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12:33:02

성균관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성균관대학교/학부
파일:성균관대학교 흰색 가로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1e3329,#2e4e3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정보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자연과학캠퍼스
대학 정보
성균관 역사 학부 대학원
학사 제도 기숙사 입시 임원
||<-3><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2e4e3f>
학생 정보
||
총학생회 학내 언론
운동부
미식축구부 야구부
기타 정보
출신 인물 셔틀버스 사건 사고 커뮤니티
||<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2e4e3f>
부속 병원
||<-2><bgcolor=#2e4e3f>
교육협력병원
||
삼성창원병원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의 단과대학
공통
학부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유학대학 문과대학 경제대학
경영대학 사범대학 예술대학
자연과학캠퍼스
공과대학 약학대학
스포츠과학대학 의과대학


1. 개요

파일:SKKU_Emblem.svg 자연과학대학
College of Science 自然科學大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지존자과
파일:SKKU_Emblem.svg 자연과학대학 홈페이지
생명공학대학과 함께 자연과학계열에서 진입하는 단과대로 1학년들이 주로 듣게되는 기초 자연과학/수학 수업들을 주관한다.

2. 연혁

자연과학대학 연표
1954년 성균관대학교 문리과대학 수학과·물리학과 신설
1964년 문리과대학 우주물리학과 신설
1965년 이공대학 분리 신설
수학과·물리학과·우주물리학과 소속변경
1969년 우주물리학과를 물리학과에 병합
생물학과를 화학과에 병합
1970년 이공대학 응용생물학과 신설
1978년 이공대학 이학부 신설[1]
1980년 이과대학 분리 신설
수학과·물리학과·화학과·응용생물학과 소속변경
1981년 이과대학 자연과학캠퍼스 이전
1982년 이과대학 아동학과 신설
1988년 이과대학 응용생물학과, 생명과학과로 개명
1996년 이과대학을 자연과학부로 개편
아동학과 생활과학부로 소속변경
2005년 자연과학부를 자연과학대학으로 개편

3. 학사과정

3.1. 생명과학과

파일:SKKU_청랑_생명과학과.png
진보생명
파일:SKKU_Emblem.svg 생명과학과 홈페이지

3.2. 수학과

파일:SKKU_청랑_수학과.png
최강수학
파일:SKKU_Emblem.svg 수학과 홈페이지

3.3. 물리학과

파일:SKKU_청랑_물리학과.png
민중물리
파일:SKKU_Emblem.svg 물리학과 홈페이지

반도체와 관련된 응용물리학부터 이론물리학까지 물리학 전반을 다루며 관련 연구가 상당히 활발한 편이다. 이외에 천문학, 특히 천체물리실험 분야에서도 상당한 연구 강점을 보이고 있다. 또한 생물물리학이나 양자정보학 등 전통적인 관점의 비주류부문에서도 상당한 신경을 쓰는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실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커리큘럼의 특이한 점은 과거 전산물리학인 데이터물리학이 2학년 1학기 과목으로 편성되어 있다는 점이며, 이는 보통 전공심화로 구분되는 타 대학과 구분된다. 방송 등에 출연하여 유명한 교수님으로는 김범준 교수님이 있고, 다른 의미로 유명한 교수님으로는 예비군훈련 학생을 결석처리했으나 처벌받지 않아 유명해진 김윤배[2] 교수님이 있다.

3.4. 화학과

파일:SKKU_화학과_청랑.png
이걸화학
파일:SKKU_Emblem.svg 화학과 홈페이지

2009년도까지는 딱히 FM이 없어 지존자과처럼 지존화학이라고 지칭했지만 2010년도 쯤 부터는 이걸화학이라는 드립이 조금씩 나오더니… 굳어져 버렸다.

