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눈치안테 · 2 고글리치제 · 4 로브리치 VC · 6 사라가 · 7 게예 · 8 칼스트룀 C 9 데이비스 · 10 자니올로 · 11 아산 K. · 13 베르톨라 · 14 아타 · 15 V. 바요 · 16 팔마 17 브라보 · 18 북사 28 술레 · 29 카마라 · 31 크리스텐센 · 32 에켈렌캄프 · 33 제무라 · 38 밀러 40 오코예 · 59 자놀리 · 77 모데스투 · 90 사바 · 93 파델리 |
| *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 공식 1군경기 출장기록이 없는 프리마베라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
| | |||||||
| 우디네세 칼초 No. 4 | |||||||
| 산디 로우리치 Sandi Lovrić | |||||||
| <colbgcolor=#000><colcolor=#987e52> 출생 | 1998년 3월 28일 ([age(1998-03-28)]세) | ||||||
| 오스트리아 티롤 주 리엔츠 | |||||||
| 국적 | | | ||||||
| 신체 | 키 180cm / 체중 70kg | ||||||
| 포지션 | 미드필더[1] | ||||||
| 주발 | 오른발 | ||||||
| 소속 | <colbgcolor=#000><colcolor=#987e52> 유스 | SV 라피트 리엔츠 (2002~2008) FC 누스도프/디반트 (2008~2009) SV 라피트 리엔츠 (2009~2012) SK 슈투름 그라츠 (2012~2014) | |||||
| 프로 | SK 슈투름 그라츠 (2014~2019) FC 루가노 (2019~2022) 우디네세 칼초 (2022~ ) | ||||||
| 국가대표 | 43경기 5골[2] (슬로베니아 / 2020~ ) | ||||||
| SNS |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987e52> 역대 등번호 | 슬로베니아 대표팀 - 8번 SK 슈투름 그라츠 - 30번, 8번 FC 루가노 - 24번 우디네세 칼초 - 4번 | |||||
1. 개요
슬로베니아 국적의 우디네세 칼초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다.2. 클럽 경력
2.1. 프로 데뷔 전
2002년에 고향인 리엔츠에 있는 SV 라피트 리엔츠 유스 팀에서 축구를 시작했으며, 이후 2008-09 시즌에 FC 누스도프/디반트을 거쳐 시즌 후 SV 라피트 리엔츠으로 복귀했다. 그리고 3년 후 2012년에 SK 슈투름 그라츠 유스 팀에 합류했다.2.2. SK 슈투름 그라츠
2014년 8월 17일, FK 아우스트리아 빈전에서 마르코 스탄코비치와 교체되며 프로 데뷔를 했다. 이때 로브리치의 나이는 불과 16세 4개월 20일이며 이는 슈투름 그라츠 최연소 프로 데뷔다. 첫 시즌에는 데뷔전 포함 8경기 출전에 그쳤다.2017-18 시즌에 드디어 주전으로 도약해 25경기 2도움을 기록하며 팀의 2위에 기여했다.
2018-19 시즌에는 20경기 1골 4도움을 기록해 확고한 입지를 다졌다.
2.3. FC 루가노
| |
첫 시즌인 2019-20 시즌에 27경기 3골 7도움을 기록하며 팀이 7위를 했음에도 빛나는 활약을 보였다.
2020-21 시즌에는 33경기 2골 5도움을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 시즌을 만들어냈다.
2.3.1. 2021-22 시즌
2021-22 시즌에는 리그에서 33경기 4골 6도움을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고, 팀의 4위를 이끌었다. 특히 스위스컵에서 6경기 1골 1도움으로 19년 만에 스위스컵 우승을 이끌었다.그 활약상의 시작은 16강에서 우승 후보로 꼽히면서 최대의 난적인 보일 것 같은 BSC 영 보이즈를 상대로 후반 37분에 역습 찬스에서 모하메드 아민 아무라에게 패스를 날리며 아무라의 역전골을 어시스트해서 2:1 승리로 8강에 이끈 것이다.
