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00:07:34

스즈키 에브리

파일:스즈키 주식회사 로고.svg
파일:에브리6세대.jpg
EVERY

1. 개요2. 역사
2.1. 캐리 밴 (1964~1982/1993)2.2. 1세대 (1982~1985)2.3. 2세대 (1985~1991)2.4. 3세대 (1991~1999)2.5. 4세대 (1999~2005)2.6. 5세대 (2005~2015)2.7. 6세대 (2015~현재)
3. 제원4. 미디어5. 둘러보기


Suzuki Every
Mazda / Autozam Scrum
Nissan Clipper Van / NV100 Clipper
Mitsubishi Minicab

1. 개요

스즈키 에브리는 1982년[1] 스즈키[2]에서 제조, 판매한 원박스형 경차이다. 승용차 모델과 상용차 모델이 라인업으로 있어, 상용은 에브리, 승용은 에브리 왜건(EVERY WAGON)으로 부른다. 현 시점에서 6세대[3]까지 51년의 역사가 있고, 경차 중에서는 네 번째로 수명이 긴 차명이다.

마쓰다에 OEM 공급을 하고 있는 스크럼, 닛산에 OEM 공급을 하고 있는 클리퍼 밴, 클리퍼 리오, 미쓰비시 자동차에 OEM 공급을 하고 있는 미니캡 / 타운 박스는 이 차량을 기초로 엠블럼이나 일부 외장 파츠를 바꾼 것이다.

한국 대우국민차에서는 2세대를 다마스(DAMAS) 라는 명칭으로 2021년까지 라이선스 생산했다. 대만에서도 포드 프론토라는 명칭으로 2세대부터 4세대까지 현지생산되었다.

2. 역사

2.1. 캐리 밴 (1964~1982/1993)

1964년에 스즈라이크 캐리밴으로 데뷔한 것이 시초이며, 1968년에는 현재의 이름인 캐리밴으로 변경되었다. 1982년 마이너 체인지 때 상위 트림이 '에브리'로 바뀌었다. 비즈니스 밴 사양은 여전히 캐리 밴 명칭으로 판매되다가 1993년에 3세대 에브리 밴으로 개명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2. 1세대 (1982~1985)

파일:스즈키에브리1.jpg
1세대 에브리
페이스리프트 이전 사양인 캐리 밴의 광고

1982년, 캐리밴의 상급 사양으로서 등장. 인도에서는 1985년에 800cc 엔진을 탑재한 '옴니'라는 명칭으로 생산, 발매개시해 2019년까지 판매했으며, 파키스탄에서는 보란이란 이름으로 2024년까지 생산했다.

2.3. 2세대 (1985~1991)[4]

1985년 최초 출시 광고
1986년 조이팝 사양 출시 광고

1985년 (쇼와 60년): 풀모델 체인지. 스즈키의 기존 경상용차 차종인 캐리의 나머지 승합/밴 모델 라인업도 이 차종으로 합류했다. 즉, 캐리의 승합 모델과 에브리 1세대의 통합 후속이다.

1986년 (쇼와 61년): 컬러드 범퍼등 특별장비가 장착된 트림 '조이팝' 추가

1988년 (쇼와 63년): 마이너 체인지. 임파네의 디자인이 대폭적으로 변경된 것 외에 내외장 등 조금씩 변경. 일부 상위 트림은 기통당 3밸브 엔진이 적용되었다. 엔진 형식은 종래와 같은 F5A형이다.

1989년 (쇼와 64년/헤이세이 원년): F5A 엔진을 보어를 확대하고 스트로크를 단축시킨 F5B 엔진으로 교체하여 성능을 향상시켰고, 타 차종에서는 선택사양이었던 카세트 데크를 기본화하는 등 오디오 장비를 충실화한 조이팝 사운드 사양을 발매했다. 상위 트림에는 사각형 헤드램프를 적용했고, 하위 트림의 헤드램프 베젤도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그리고 6월에는 마쓰다에 오토잼 스크럼이라는 명칭으로 오래 전에 판매되었던 마쓰다 포터 캡의 후계 차종으로써 OEM 공급을 시행했다. 당초에는 마쓰다 브랜드로 판매되어서 차량에 마쓰다와 오토잼 스티커가 같이 붙여져 있었다.

