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18:56:19

삼성전자공과대학교


파일:삼성 워드마크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사업
DX부문<colbgcolor=#fff,#1c1d1f>VD사업부 | DA사업부 | MX사업부 | 의료기기사업부 | 네트워크사업부
DS부문메모리사업부 | 시스템LSI사업부 | 파운드리사업부
SDC부문OLED사업부 | 이매진
HARMAN부문BANG & OLUFSEN | Bowers & Wilkins | Infinity | JBL | 마크 레빈슨 | REVEL | 하만카돈 | AKG | ARCAM | 렉시콘 | AMX | BSS | Crown | dbx | Martin | Soundcraft | AIR | 플럭스 | roon
서비스
매장삼성닷컴 | 삼성스토어 | 갤럭시 캠퍼스 | 삼성 킹스크로스 | 갤럭시 하라주쿠
서비스삼성전자서비스
Samsung Care+ | Galaxy To Go | My 갤럭시 클럽 | 갤럭시 트레이드인 | 갤럭시 아카데미 | SW Expert Academy
계열사
자회사세메스 | 삼성메디슨 | 하만 | 삼성전자로지텍 | 삼성전자판매 | 삼성전자서비스 | 삼성전자 재팬 | 플런티 | 셀비 | 스마트싱스 | 콰이어트사이드 | 프린터온 | 프록시멀데이터 | 심프레스 | 루프페이(삼성페이) | 에스코 일렉트로닉스 | 조이언트 | 애드기어 | 데이코 | 비브랩스 | 뉴넷 캐나다 | 스테코 | 미래로시스템 | 도우인시스 | 지에프 | 희망별숲 | 에스유머티리얼스 | 레인보우로보틱스
합작사에스유머티리얼즈 | 스테코 | TSST
교육삼성전자공과대학교 | 삼성종합기술원 | 삼성디자인교육원 |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 삼성청년SW·AI아카데미
}}}}}}}}} ||
<colbgcolor=#1428A0,#1428A0><colcolor=#fff> 삼성전자공과대학교
三星電子工科大學校
Samsung Institute of Technology
<bgcolor=#fff,#fff> 파일:삼성전자공과대학교 로고.png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분류 사내대학
개교 1989년
설립자 이건희
계열사 삼성전자
총장 제5대 경계현
부총장 제6대 황유상
주소 기흥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삼성로 1 (영덕동)
수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 (천천동)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제2공학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기흥캠퍼스
수원캠퍼스
}}}}}}}}}}}} ||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입학3. 학풍4. 진로5. 교육 과정6. 학과7. 캠퍼스8. 여담9. 둘러보기

1. 개요

삼성전자공과대학교(SSIT)는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수원시캠퍼스를 둔 대한민국사내대학이다. 삼성전자 학위인정 계약학과를 운영 중이다.

삼성전자와 성균관대학교가 협력하여 설립했으며, 반도체 설계, 공정, 소자, 계측 및 테스트 등 반도체 산업 전반에 걸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의 핵심 인력을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국내 최초의 사내대학이면서, 국내의 고등교육기관 중에서 입시와 학교생활, 졸업이 매우 어려운 편에 속하는 것으로 명성이 높다. 삼성전자의 입사 난이도를 염두에 두면 실질적인 난이도가 사실상 의대와 비슷하거나 더욱 높은 편이다.

2. 입학

SSIT는 일반적인 공과대학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진입 장벽을 갖추고 있다. 입학 과정에서 삼성전자 면접을 포함한 철저한 선발 과정을 거치며, 선발된 학생들은 반도체 산업의 최전선에서 필요한 실무 역량과 고도의 전문 지식을 집중적으로 훈련받는다. 반도체 공학뿐만 아니라 전기전자, 재료공학, 기계공학, 물리학, 화학, 컴퓨터공학 등의 융합적 교육과정을 포함하며, 단순한 이론적 학습을 넘어 삼성전자와 연계된 실습과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3. 학풍

해마다 고교취업실과 학부모가 입학 문의를 해대서 한동안 홈페이지를 개설하지 않았고 삼성전자반도체 분야 소식을 전하는 홈페이지인 삼성반도체이야기에서 가끔씩 소식을 전했었다. 그런데 일반대학으로 착각할 만 한 게, 사내대학 중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 된데다가, 입학과 졸업에 석박사급 논문을 6개씩이나 작성해야하기 때문에 90년대에 설립된 대학처럼 성과가 의외로 많다. 게다가 여기에 재학중이거나 졸업한 사람은 삼성전자 임직원에게 인정받은 핵심인력이라서 삼성공대 간판이 매우 높게 취급받는다.

