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22 03:24:16

브란코 오블라크

브란코 오블라크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5e5e5
바실리스
하치파나기스

파일: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요한
크루이프

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루네
브라체트

파일: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미카엘
라우드루프

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프리츠
발터

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알렉산드르스
스타르코우스

파일:1200px-Latvian_Football_Federation_logo.svg.png
레프
야신

파일:러시아 축구 연합 로고.svg
게오르게
하지

파일:Federatia_Romana_de_Fotbal_logo.png
루이
필로

파일:Luxembourg FLF.png
아르미나스
나르베코바스

파일: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라이너
하슬러

파일: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다르코
판체프

파일: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A]
파벨
체바누

파일: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카르멜
부수틸

파일: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판힘스트

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

파일: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사페트
수시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조지
베스트

파일: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파일: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시모
보니니

파일: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드라간
자이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1px-SiCGFSLogo.png
[A]
스테판
샤퓌자

파일: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헨리크
라르손

파일: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데니스

파일: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알프레도
디스테파노

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포플루하르

파일: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브란코
오블라크

파일: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호렌
오가네샨

파일: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스게이르
시구르빈손

파일:Iceland KSÍ.png
조니
자일스

파일: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구형).svg
아나톨리
바니솁스키

파일: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콜도
알바레즈

파일: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나요트
파노

파일: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르트

파일: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파일: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올레흐
블로힌

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찰스

파일: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모르데하이
슈피글레르

파일: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디노
조프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바비
무어

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무르타즈
후르칠라바

파일: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요제프
마소푸스트

파일: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세르게이
크보치킨

파일: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다보르
슈케르

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소티리스
카이아파스

파일:Cyprus CFA.png
하칸
쉬퀴르

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브라함
뢰킨

파일: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에우제비우
파일: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브워지미에시
루반스키

파일:폴란드 국장.svg
쥐스트
퐁텐

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원정).svg
야리
리트마넨

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푸슈카시
페렌츠

파일: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A] 2003년 수상 당시 국명[A]

}}}}}}}}}}}}}}} ||
슬로베니아의 축구인
파일:branko_oblak.jpg
<colbgcolor=#eeeeee,#191919><colcolor=#000000,#e5e5e5> 이름 브란코 오블라크
Branko Oblak
출생 1947년 5월 27일 ([age(1947-05-27)]세)
SFR 유고슬라비아 슬로베니아 SR 류블랴나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슬로베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슬로베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축구선수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colcolor=#000000,#e5e5e5> 유스 NK 스보보다 류블랴나 ( ~1965)
선수 NK 올림피야 류블랴나 (1965~1973)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1973~1975)
FC 샬케 04 (1975~1977)
FC 바이에른 뮌헨 (1977~1980)
SV 슈피탈 (1983~1985)
감독 NK 나클로 (1992~1994)
ND 츠르누체 (1994)
NK 올림피야 류블랴나 (1994~1995)
NK 루다르 벨레네 (1998~2000)
FC 코페르 (2000~2002)
NK 올림피야 류블랴나 (2002~2003)
슬로베니아 U-21 대표팀 (2004)
슬로베니아 대표팀 (2004~2006)
NK 루다르 벨레네 (2007)
NK 올림피야 류블랴나 (2009~2010)
국가대표 46경기 6골 (유고슬라비아 / 1970~1977)

1. 개요2. 경력
2.1. 선수 경력2.2. 감독 경력
3. 여담

1. 개요

슬로베니아축구 선수 출신 前 축구 감독.

2. 경력

2.1. 선수 경력

1965년 올림피아 류블랴나에서 프로 선수로 데뷔를 하였다.

1975년부터 5년간은 각각 샬케 04와 바이에른 뮌헨에서 활약을 했었다.

유일한 월드컵 출전인 1974년 서독 월드컵에서는 자이르 대표팀 상대로 득점을 기록하여 9-0 대승을 거두는데 일조를 하였다.[1]

또한 1971년, 펠레의 국가대표 마지막 경기 상대가 유고슬라비아였는데 그 경기에도 출전을 하였다.

2.2. 감독 경력

2004년 슬로베니아 대표팀의 감독이 되어 2006년 독일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이탈리아와의 홈경기에서 1-0으로 승리를 거두기도 했으나 본선 진출에는 실패하고 말았다.

3. 여담

1993년생 같은 국적의 선수인 얀 오블락과는 혈연 관계가 없는 사이이다.[2]


[1] 오블라크 본인은 팀의 7번째 득점을 기록하였다.[2] 다만 2009-10 시즌 브란코 오블라크가 감독이였을때 얀 오블라크가 골키퍼로 활동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