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 ◈ 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 | 노원고등학교 | 대진고등학교 | ||
| 대진여자고등학교 | ◈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 불암고등학교 | 상계고등학교 | ||
| 상명고등학교 | 서라벌고등학교 | ◈ 서울동산고등학교 | ◈ 서울아이티고등학교 | ||
| 수락고등학교 | 염광고등학교 | ◈ 염광메디텍고등학교 | ◈ 영신간호비즈니스고등학교 | ||
| 영신여자고등학교 | 용화여자고등학교 | 월계고등학교 | ◈ 인덕과학기술고등학교 | ||
| 재현고등학교 | 청원고등학교 | 청원여자고등학교 | 한국삼육고등학교 | ||
| 혜성여자고등학교 | }}}}}}}}}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불암고등학교 전경 |
| 불암고등학교 佛岩[1]高等學校 BURAM HIGH SCHOOL | |
| | |
| 개교일 | 2005년 3월 2일[2] |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설립 구분 | 공립 |
| 운영형태 | 남녀 공학[3] |
| 교장 | 최영규 |
| 교훈 | 정직(正直), 면학(勉學), 충효(忠孝)[4] |
| 교화 | 철쭉 |
| 교목 | 소나무 |
| 학생 수 | 789명[기준] |
| 교직원 수 | 85명[기준] |
| 관할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로 155 (중계동) |
| 홈페이지 | |
| SNS | |
1. 개요
정직(正直), 면학(勉學), 충효(忠孝). - 불암고등학교 교훈
불암고등학교[7]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에 위치한 일반계 공립 고등학교이다.2. 학교 연혁
- 2005.01.05 학교 인가
- 2005.01.10 초대 박수환 교장 겸무 발령
- 2005.03.02 초대 박수환 교장 취임 및 제1회 신입생 373명 입학식(남:199명, 여:174명)
- 2005.12.26 학교 경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06.03.02 제2회 신입생 327명 입학식(남: 182명, 여: 145명)
- 2006.12.28 과학 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07.03.02 제3회 신입생 424명 입학식 (남: 236명, 여188명)
- 2007.09.01 제2대 신호근 교장 취임
- 2007.12.28 ICT 활용 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07.12.28 학교 경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08.02.02 제1회 졸업생 341명 졸업식 (남: 178명, 여: 163명)
- 2008.03.02 제4회 신입생 465명 입학식 ( 남: 230명, 여: 235명)
- 2008.12.22 방과후학교 운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09.02.06 제2회 졸업생 317명 졸업식(남: 170명, 여: 147명)
- 2009.03.02 제5회 신입생 473명 입학식(남: 240명, 여: 233명)
- 2009.04.09 "사교육 없는 학교 만들기"시범학교 지정
- 2010.01.28 사교육 없는 학교 자율학교 지정
- 2010.02.03 제3회 졸업생 404명 졸업식(남: 226명, 여:178명)
- 2010.03.02 제6회 신입생 480명 입학식(남:249명, 여: 231명)
- 2010.04.06 제3대 이재능 교장 취임
- 2010.12.24 학교 경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11.02.09 제4회 졸업생 445명 졸업식(남: 210명, 여:235명)
- 2011.03.02 제7회 신입생 471명 입학식(남:276명, 여:195명)
- 2012.02.03 제5회 졸업생 456명 졸업식(남:232명, 여:224명)
- 2012.03.02 제8회 신입생 457명 입학식(남: 268명, 여:189명)
- 2013.02.06 제6회 졸업생 451명 졸업식(남: 232명, 여: 219명)
- 2013.03.04 제9회 신입생 450명 입학식(남: 271명, 여: 179명)
- 2013.09.01 제4대 장우석 교장 취임
- 2014.02.07 제7회 졸업생 457명 졸업식(남: 269명, 여: 188명)
- 2014.03.03 제10회 신입생 425명 입학식(남: 231명, 여: 194명)
- 2014.03.21 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 우수학교 교육부장관 표창