8강 FC 툰전에서는 후반 30분에 팀의 4번째 골을 터트리며 4:3 승리를 이끌었다.
4강전에서 FC 루체른을 상대로 공격 포인트를 기록하지 못했지만 승부차기에서 2번째 키커로 나와 성공시켰으며 합계 4:3 승리를 했다.
대망의 결승전에서 FC 장크트갈렌을 상대로 팀의 4:1 승리를 이끌어냈다. 한편 시즌 도중에 다음 시즌에 우디네세로의 이적이 확정되었기에 이별 직전에 크나큰 선물을 안기고 떠난 셈이다.
2.4. 우디네세 칼초
| |
한편 이탈리아어를 꽤 잘 사용하는지라 우디네세에서의 적응은 시간 문제인 듯 하다. 또한 7월 15일에 국대 동료인 야카 비욜이 입단하기도 했다.
2.4.1. 2022-23 시즌
2022년 8월 5일에 코파 이탈리아 예선 페랄피살로전에서 우디네세 데뷔전을 치렀다. 결과는 2:1 승리다.그리고 8월 13일에 열린 디펜딩 챔피언 AC 밀란과의 개막전에서 후반 38분에 왈라시와 교체 되면서 세리에 A 데뷔전을 치렀다.
33라운드에 열린 SSC 나폴리전에서 전반 13분 만에 데스티니 우도기의 컷백을 받고 골을 넣으며 나폴리의 우승을 미루게 하나 했으나 후반에 골을 먹히며 1:1로 무승부를 거뒀고 나폴리의 우승이 확정되었다. 그래도 강팀들을 상대로도 골을 넣는 클러치 능력을 보여줬다.
이탈리아에서 첫 시즌임에도 37경기 5골 6도움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3. 국가대표 경력
어릴때 부터 자랐고 연령별 대표팀을 뛴 오스트리아, 어머니의 혈통인 바트레니 중 어느 국가대표팀이든 선택할 수 있었으나 슬로베니아 대표팀 감독 마티야스 케크가 로브리치에게 직접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오라고 설득하는 등 공을 들여 결국 로브리치는 슬로베니아 국대를 선택했다.2020년 10월 7일에 산마리노전에서 국가대표 데뷔를 했다.
그리고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유럽 예선 H조 1차전 자신의 모국인 크로아티아를 상대했으며 전반 15분에 골을 만들어내며 팀의 1:0 신승에 주역으로 활약했다. 한편 경기가 끝난 후에 롤모델인 루카 모드리치와 유니폼을 교환했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 SK 슈투름 그라츠
- ÖFB컵: 2017-28
- FC 루가노
- 스위스 컵: 2021-22
5. 플레이 스타일
슬로베니아의 중원 사령관.수비형 미드필더답게 경기를 조율해나가며 전방으로 좋은 패스를 날려주면서 경기를 풀어나간다.[3] 패스 실력이 워낙 뛰어나서 경기의 판도를 바꿀 패스들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때때로 박스 안으로 침투해 사이드에서 패스를 받고 골로 만들어내는 능력도 좋다. 선술했듯 약팀만이 아닌 강팀에게도 클러치 능력을 잘 보여준다. 그렇다고 수비를 못하는 것도 아니고 상대에게 강한 압박으로 붙으며 공을 뺏고 역습을 전개하기도 한다. 180cm라는 그렇게 크지는 않은 키지만 몸싸움 또한 준수하다.
6. 여담
- 부모 모두 크로아티아 혈통이 있으며 아버지는 슬라본스키브로드 출신의 슬로베니아의 축구감독인 마르틴 로브리치이고 어머니는 모드리차 출신의 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인이다. 어머니는 이주 노동자였으며 슬로베니아의 피란으로 이주했고 나중에 로브리치의 출생국인 오스트리아로 이주해서 살았다.
- 롤모델로 루카 모드리치를 뽑았다. 또한 인스타그램에서 서로 맞팔되어있다.
