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50%, #d52b1e 50%),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15%, #fff 15%, #fff 18%, transparent 18%), linear-gradient(to right, #0032a9 33%, #fff 33%)"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0032a9>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잉카 제국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칠레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칠레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TIAR | |
경제 | 경제 전반 · 칠레 페소 | |
국방 | 칠레군 · 칠레 해군 · 칠레 공군 | |
교통 | 마타베리 국제공항 · 코모도로 아르투로 메리노 베니테스 국제공항 · 산티아고 지하철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요리 ·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 포도주/칠레 · 스페인어 · 세계유산 | |
인물 | 베르나르도 오이긴스 · 살바도르 아옌데 ·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 알레한드로 호도로프스키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
지리 | 산티아고 데 칠레 · 아타카마 사막 · 이스터 섬 · 파타고니아 · 티에라델푸에고 · 발파라이소 · 콘셉시온(칠레) · 푸에르토 몬트 · 푼타아레나스 · 안토파가스타 · 라 세레나 · 테무코 · 이키케 · 랑카과 · 탈카 · 아리카(칠레) · 치얀 · 칼라마 · 코로넬(칠레) · 로타(칠레) · 코피아포 · 발디비아 · 퀼로타 · 오소르노 · 쿠리코(칠레) · 산 안토니오(칠레) · 푸에르토 바라스 · 코이아이케 · 지진/칠레 | |
민족 | 칠레인 · 마푸체 · 스페인계 칠레인 · 독일계 칠레인 · 크로아티아계 칠레인 · 아랍계 칠레인(팔레스타인계 칠레인) · 그리스계 칠레인 · 아일랜드계 칠레인 · 영국계 칠레인 · 한국계 칠레인 · 프랑스계 칠레인 · 이탈리아계 칠레인 · 중국계 칠레인 | |
기타 | 그란 토레 산티아고 |
산티아고 지하철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
4A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
8호선 | 9호선 |
NS 93형 전동차 | NS 2016형 전동차 |
산티아고 지하철 Metro de Santiago | |
개통년월일 | 1975년 9월 15일 |
영업거리 | 140km |
노선수 | 7 |
역수 | 136 |
운임제도 | 고정구간제 |
연간 수송인원 | 7억 7000만명 (2018년) |
일 평균 수송인원 | 260만명 (2015년) |
궤간 | 표준궤 1435mm 철차륜/고무차륜 혼용 |
전기방식 | 직류 750V |
집전방식 | 제3궤조 |
열차운전선로 | 오른쪽 |
[clearfix]
1. 개요
칠레 수도 산티아고에 있는 도시철도. 2020년 9월 20일 기준 발파라이소 지하철과 함께 칠레의 둘뿐인 도시철도이다.연간 이용객은 약 7억 명(2018년)으로 세계 30위권 내에 들어오는 높은 순위의 지하철이다.
2. 역사
1975년 9월 15일 첫 개통이 이뤄졌다. 500만 명이 넘게 살고 있는 산티아고이고 교통체증도 심각한 도시라서 도시철도 수요가 높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이후에 와서야 산티아고 지하철을 계획할 수 있게 됐다. 1930년대부터 도시철도 계획을 입안했으나 최종 확정된 것은 1944년이었고, 1964 도쿄 올림픽에 칠레 외무장관이 일본 도쿄 지하철을 보고 일본 정부에 도움을 요청한 것이 본격적인 계획의 시작이었다. 1964년 당시 일본은 개발도상국(!!)이었기에 칠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형편은 아니라 일본의 원조 계획은 무산[1]됐다. 1968년 에두아르도 프레이 몬탈바 정부에서는 자체적인 자본 조달과 세계은행의 개발원조 투자를 받아서 첫 산티아고 지하철을 착공했고, 살바도르 아옌데 정권 시절 공사를 거쳐 피노체트 집권기인 1975년 1호선을 개통하였다. 1978년 2호선을 개통하는 등 본격적인 확장에 나섰다.1975년 1호선, 1978년 2호선이 개통했지만 둘 다 부분개통이었고, 1987년까지 지속적으로 확장하였다. 1997년 5호선을 개통하였고, 2005년 4호선을 개통하였다. 2017년 6호선을 개통하였고, 2019년 3호선을 개통하였다. 따라서 실제 개통 순서는 1-2-5-4-6-3호선의 순이다. 2028년까지 7호선, 2030년에 8호선, 2032년에 9호선을 개통할 예정이다.
산티아고 지하철은 지니계수로 표현되는 빈부격차가 세계 최고급인 칠레 국민 중산층과 서민들의 발이다. 거의 유일한 교통수단이라 해도 될 정도로 예민하다. 그래서 산티아고 지하철 요금 인상 문제는 칠레 정치권의 핵폭탄이다.
2.1. 2019년 칠레 반정부 시위
2019년 세바스티안 피녜라 칠레 대통령이 산티아고 지하철의 적자 해소 + 신규 노선(7, 8, 9호선) 건설비 조달을 위해 산티아고 지하철 요금 인상(대한민국 원화로 대략 50원 정도)을 선언하였다. 그러자 칠레 국민들은 거세게 반발하며 2019년 칠레 반정부 시위가 터져버렸다.3. 노선
산티아고 지하철 노선 목록 | |||||
노선색 | 호선 | 명칭 | 영업 구간 | 길이(㎞) | 역수 |
빨간색 | 산티아고 지하철 1호선 | 산 파블로 ↔ 로스 도미니코스 | 19.3 | 27 | |
노란색 | 산티아고 지하철 2호선 | 라 시스테르나 ↔ 베스푸시오 노르테 | 20.6 | 22 | |
갈색 | 산티아고 지하철 3호선 | 로스 리베르타도레스 ↔ 페르난도 카스티요 벨라스코 | 22 | 18 | |
남색 | 산티아고 지하철 4호선 | 플라자 데 푸엔테 알토 ↔ 토발라바 | 7.7 | 6 | |
파란색 | 산티아고 지하철 4A호선 | 라 시스테르나 ↔ 비쿠냐 마켄나 | 24.7 | 26 | |
초록색 | 산티아고 지하철 5호선 | 빈센테 발데즈 ↔ 플라자 데 마이푸 | 29.7 | 30 | |
보라색 | 산티아고 지하철 6호선 | 세리요스 ↔ 로스 레오네스 | 15.3 | 10 | |
회색 | | 브라질 ↔ 에스토릴 | 26 | 19 | |
주황색 | | 로스 레오네스 ↔ 말 플라자 토발라바 | 19 | 14 | |
분홍색 | | 푸엔테 칼 이 칸토역푸엔테 칼 이 칸토 ↔ 플라자 데 푸엔테 알토 | 27 |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