- 2014.12.31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교육부장관 표창
- 2015.02.05 제8회 졸업생 440명 졸업식(남: 258명, 여: 182명)
- 2015.03.02 제11회 신입생 442명 입학식(남: 258명, 여: 184명)
- 2016.02.03 제9회 졸업생 439명 졸업식 (남: 256명, 여: 183명)
- 2016.03.02 제12회 신입생 435명 입학식(남: 249명, 여: 186명)
- 2017.02.03 제10회 졸업생 402명 졸업식(남: 216명, 여:186명)
- 2017.03.01 연합형 선택 교육과정 연구학교 지정
- 2017.03.02 제13회 신입생 329명 입학식(남: 173명, 여:156명)
- 2017.09.01 제5대 나징기 교장 취임
- 2018.02.07 제11회 졸업생 406명 졸업식(남:229명, 여:177명)
- 2018.03.01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및 학교운영 방안연구 연구학교 지정
- 2018.12.31 2018교육과정 운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18.03.02 제14회 신입생 290명 입학식(남:149명, 여:142명)
- 2019.02.13 제12회 졸업생 403명 졸업식
- 2019.03.04 제15회 입학식 292명 입학식(남:149명, 여:143명)
- 2019.09.02 제6대 한홍열 교장 취임
- 2020.02.07 제13회 졸업식(남:168명, 여:156명)
- 2018.03.01~2020.03.01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학교운영 방안연구 연구학교 지정(3년차)-최종년도
- 2018.03.01~2020.03.01 창의융합(STEAM)선도학교 연습 지정
- 2020.03.02 제16회 신입생 295명(남:153명, 여142명)
- 2022.02.09 제15회 졸업생 288명(남:145명, 여136명) 졸업생 누계 5,854명
- 2023.03.02 제19회 신입생 294명(남:137명, 여157명)
- 2024.03.01 제7대 최영규 교장 취임
3. 학교 상징
3.1. 교가
불암고의 교가이다. 박수환 작사 박창호 작곡. [8]
4. 학교 생활
| 시간 | 일과 |
| 08:00 - 08:20 | 조회 |
| 08:20 - 09:10 | 1교시 수업 |
| 09:20 - 10:10 | 2교시 수업 |
| 10:20 - 11:10 | 3교시 수업 |
| 11:20 - 12:10 | 4교시 수업 |
| 12:10 - 13:10 | 중식 |
| 13:10 - 14:00 | 5교시 수업 |
| 14:10 - 15:00 | 6교시 수업 |
| 15:10 - 16:00 | 7교시 수업 |
| 16:00 - 16:10 | 종례 및 청소 |
| 16:15 - 17:05 | 보충 및 방과후 |
| 17:05 - 17:55 | 석식[9] |
| 18:00 - 22:00 | 야간자율학습 |
현재 고교학점제 시범학교로 선정되어 2018학년도 신입생부터 학생 개인의 적성 및 진로에 맞는 교과목을 선택해 수강하고 있다. 1학년은 공통 과목을 수강하며, 2, 3학년부터 선택과목을 수강할 수 있다.
4.1. 리로스쿨
예비소집일날 스마트폰으로 불암인, 또는 불암고 진로진학사이트라 불리는 리로스쿨에 가입하라고 안내한다. 리로스쿨을 통해 학생과 학부모는 각종 행사 및 대회, 방과후, 야자, 중식 및 석식, 해솔아카데미, 교과 수행 평가 등을 신청 및 제출할 수 있으며, 성적조회 및 벌점조회와 방과후학교, 해솔아카데미, 자율학습실 출석 여부를 알 수 있으며,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투표를 실시하기도 한다. 웹브라우저 버전과 안드로이드, 아이폰 버전이 있어 교사와 학생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리로스쿨 링크4.2. 정기고사
1학기 중간고사, 기말고사 그리고 2학기 중간고사, 기말고사와 전국연합학력평가 중 3월 학력평가, 9월 학력평가, 11월 학력평가을 본다. 예체능 과목은 필기시험을 치지 않고 100% 실기로만 평가하며, 3학년은 모든 모의고사를 본다. 정기고사 시 교실 책상을 수능 때와 같이 4열 6~7행으로 배치하고 교실에 비치된 시계를 뗀다. 반 인원이 28명이 넘는 반은 옆의 한마루실, 빛나래방 등에서 분반하여 시험을 보며, 답안지를 스캔식으로 채점하므로 컴퓨터용 사인펜의 빨간색 플러스펜을 사용할 수 없다. 특수교육을 받는 학생들은 특수반 교실에서 따로 시험을 본다.4.3. 야간자율학습
야간자율학습은 도서관에서 진행되며 직접 불암인(리로스쿨)을 통해 신청하거나, 18시 이후 학번과 이름을 적으면 된다.- 도서관이 체육관 바로 밑에 있다. 꿈담터에서도 소음이 상당하다.