1991년 (헤이세이 3년): 3월에 소폭 변경을 거쳤고, 9월에 3세대의 출시로 단종되었다. 11월에는 대우국민차에서 이 차량의 라이센스를 구입하여 GM대우, 한국GM으로 바뀐 이후에도 다마스라는 명칭으로 2021년 상반기까지 생산했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다.

1993년 (헤이세이 5년): 에브리 본판이 단종된 지 2년 뒤에 베드포드 라스칼을 1999년까지 재생산했다.

대만에서는 포드 프론토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2.4. 3세대 (1991~1999)

1991년 출시되었고, 승합 사양인 에브리와 밴 사양인 캐리 밴이 분리되어 판매되었던 마지막 세대이다. 둘의 차이점은 에브리는 후방 좌석이 좌우 분할형이었던 데다 헤드레스트를 겸비한 등 승용차 지향이었고, 로고가 S 로고였음에 비해 캐리 밴은 좌우 일체형 로우백에 SUZUKI 로고를 다는 등 상용차의 색채를 유지했다는 것이다. 이는 1993년 모델 통합 후에도 이어졌다. 또한 역대 에브리 및 캐리 중 최초이자 유일하게 가로배치 리어 미드쉽 엔진 방식을 채용했는데, 이는 RR 방식이었던 스바루 삼바와 센터 미드쉽 방식이었던 혼다 액티를 절충한 방식이었다.

1993년에 이전 세대에도 있었던 조이팝 사양이 다시 추가되었고, 비즈니스 밴 사양인 캐리 밴이 라인업에 합류했다.

1997년 마쓰다-오토잼 스크럼은 오토잼 브랜드의 해산에 따라 마쓰다 스크럼으로 개명했고, 이는 현재까지 이어진다.

2.5. 4세대 (1999~2005)

파일:에브리4세대.jpg

1999년 1월 6일 당시 경차 규격 개정 시기보다 3개월 늦게 출시되었다. 엔진은 여전히 앞좌석 아래에 위치하나, 세미캡 디자인으로 변화된 데다 차체 경량화 및 강성화를 하여 충돌안전성을 확보했다. 6월에는 승용 사양인 에브리 왜건이 추가되었는데, 사양은 조이팝 터보와 조이팝 에어로 터보 2가지였다. 또한 조인 사양은 상용 모델의 최상위 트림으로 출시되어 파워윈도우, 풀 휠캡, 키리스 엔트리, 카세트 스테레오를 적용했다. 그리고 1300cc 7인승 소형 사양인 에브리 플러스도 추가되었다.

2000년에는 일부 사양 개선 및 회사 창립 80주년 기념 특별 모델을 출시하였고, 3단 자동만 있는 장애인 복지 차량 후석 리프트 업 차량도 추가했다. 그리고 2001년 9월, K6A 엔진으로 바뀌었다.

2005년 5세대 차량이 출시되어 단종되었고, 1986년에 출시되어 이어져 온 특별 사양 조이팝은 이 세대를 끝으로 사라졌다.

2.6. 5세대 (2005~2015)

파일:에브리5세대.jpg
2005년 8월 26일 출시되었다. 전세대의 둥근 디자인에서 각진 디자인으로 변경했고, 역대 에브리 중 생산 기간이 가장 긴 모델이었다. 승용 사양은 경미니밴 컨셉을 표방하고 개발되었으며, 이에 따라 경차 최초로 파워슬라이드 도어를 적용했다. PZ 터보는 왼쪽, PZ 스페셜 터보는 양쪽에 달린 것이 특징이다. 이 세대부터 홍콩마카오에 660cc 사양 그대로 수출되기 시작했다.

