싱키 | |||
105회 | 2000 니스 | 106회 | 2001 밴쿠버 | |||
107회 | 2002 나가노 | 108회 | 2003 워싱턴 D.C. | |||
109회 | 2004 도르트문트 | 110회 | 2005 모스크바 | |||
111회 | 2006 캘거리 | 112회 | 2007 도쿄 | |||
113회 | 2008 예테보리 | 114회 | 2009 로스앤젤레스 | |||
115회 | 2010 토리노 | 116회 | 2011 모스크바 | |||
117회 | 2012 니스 | 118회 | 2013 런던 | |||
119회 | 2014 사이타마 | 120회 | 2015 상하이 | |||
121회 | 2016 보스턴 | 122회 | 2017 헬싱키 | |||
123회 | 2018 밀라노 | 124회 | 2019 사이타마 | |||
125회 | 2020 몬트리올 | 취소COVID-19 | 126회 | 2021 스톡홀름 | ||
127회 | 2022 몽펠리에 | 128회 | 2023 사이타마 | |||
129회 | 2024 몬트리올 | 130회 | 2025 보스턴 | |||
131회 | 2026 프라하 | 132회 | 2027 | }}}}}}}}} | ||
피겨 스케이팅 주요 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 1995-96 파리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 1996-97 해밀턴 | ||
3회 | 1997-98 뮌헨 | 4회 | 1998-99 상트페테르부르크 | |||
5회 | 1999-00 리옹 | 6회 | 2000-01 도쿄 | |||
7회 | 2001-02 키치너 | 8회 | 2002-03 상트페테르부르크 | |||
9회 | 2003-04 콜로라도 스프링스 | 10회 | 2004-05 베이징 | |||
11회 | 2005-06 도쿄 | 12회 | 2006-07 상트페테르부르크 | |||
13회 | 2007-08 토리노 | 14회 | 2008-09 고양 | |||
15회 | 2009-10 도쿄 | 16회 | 2010-11 베이징 | |||
17회 | 2011-12 퀘벡 | 18회 | 2012-13 소치 | |||
19회 | 2013-14 후쿠오카 | 20회 | 2014-15 바르셀로나 | |||
21회 | 2015-16 바르셀로나 | 22회 | 2016-17 마르세유 | |||
23회 | 2017-18 나고야 | 24회 | 2018-19 밴쿠버 | |||
25회 | 2019-20 토리노 | 26회 | 2020-21 베이징 | 취소COVID-19 | ||
27회 | 2021-22 오사카 | 취소COVID-19 | 28회 | 2022-23 토리노 | ||
29회 | 2023-24 베이징 | 30회 | 2024-25 그르노블 | |||
31회 | 2025-26 나고야 | 32회 | 2026-27 | |||
피겨 스케이팅 주요 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 |
스위스선수권 남자 싱글 챔피언 | ||||
| ||||
파트리크 마이어 (1999) | → | 스테판 랑비엘 (2000~2007) | → | 자말 오스먼 (2008) |
자말 오스먼 (2008) | → | 스테판 랑비엘 (2009) | → | 미카엘 레딘 (2010) |
[1] 조건만 대충 맞춰도 레벨 4가 나오는 지금과 달리 당시에는 스텝 레벨 4를 잘 주지 않았다.[2] 부상으로 은퇴한 후 2009-10 시즌에 다시 복귀하였다.[3] 본인이 우승한 2007-08 그랑프리 파이널이 열렸던 경기장에서 시즌 제자도 똑같이 우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