4.4. 교복
전체적인 디자인은 괜찮으나, 재킷의 색깔과 하의의 색깔이 나무줄기색이라 학생마다 평가가 천지차이. 또한 여학생 치마의 경우 밑단에 BURAM글자가 자수로 박혀있어 줄여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교내에서는 슬리퍼를 신을수 없다.[10]| 남학생 동복 | 여학생 동복[12] |
2018년부터 생활복 반바지가 추가되었다.
2019년 대대적인 교복 개편안이 확정되었다. 학생들의 투표를 통해후드집업 형태의 생활복과 야구점퍼형태의 교복이 추가되었다.
후드집업 형태의 생활복
야구점퍼 형태의 교복
가디건도 있다. 색상은 초록색이며 보온성도 괜찮다. 계절과 상관없이 입을 수 있어 입는 학생들이 많다.[13]
체육복의 경우 2017학년도 입학생까지는 빨간색-회색 조합의 체육복이었으나 18년도부터 개편되어 검은색(남색)계열의 체육복으로 바뀌었다. 촌스러웠던 이전 붉은색 체육복과는 달리 디자인이 괜찮아 교복처럼 입는 학생들이 많다.
5. 학교 시설
교사(校舍)는 운동장이 접해있는 건물을 충효관, 체육관과 붙어있는 건물을 면학관이라고 하며 두 건물을 잇는 다리가 층마다 두 개씩 존재한다. 전반적인 시설은 다른 학교에 비해 작은 모래운동장이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괜찮은 편이다. 2005년에 개교하여 타 학교에 비해 비교적 늦게 세워졌기 때문에 공립학교치고 시설이 깔끔하다. 하지만 외부에서 보이는 것에 초점을 두어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있다. 대표적으로 1,2학년부, 생활지도부, 3학년부 왼쪽에 붙어있는 고실은 운동장쪽 창문을 열어도 창고처럼 쓰이는 빈 공간이 나온다. 다시말해 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14]
학생 편의시설로 1층에 음료 자판기가 있고, 여성용품 자판기가 4층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으나 모든 화장실에 가글이 설치되면서 사라졌다. 2020년에는 충효관쪽 (학년부실, 생지부실이 있는 건물)각 층 복도 화장실옆 넓은 공간에 소파, 탁자, 마루 등 학습 및 휴식을 위한 공간인 홈베이스가 마련되었다.