7. 같이 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우디네세 칼초 2025-26 시즌 스쿼드 | |||||
| 번호 | 국적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비고 | |
| 1 | | GK | 알레산드로 눈치안테 | Alessandro Nunziante | ||
| 2 | | DF | 사바 고글리치제 | Saba Goglichidze | ||
| 4 | | MF | 산디 로브리치 | Sandi Lovrić | 부주장 | |
| 6 | | MF | 오이에르 사라가 | Oier Zarraga | ||
| 7 | | FW | 이드리사 게예 | Idryssa Gueye | [1] | |
| 8 | | MF | 예스페르 칼스트룀 | Jesper Karlstrom | 주장 | |
| 9 | | FW | 케이넌 데이비스 | Keinan Davis | ||
| 10 | | FW | 니콜로 자니올로 | Nicolo Zaniolo | [2] | |
| 11 | | DF | 아산 카마라 | Hassane Kamara | ||
| 13 | | DF | 니콜로 베르톨라 | Nicolò Bertola | ||
| 14 | | MF | 아르투르 아타 | Arthur Atta | ||
| 15 | | FW | 바쿤 이수프 바요 | Vakoun Bayo | ||
| 16 | | DF | 마테오 팔마 | Matteo Palma | ||
| 17 | | FW | 이케르 브라보 | Iker Bravo | ||
| 18 | | FW | 아담 북사 | Adam Buksa | ||
| 19 | | DF | 킹슬리 에히지부에 | Kingsley Ehizibue | ||
| 24 | | MF | 야쿠프 피오트로프스키 | Jakub Piotrowski | ||
| 27 | | DF | 크리스티앙 카바셀레 | Christian Kabasele | ||
| 28 | | DF | 우마르 술레 | Oumar Solet | ||
| 29 | | MF | 압둘라예 카마라 | Abdoulaye Camara | ||
| 31 | | DF | 토마스 크리스텐센 | Thomas Kristensen | ||
| 32 | | MF | 위르헌 에켈렌캄프 | Jurgen Ekkelenkamp | ||
| 33 | | DF | 조던 제무라 | Jordan Zemura | ||
| 38 | | MF | 레넌 밀러 | Lennon Miller | ||
| 40 | | GK | 마두카 오코예 | Maduka Okoye | ||
| 41 | | GK | 조엘레 베누티 | Gioele Venuti | [P] | |
| 45 | | FW | 줄리오 빈차티 | Giulio Vinciati | [P] | |
| 59 | | DF | 알레산드로 자놀리 | Alessandro Zanoli | [5] | |
| 77 | | DF | 후이 모데스투 | Rui Modesto | ||
| 90 | | GK | 르즈반 사바 | Răzvan Sava | ||
| 93 | | GK | 다니엘레 파델리 | Danielle Padelli | ||
| <colbgcolor=#000> 구단 정보 | ||||||
| 구단주: 잠파올로 포초 / 감독: 코스타 루냐이치 / 구장: 스타디오 프리울리 |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2월 16일 | ||||||
|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
| | ||||||
|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fff>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 GK | - | 얀 오블락 Jan Oblak | 1993년 1월 7일 ([age(1993-01-07)]세) | 79 | 0 | | |
| - | 이고르 베키치 Igor Vekić | 1998년 5월 6일 ([age(1998-05-06)]세) | 2 | 0 | | ||
| - | 잔 루크 레반 Zan Luk Leban | 2002년 12월 10일 ([age(2002-12-10)]세) | 0 | 0 | | ||
| X | 비드 벨레치 Vid Belec | 1990년 6월 6일 ([age(1990-06-06)]세) | 19 | 0 | | ||
| X | 마르틴 튀르크 Martin Türk | 2003년 8월 21일 ([age(2003-08-21)]세) | 0 | 0 | | ||
| DF | - | 페타르 스토야노비치 Petar Stojanović | 1995년 10월 7일 ([age(1995-10-07)]세) | 69 | 2 | | |