학점 높은 학생들만 들어갈 수 있는 인기 있는 학과로 유명하다. 학점 인플레 이전까지는 학점 평균 3.7후반에서 심할 때는 3.9까지 학과 진입 컷이 생겼었으며, 생명과학과와 함께 PEET 응시자가 많아 내부 학점 경쟁도 치열했다.
22학번부터 약대가 신설되고 PEET가 사라지면서 이러한 현상도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지만, 23,24학번 진입 컷이 4점대를 연달아 넘기며[3] 여전히 자연과학계열 최고 인기 학과임을 과시했다. 특히 여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아 전체적으로 남초 성향인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내에서 몇 없는 여학생이 많은 학과다.

모든 계열제의 학과 중 유일하게 우선진입이라는 특수한 제도를 운영하고있다. 전공 예약생과 3~4명 내외의 적은 일반진입 인원을 제외하고 대부분을 우선진입 제도로 선발하고 있으며 일반화학1,2 일반화학실험1or2 3과목을 필수로 수강해야만 신청할 수 있다. 우선진입이라는 이름대로 진입 신청과 확정이 다른 학과보다 훨씬 빠르게 이루어지며, 이런 특이한 진입제도로 인해서 타 계열의 인기 학과와 달리, 눈치싸움[4] 없이 순수하게 학점으로 겨루기 때문에 학점 컷이 높아지는데 한 몫하고 있다. 물론 빠르게 결과가 나온다는 장점도 있다.

우선진입 요건 때문에 1학년 BSM과목은 당연히 일반화학1,2을 고정으로 수강해야하며[5] 나머지는 분야와 진로가 매우 넓은 화학과 특성상 자신의 관심분야에 맞춰 듣는다. 대부분의 BSM 과목이 유기/물리/분석/무기/생화학에서 뭐든 연관되는 내용이 있기 때문에 내용 이해를 위해 필수적으로 들어야할 추천 과목[6]이 있는 타 학과와 달리 그다지 정형화 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화학과 진입생들이 타 학과에 비해 다양하게 수업을 듣고 오므로 특정 BSM과목을 수강하지 않았어도 교수님께서 알고 있을 거란 기대를 버리고 알려주시거나, 개인적으로 보충해도 충분하기 때문에 그냥 학점 따기 쉬운 과목을 수강하는 편이다.

자연과학대학 소속이지만 통칭 벤젠고리관이라고 불리는 과학관 건물을 사용하지 않고 신식 화학관을 별도로 소유하고 있다.
반도체관이 새롭게 지어지면서 옆 관을 사용할 학과를 과별 기부금의 크기로 정해 화학과가 차지하게 되었다. 이는 화학과 경동제약 전 회장 류덕희[7] 선배님과 한성화학 대표 조규학 선배님을 비롯하여 여러 화학과 동문들께서 후한 기부를 해주셨기 때문으로, 학과 내에서 동문 장학금도 따로 운영 중이니 기부자 선배님들께 감사하며 다니자. 삼성보다 동문 지원이 더 많다.

학과 내에서는 향수 동아리 향실[8], 야구 동아리 아브락사스, 스터디 동아리 장돌이 운영되고있다.


[1] 수학과·물리학과·화학과·응용생물학과[2] 성균관대 사건사고 6.1 참조[3] 두 학번 모두 4.0X 정도로 알려져 있다.[4] 정시 진학사 시스템과 유사하게 전공진입에서도 펑크가 존재한다. 실제로 사회과학계열의 인기 학과인 경제학과는 적정 학점컷은 4.0정도로 여겨지나 최종 3점 중후반대에서 컷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다.[5] 전공예약생 또는 일반진입시 일반화학을 수강하지 않아도 진입이 가능하나, 당연히 듣고 오는 것이 좋다[6] 생명과학과 생명/화학, 물리학과 물리/미적 등[7] 무려 2024년까지 121억을 기부하여 성균관대학교 내 최고액 기부자시다.[8] 원래 화학과 소속 동아리였으나 현재는 중앙동아리로, 여전히 화학과와 연관이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