| 보통 교실 | 평범한 교실이다. 2017년 현재 39개의 교실이 사용되고 있다. TV와 화이트보드, 사물함이 있다.[15]사물함은 좀 옛날 것으로 보이고 문이 덜렁거리는등 불량도 있다. 하지만 지금 사용중인 사물함이 새로운 사물함으로 11월 19일 교체되었다. 사물함의 경우 복도에 나와 있는 반과 교실 안에 있는 반이 있는데, 후자의 경우 교실이 조금 더 넓다. 그런데 방학 중에 안에 있던 사물함이 밖으로 나오기도 한다. 창문이 없는 교실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교실에 공기청정기가 있다.[16] 가끔 몇몇 반 중에 선생님들 수업할 때 쓰시는 TV가 스마트 TV로 되어있는 반이있다. 그 TV는 모니터 내에서 유튜브, 넷플릭스 등을 틀 수 있는데 2022년에 학생들이 너무 많이 써서 선도부에서 벌점을 준다고 방송을 한 적이 있다.[17] |
| 교장실 | 교장이 업무를 보는 곳으로, 이외에 교내 상장수여, 외부인 접객 등을 할 때도 사용된다. |
| 교무지원실 | 교무실이라 불리는 곳이다. 제1교무실, 1-2학년부실, 생활지도부실, 진로진학-인문사회부실, 상담복지부실, 체육예술교육부실, 자연과학정보부실, 행정실, 회의실, 성적처리실 등이 있다. |
| 방송실 | 교내 방송을 총괄하는 곳이다. |
| 체육관 | 체육수업을 위한 장소로 농구 골대가 있다. 강당으로도 활용된다. 점심시간에는 개방되어 학생들이 농구를 하거나 베드민턴을 친다. |
| 운동장 | 모래가 깔린 다목적 운동장. 축구를 할 수 있도록 큰 축구 골대 2개와 공이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이 있다. 옆에는 족구장이 있다. 타학교 운동장과 비교해보면 상당이 작은 편 이라는걸 알 수 있다.[18] |
| 탁구장 | 체육관 문 옆에 있던 직업반 교실을 개조하여 탁구장이 되었다. 탁구대 3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점심시간에 개방되어 학생들이 탁구를 칠 수 있다. 학생들보다는 교사들이 더 많이 이용하는 시설. 거기에 체육교사의 기타가 있는데 제발 건들지 말라고 경고장을 3장을 붙여놓았다. |
| 식당 | 지하 1층에 있다. 전교생이 한번에 식당 안에 못 들어가기에 3학년부터 순차적으로 배식한다. 교직원식당은 조리실 뒤에 따로 마련되어 있다. |
| 화장실 | 2025년에 본관의 모든 화장실이 새로 바뀌었고,기존 에는 대걸레를 화장실에서 빨았지만 따로 장소가생겼다. |
| 위클래스 | Wee-Class. 학생들의 여러 고민을 상담해주는 상담실이다. 간식이 비치되어 있다. |
| 빛나래실 | 빛나래1[19], 2, 3, 4실 이 있으며, 수준별수업이나 동아리수업을 위해 존재하는 다목적실이다. |
| 한마루실 | 한마루1[20], 2, 3, 4 실이 있으며, 특강을 하거나 별도고사실[21]로 쓰이기도 한다. |
| 독서토론실 | 해솔아카데미 교실로 이용된다. 수학경시대회와 과학경시대회를 이곳에서 치르기도 한다. |
| 야자실 | 야간자율학습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2021년 현재는 다산 2실이 유일한 야자실이다. |
| 꿈담터 | 기존의 특별야자실인 율곡2실과 버려진 율곡3실을 통합하여 학생 휴게실 겸 스터디카페 형태의 자습실이 만들어졌다. 불암고 학생 누구나 별도의 신청 없이오후 11시 30분까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감독이없는 대신 CCTV가 있다. 편안한 소파가 설치되어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화이트보드로 그룹 스터디를 할 수있다. 그리고 아무도 쓰지 않는 CD플레이어와 음악CD 몇개, 전기포트가 비치되어 있다. |
