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keepall> 기독교의 종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주요 종파 | ||||
[[칼케돈 공의회| 칼케돈파 ]] | [[칼케돈 공의회| 비칼케돈파 ]] | ||||
개신교 | 가톨릭(천주교) | 정교회 | 오리엔트 정교회 | 네스토리우스파 | |
<rowcolor=#fff,#fff> 서방교회 | 동방교회 | ||||
기타 종파 | |||||
메시아주의 유대교 · 비삼위일체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 여호와의 증인 · 유니테리언 · 비삼위일체 오순절교회) | |||||
과거의 종파 | |||||
영지주의 · 마르키온파 · 몬타누스파 · 아리우스파 · 도나투스파 · 펠라기우스파 · 카타리파 · 배상제회 · 스콥치 · 셰이커 · 아담파 | |||||
같이 보기: 기독교의 총대주교좌 · 네스토리우스파 · 오리엔트 정교회 · 동방 가톨릭 교회 · 개신교의 주요 교파 | }}}}}}}}} |
<colbgcolor=#ffc224><colcolor=#000> 서방 정교회 西方 正敎會 Western Rite Orthodoxy[1] | ||
<nopad> | ||
프랑스 모르비앙 생돌레에 있는 생프레상스 성당의 모습 | ||
계통 | <colbgcolor=#fff,#212121><colcolor=#000,#ddd>아브라함 계통 종교 └기독교 └정교회 | |
유형 | 일신론 └유일신교 | |
지역 | 신앙지역 | 주로 전통적인 정교회 문화권 바깥 지역 |
1. 개요
서방 전례를 따르는 정교회의 일파.주로 로마 가톨릭교회나 개신교의 영향이 더 강한 서방교회의 영향권에 위치하며, 이 분류에 속하는 교단들은 트리엔트 미사의 변형이나 갈리아 전례, 일부는 성공회 전례[2] 등 서방식 전례를 따른다.
해외 러시아 정교회와 북아메리카 안티오키아 정교회[3] 내부에도 서방 전례를 따르는 본당이 존재한다.
본 종파[4]에서 정통성 논란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동방 가톨릭 교회나 동방 개신교와는 달리 정교회 세계 내에서 서방 전례 정교회에 대한 정통성 논란이 꽤 제기되는 편인데, 정교회의 내부 분열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의외로 서방 정교회가 비교적 개방적인 정교회에서만 용인해주는 것은 아닌데,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과 일치를 이루지 않은 교회 중 하나인 진 정교회(True Orthodox Church) 내부에도 서방 전례를 따르는 일파가 있다.
2. 목록
- 서방 정교회 공동체 CEOO
- 프랑스 정교회 ECOF
정식 명칭은 프랑스 가톨릭 정교회. 중심 활동지역은 프랑스이며, 소속이 러시아 정교회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 해외 러시아 정교회 → 루마니아 정교회로 자주 변경되다가 현재는 독립적인 교단으로 활동하면서 프랑스 정교회가 현재 교류하는 정식 정교회 교단은 없다. 프랑스 정교회의 60여개 교구 중 10개 교구는 프랑스 정교회를 탈퇴하고 세르비아 정교회에 개별 흡수[5]되었고 그 중에서 개별 흡수에 찬성하지 않은 일부는 아래의 갈리아 정교회를 형성한다. - 켈트 정교회 EOC
고대 켈트 기독교의 후신임을 표방한다. - 갈리아 정교회 EOG
프랑스 정교회에서 독립한 일부가 형성한 교단. 갈리아 정교회의 일부는 프랑스 콥트 정교회에 합류하였다가, 프랑스 콥트 정교회가 서방 전례를 인정해주지 않자 다시 갈리아 정교회로 복귀했던 사건이 있다.
- 밀라노 성 시노드 HSM
진 정교회(True Orthodox Church)의 관할 교구. 과거 러시아 정교회와 일치를 이루는 것을 시도했었던 적이 있다. # 다른 정식 정교회 교단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교회이다.[6] - 아메리카 정교회 가톨릭 교회 AOCC
다른 정교회에게서 독립적인 정교회로, 동방 전례를 따르는 본당도 있고 서방 전례를 따르는 본당도 존재한다.
[1] 직역하면 서방 전례 정교회. 'Western Orthodoxy' 또는 'Orthodox Western Rite'라고 부르기도 한다.[2] 이 경우 보통 1549년판 잉글랜드 성공회 기도서를 기본 소스로 하는 경우가 많다.[3] 안티오키아 정교회 서방 전례 대리교구[4] 기존 가톨릭, 개신교[5] 세르비아 정교회가 서방 전례를 인정하지 않아 개별 신자 단위로 흡수.[6] 진 정교회 자체가 일반 정교회 세계에서 인정받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