| - | 야카 비욜 Jaka Bijol | 1999년 2월 5일 ([age(1999-02-05)]세) | 65 | 1 | | ||
| - | 잔 카르니치니크 Žan Karničnik | 1994년 9월 18일 ([age(1994-09-18)]세) | 40 | 2 | | ||
| - | 유레 발코베츠 Jure Balkovec | 1994년 9월 9일 ([age(1994-09-09)]세) | 38 | 0 | | ||
| - | 에리크 얀자 Erik Janža | 1993년 6월 21일 ([age(1993-06-21)]세) | 25 | 3 | | ||
| - | 다비드 브레칼로 David Brekalo | 1998년 12월 3일 ([age(1999-10-30)]세) | 23 | 1 | | ||
| - | 바냐 드르쿠시치 Vanja Drkušić | 1999년 10월 30일 ([age(1999-10-30)]세) | 22 | 0 | | ||
| - | 다비드 제크 David Zec | 2000년 1월 5일 ([age(2000-01-05)]세) | 2 | 0 | | ||
| MF | - | 아담 그네즈다 체린 Adam Gnezda Čerin | 1999년 7월 16일 ([age(1999-07-16)]세) | 44 | 6 | | |
| - | 산디 로브리치 Sandi Lovrić | 1998년 3월 28일 ([age(1998-03-28)]세) | 44 | 5 | | ||
| - | 욘 고렌츠 스탄코비치 Jon Gorenc Stanković | 1996년 1월 14일 ([age(1996-01-14)]세) | 31 | 1 | | ||
| - | 티미 엘시니크 Timi Elšnik | 1998년 4월 29일 ([age(1998-04-29)]세) | 30 | 1 | | ||
| - | 데얀 페트로비치 Dejan Petrovič | 1998년 1월 12일 ([age(1998-04-29)]세) | 11 | 0 | | ||
| - | 토미 호르바트 Tomi Horvat | 1999년 3월 24일 ([age(1999-03-24)]세) | 8 | 0 | | ||
| - | 타마르 스베틀린 Tamar Svetlin | 2001년 7월 30일 ([age(2001-07-30)]세) | 8 | 0 | | ||
| - | 스빗 세슬라 Svit Sešlar | 2002년 1월 9일 ([age(2002-01-09)]세) | 3 | 0 | | ||
| - | 다니옐 스텀 Danijel Šturm | 1999년 1월 4일 ([age(1999-01-04)]세) | 3 | 0 | | ||
| FW | - | 베냐민 셰슈코 Benjamin Šeško | 2003년 5월 13일 ([age(2003-05-13)]세) | 43 | 16 | | |
| - | 잔 비포트니크 Zan Vipotnik | 2002년 3월 18일 ([age(2002-03-18)]세) | 19 | 3 | | ||
| - | 블라즈 크레이머 Blaž Kramer | 1996년 6월 1일 ([age(1996-06-01)]세) | 10 | 0 | | ||
| - | 네이츠 그라디샤르 Nejc Gradišar | 2002년 8월 6일 ([age(2002-08-06)]세) | 1 | 1 | | ||
| X | 베냐민 베르비치 Benjamin Verbič | 1993년 11월 27일 ([age(1993-11-27)]세) | 63 | 7 | | ||
| X | 안드라시 슈포라르 Andraž Šporar | 1994년 2월 27일 ([age(1994-02-27)]세) | 62 | 12 | | ||
| X | 얀 믈라카르 Jan Mlakar | 1998년 10월 23일 ([age(1998-10-23)]세) | 28 | 4 | | ||
| X | 잔 첼라르 Žan Celar | 1999년 03월 14일 ([age(1999-03-14)]세) | 17 | 0 | |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7월 16일 | |||||||
| 1 오블락 ⓒ · 2 카르니치니크 · 3 발코베츠 · 4 블라지치 · 5 스탄코비치 · 6 비욜 · 7 베르비치 · 8 로브리치 9 슈포라르 · 10 엘시니크 · 11 셰슈코 · 12 벨레치 · 13 얀자 · 14 쿠르티치 · 15 호르바트 · 16 베키치 · 17 믈라카르 18 비포트니크 · 19 첼라르 · 20 스토야노비치 · 21 드르쿠시치 · 22 체린 · 23 브레칼로 · 24 주겔리 · 25 젤코비치 · 26 일리치치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