SSIT는 국내외 반도체 학계 및 산업계에서 극히 희소한 최고 수준의 반도체 전문가를 배출하는 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단순한 대학 학과를 넘어 반도체 산업의 핵심 인재를 육성하는 엘리트 집단이며, SSIT 출신이라는 칭호는 최고 수준의 반도체 실무 및 연구 역량을 보유한 전문가임을 입증하는 강력한 증표로 여겨진다.

4. 진로

SSIT 졸업생들은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세계 유수의 반도체 기업 및 연구소에서 핵심 인력으로 활동한다. 일반적인 공학 학위 과정과는 차원이 다른 실무 중심 교육을 받은 이들은 반도체 산업의 연구개발(R&D), 공정, 설계, 품질 및 계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대부분의 졸업생이 반도체 업계에서 높은 수준의 기술자 및 연구자로 자리잡는다.

5. 교육 과정

성균관대학교 인재교육원 및 연구실과 협력하여 운영하는 과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졸업식을 삼성전자 본사와 성균관대학교에서 두 번 진행한다.

SSIT의 교육 과정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혹독하다. 반도체 공정 실험, 설계 프로젝트, 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을 포함한 다양한 고급 과정을 반드시 이수해야 하며, 실질적으로 반도체 산업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전문 역량을 갖추도록 강도 높은 훈련이 진행된다. 특히, 삼성전자 실무형 과제 수행, 기업 연구 프로젝트 참여 등 실전 경험이 필수이며, 연구 성과에 따라 기업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의 결과물을 도출해야 한다.

2021년 7월 5일부터 학사과정을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에서 운영한다. 삼성공대 캠퍼스는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와 최단거리로 15km라서 가까운 편이다.

6. 학과

7. 캠퍼스

삼성공대의 캠퍼스는 삼성전자 기흥공장 부지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그래서 입학정원 66명의 소규모 학교답지 않게 캠퍼스가 넓다. 캠퍼스 크기가 성균관대 자연캠과 맞먹을 정도이다. 물론 이 넓은 캠퍼스를 삼성공대가 독차지하는 건 아니고 아직 남아있는 반도체 공장, 사원 아파트, 반도체 연구소 등 삼성전자의 각종 시설과 같이 캠퍼스를 공유한다. 그래서 지도에도 나와있지만 파리바게뜨, 신라명과, 엔제리너스 커피가 입점해있다.

8. 여담

  • 대학이라서 그런지 호수와 매우 가깝다. 삼성공대 캠퍼스보다 2배나 더 커보이는 신갈지(기흥저수지)가 311번 지방도 너머에 소재한다.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가 매미산 너머에 소재한다. 만약 삼성공대가 일반대학이었다면 대학교 정기전을 열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 베트남 등의 삼성전자 해외지부에서 고졸 입사자들을 위한 사내대학이 세워진 경우가 있어 SSIT의 해외 분교가 존재하는 셈이지만, 이러한 대학들은 고졸 사원들이 손쉽게 입학하는 반면 한국의 SSIT는 입학 난이도가 매우 높기에 학생들은 해외 분교 농담을 꽤 싫어한다.

9.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사내 대학
학사과정 삼성전자공과대학교
전문학사과정 SPC식품과학대학 · 대우조선해양공과대학 · 삼성중공업공과대학 · 포스코기술대학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의 학력인정 평생교육기관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px"사내대학 파일:삼성 로고.svg 삼성전자공과대학교
원격대학 파일:세계사이버대학 심볼.svg 세계사이버대학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용인시 CI(2025)_White.svg 용인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강남대학교_UI.svg 강남대학교,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루터대학교 UI.svg 루터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양지캠퍼스)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칼빈대학교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전문
대학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대학원
대학
파일: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파일:온석대 UI.png 온석대학원대학교
원격
대학
파일:경희사이버대학교 엠블럼.svg 경희사이버대학교 경기학습관
사내
대학
파일:삼성 로고.svg 삼성전자공과대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