2013년에는 기존의 마쓰다 스크럼에 이어 닛산닛산 NV100 클리퍼NV100 클리퍼 리오로 OEM 공급하기 시작했고, 이어서 2014년에는 미쓰비시 자동차미쓰비시 미니캡타운 박스로도 공급을 개시하여 일본에서는 보기 드문 4형제 차량이 되기에 이르렀다.

2.7. 6세대 (2015~현재)

파일:에브리6세대.jpg

R06A 엔진이 탑재됐다.

일본의 국민 상용차가 화려하게(?) 복귀했다. 경차라 혜택도 좋은데다 값도 싸고, 동급 대비 뛰어난 공간적재 능력에 괜찮은 성능으로 자영업자, 배달원, 산업현장 등에서 엄청난 사랑을 받으면서 일본 내 위상이 한국의 포터급으로 상승하는, 그야말로 초대박을 터뜨렸다.

전 세대처럼 닛산, 미쓰비시, 마쓰다에 배지 엔지니어링으로 공급된다. 이름과 세부사항만 다를 뿐, 여타 사양은 같기에 호환성도 뛰어난 편. 그중 스즈키 에브리가 가장 많다.

또한 이전부터 장착되어 왔던 에어백과 더불어 차량 및 보행자를 감지하는 긴급제동장치가 설치되었다.

2024년 2월 말에 CVT가 추가됐다.

그리고 동년 10월부터는 파키스탄에서 보란의 후속으로 생산되기 시작하였으며, 알토처럼 일본 규격 그대로 생산된다.

3. 제원

[ '24.10 파키스탄 시장용 제원 펼치기 · 접기 ]
||<-2><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fff,#1c1d1f><#ffffff> EVERY/15세대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생산지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코드네임
차량형태
승차인원
전장 3,395mm
전폭 1,475mm
전고 1,895mm
축거 2,430mm
윤거(전) 1,310mm
윤거(후) 1,290mm
공차중량
연료탱크 용량 35L
타이어 크기 145R12C 86/84S
플랫폼
구동방식 FR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후륜 현가장치 토션빔
전륜 제동장치 디스크
후륜 제동장치 드럼
파워트레인
<rowcolor=#ffffff>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R06A 0.7L 직렬 3기통 자연흡기 658cc 32kW 58N·m 5단 수동


4. 미디어

【최애의 아이】 1기 7화에서 육교 아래로 지나가는 차량으로 등장한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3399><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3399>
파일:스즈키 주식회사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급 생산차량 단종차량
<colbgcolor=#003399> 경차 알토 · 알토 라팡 · 왜건 R · 셀레리오 · 스페이시아 스즈라이트 · 세르보/세르보 모드 · 프론테 · 케이 · MR 왜건 · 트윈 · 팔레트 · 스플래시
소형차 스위프트(스위프트 스포트) · 시아즈/알리비오 · 발레노 컬투스(1~2세대) · 프론테 800 · · 스위프트+ · SX4
준중형차 스웨이스 컬투스(3세대)/이스팀 · 포렌자/레노 · 에어리오/리아나
중형차 - 베로나 · 키자시
스포츠카 - 카푸치노 · 카라
경형 SUV 허슬러 · 짐니 · 크로스비 -
소형 SUV 에스쿠도 · 이그니스 · 짐니 시에라 · S-크로스 · 프론스 · e 비타라 X-90
준중형 SUV 어크로스 -
중형 SUV - XL-7
MPV 솔리오 · APV · 에르티가 · 랜디 -
픽업트럭 - 이퀘이터
경상용차 캐리 · 에브리 · 라비 보란
1톤 트럭 캐리(2019) -
레이스카 - 에스쿠도 파익스 피크
}}}}}}}}} ||



[1] 캐리밴까지 포함하면 1964년.[2] 1990년 9월 이전엔 스즈키 자동차 공업[3] 캐리밴까지 보면 7세대[4] 대한민국 한정으로 1991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GM 다마스로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