| 컴퓨터실 | 기술수업이나 진로수업을 위해 존재한다. 2층 진로진학부실 옆에 있다. [22] |
| 미술실, 음악실 | 미술, 음악수업을 위한 교실이다 각각 2개씩 있다. |
| 과학실 | 과학수업과 실험을 위한 교실이다. 여러 과학실험기구가 준비되어있으며, C.S.I. 동아리의 교실이다. |
| 기술*가사실 | 기술과 가사수업을 위한 공간이지만 들어가면 별거없다. |
| 체력 단련실 | 주로 체육특기생들이 이용하는 공간이다. 역기, 런닝머신 등등 많은 운동기구가 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완전히 폐쇄된 상태이다. |
| 도서실 | 한마루1실 옆에 있는 작은 도서실이다만 존재감이 적어서 학생들이 잘 모른다. 2020년에 대대적인 공사를 진행했고, 율곡 1실과 한마루 1실을 통합시켜 공간을 확보하였다. 확보한 공간에는 책장과 책상이 마련되었다. 독서실 바로 위층에 체육관이 있어서 층간소음이 심하다. |
| 보건실 | 많은 상비약과 침대가 있는 보건실이다. 운동장과 가까히 있어 부상자 후송에 편리하다. 마스크가 필요하다면 보건실로 가자. 학번과 이름을 물어보고 하나씩 준다. 종류는 두 종류로 KF94와 평범한 면 마스크이다. 하지만 두통, 속 울렁거림 같이 몸이 아플 땐 담임에게 조퇴증을 받고 조퇴를 하자. 어디 아프다고 가면 당떨어졌다고 하면서 사탕 하나를 준다... |
| 옥상 | 교사들이 관리하는 텃밭과 골프장이 있다. 골프장이라고 그리 대단한 건 아니고 약 3m 거리에 과녁이 있는 골프연습장이 8개 있는 형태이다. 디지털 도어락이 있어서 체육시간에 골프 수업을 할 때를 제외하고는 올라갈 일이 없다. 쉬는시간에 문이 열려있는 경우가 있는데 100% 안에 교사가 계신다. 잠겨있지 않다고 해서 함부로 열고 들어가거나 장난치지 말자. |
| IT실(정보실) | 2022년 부터 1학년 기술·가정 과목이 정보로 바뀌면서 정보실로 쓰기 위해서 만들었다고 한다. 의자에 바퀴가 달려있어서 가끔 카트라이더 따라하다가 정보교사에게 벌점을 받는다. 그리고 벽이 하얀색이라서 벽에 발을 올리면 실내화 자국 난다고 혼난다. |
5.1. 생활평점제(상벌점)
| 불암고등학교 생활평점제 기준표 | |||
| 부문 | 항목 | 벌점의 내용 | 점수 |
| 용의 복장 | 1 | 교복 변형 및 규정에 어긋난 교복 착용 | 1 |
| 사복 착용 | 2 | ||
| 명찰 미부착 및 변조 | 1 | ||
| 실내에서 실외화 착용 및 실외에서 실내화 착용 | 1 | ||
| 2 | 색조 화장(아이라인, 마스카라, 립스틱 등) | 1 | |
| 3 | 퍼머 및 염색 규정 위반 | 2 | |
| 4 | 장신구(귀걸이, 반지, 목걸이 등) 착용 | 1 | |
| 피어싱 착용 | 2 | ||
| 기초 질서 | 5 | 월담 등 교문외 출입 | 2 |
| 6 | 바닥에 침, 껌, 휴지,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는 행위 | 1 | |
| 7 | 창문 밖으로 쓰레기나 오물을 버리는 행위(종이비행기, 침 등) | 1 | |
| 8 | 수업 시간 이용 매점 출입 행위 | 2 | |
| 9 | 학생 식당 이용 시 식사 후 식기를 치우지 않고 자리를 이동하는 행위 | 1 | |
| 10 | 실내에서 뛰어다니거나 고함을 지르는 행위 | 1 | |
| 11 | 실내 및 중앙 정원에서 공놀이를 하는 행위[23] | 1 | |
| 12 | 풍기 문란(교내에서 남녀 학생의 부적절한 신체 접촉 등) | 3 | |
| 13 | 고의적 거짓말, 타인 이름 도용, 타인 명찰 착용 | 3 | |
