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8 22:17:59

이양무

선조고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9px"
추존왕
목조 익조 도조
환조 덕종 원종
진종 장종 익종
대립왕
흥안군 · 밀풍군
추존 존령
시조고 · 선조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400> 1세 2세 3세 4세
시조고 이자연 이천상 이광희
<rowcolor=#ffd400> 5세 6세 7세 8세
이입전 이긍휴 이염순 이승삭
<rowcolor=#ffd400> 9세 10세 11세 12세
이충경 이경영 이충민 이화
<rowcolor=#ffd400> 13세 14세 15세 16세
이진유 이궁진 이용부 이린
17세
선조고
}}}}}}}}}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조선 추존 존령
이양무 | 李陽茂
파일:준경묘.jpg
준경묘 전경
출생 1160년 추정
장소 미상
사망 1231년 (향년 71세 추정)
장소 미상
능묘 준경묘(濬慶墓)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양무(陽茂)
부친 이린
형제자매 외아들
배우자 선조비
자녀 4남
묘호 없음
시호 선조고고려장군존령
(先祖考高麗將軍尊靈)
관직 장군(將軍)
}}}}}}}}} ||

1. 개요2. 묘소3. 가족

[clearfix]

1. 개요

고려장군. 이린의 아들, 고려 문신 문극겸의 외손자, 조선 추존왕 목조의 아버지, 조선 태조 이성계의 현조부(5대조)이다.

그의 큰아버지들 이준의, 이의방 2명 전부 역적으로 처형당했고 그의 아버지 이린은 이준의, 이의방 사망 이후의 기록이 부실하여 어떻게 살았는지 알 수 없는데,[1] 이양무는 살아남아서 장군까지 되었다. 아마 그의 숙부 이거가 고려 고종에게 궤장까지 받을 정도로 나라에 헌신한 충신이라는 점이 그가 역적들의 조카임에도 불구하고 장군으로 승진할 수 있게한 요인이 아닌가 싶다.

왕조의 개창자가 자신의 선조(先祖)를 추존할 때, 4대조까지만 추존하기에 이양무는 왕으로 추존되지 않았다. 대신 고종황제가 1899년 이양무의 묘소를 수축, 장식하고 묘호[2]를 올려 예를 갖추었다.

2. 묘소

[[이린(무인시대)|
파일:준경묘.jpg
]]
<colbgcolor=#bf1400> 준경묘

준경묘. 높임의 의미를 담아 준경릉(濬慶陵)이라 칭하기도 한다.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활기리에 있다.

본래 이양무는 전주에 살았는데 삼척 땅에 묻힌 이유는 그의 아들 조선 목조와 관련된 일화가 있었다. 이 부분은 조선 목조 항목을 참조.

원래 정철이 선조 시절 강원도 관찰사를 지내면서 준경묘를 발견했다고 보고했으나, 태조 이성계의 5대조의 묘로 볼 근거가 부족하니, 공식적으로 조정에서 인정하지는 않고, 그저 지방수령들이 관리만 하도록 했다.

1899년[3]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선포 이후 고종이 전주 이씨 조상들 묘와 사당들을 전부 보수하면서 전라도 전주에 조경단을 대대적으로 개축하고 강릉에 전해지던 무덤을 공식적으로 조상묘로 확정 하는 한편, 또한 묘에서 약 4km 떨어진 하사전리에서 부인 이씨[4]의 묘를 찾았고 그들의 묘역을 정비하여 예를 갖추고 이양무의 묘를 준경묘(濬慶墓), 부인 삼척 이씨의 묘를 영경묘(永慶墓)로 추존함으로써 이양무의 무덤은 준경묘로 불리게 되었다.

목조와 관련해서 한 도승의 예언대로 백우금관(百牛金棺)의 명당 터에 아버지 양무를 안장함으로써 내손 이성계조선을 창업하게 되었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준경묘 일대의 송림을 황장목이라 하는데, 이 황장목은 경복궁을 고칠 때 자재로 사용한 적이 있다.

3. 가족

  • 부친: 이린
  • 모친: 남평 문씨
  • 부인: 선조비 이씨
  • 자녀
    • 목조
    • 이영필(李英弼)
    • 이영밀(李英謐)
    • 이영습(李英襲)

[1] 여러 기록 탓에 이의방이 몰락한 1174년에 형제들과 같이 암살되었을 것이라는 견해와 장인인 문극겸의 비호로 살아남았다는 견해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이린 항목 참조.[2] 墓號; 무덤(墓)의 이름[3] 고종 36년, 광무 3년[4] 삼척 이씨(李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