| 14 | 저속한 언어(욕설, 비어, 속어 등) 사용 | 1 | |
| 교내 생활 | 15 | 청소 활동에 참여 저조 | 1 |
| 청소 도망 | 2 | ||
| 16 | 학생 출입금지구역 무단출입, 엘리베이터 무단 사용 | 1 | |
| 17 | 이성 화장실 출입 | 10 | |
| 18 | 교직원의 정당한 지시를 불이행하는 경미한 행위 | 5 | |
| 교직원의 지도 시 욕설을 하는 행위(교권보호위원회에 상정되지 않는 사안) | 10 | ||
| 19 | 학우를 괴롭히는 학생 (학교폭력대책위원회에 상정되지 않는 사안) | 10 | |
| 20 | 교사의 허가 없이 외부에서 음식을 주문하여 먹는 행위 | 3 | |
| 21 | 휴대폰 무단 소지 1회 | 5 | |
| 근태 | 22 | 등교시간 및 수업시간 지각 | 1 |
| 23 | 무단지각[24] | 2 | |
| 24 | 무단결과 1회당 | 3 | |
| 25 | 무단조퇴 1회당 | 4 | |
| 26 | 무단결석 1일당 | 5 | |
| 학습 | 25 | 면학분위기를 저해하는 행위 (잡담, 장난 등) | 3 |
| 수업 중 음식물 먹는 행위 | 1 | ||
| 수업 중 화장품 사용 | 5 | ||
| 27 | 수업 준비 소홀(교과서, 노트, 인쇄물 등) | 1 | |
| 28 | 수업 중 mp3 등 전자기기 사용 | 5 | |
| 29 | 수업시간 무단이탈 | 4 | |
벌점은 있지만 상점은 따로없다
2019학년도 2학기 이후로 체육복 등하교가 허용되었다.
벌점 부과 즉시 학부모에게 안내 문자가 발송되며, 리로스쿨에서 조회할 수 있다. 벌점 20점 이상 학생은 과벌점자로 학생선도위원회에 회부되어 징계를 받는다.
또한 벌점을 지우려는 학생들을 위해 상점제도 대신 벌점상쇄프로그램이 존재한다. 매 월말 리로스쿨에 공지가 뜬다. 항목으로는 3일 연속 학교에 일찍 등교하기, 교내 청소하기, 사자성어 외워서 시험보기, 지각 또는 화장에 관한 반성의 글 쓰기 등이 있다. 월마다 최대 15점을 경감할 수 있다. 벌점은 10점 이상부터 지울 수 있다. 꼭 참고하도록 하자.
벌점이 20점 이상 쌓이고 지우지 못하면 해당월 학생선도위원회에 회부되어 징계를 받게 된다. 보통은 교내봉사를 받고 끝나지만, 이미 징계 기록이 있는 사람은 사회봉사 → 특별교육 → 출석정지 → 퇴학 순으로 고등학교 생활을 망치게 되니 유의하도록 하자.
또한 선도위 또는 학폭위에 회부되어 징계를 받은 학생은 학급 임원 및 학생회 임원 피선거권이 제한되며, 특별교육 이상의 징계를 받은 사람은 생활기록부에도 기록되니 조심하도록 하자.
5.2. 각종 행사
해솔제: 불암고등학교의 축제이다. 년도마다 테마가 정해지며, 공연도 보고, 부스체험도 한다. 부스는 동아리별로 지원을 해서 한다. 학생회에서 가장 공들여 준비하는 것중 하나이다. 이날을 위해 여러 동아리가 며칠씩 방과후에 남아서 준비한다.해솔제의 가장 큰 단점으로는 "외부인에게 개방하지 않는 것"이라는 점이다. 외부 찬조팀을 받기는 하나, 관람은 불가능하게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몇 년동안 하지 않고 있다가 2023년도부터 다시 진행하게 되었다.
6. 출신 인물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c1d1f> 불암고등학교/영신여고입구/중계주공6단지상가/중계주공7단지(11404·11405·11410·11411) ||
| 지선 |
8. 기타
- 음료수 자판기가 1층과 4층에 총 두 개가 있다. [25]
- 담을 넘기가 용이하다. 중계주공6단지쪽 담과 주차장쪽 담이 가장 많이 넘는 곳이다. 중계주공6단지쪽 담은 철조망이 있지만 다른 학우가 철조망을 들어올려주면 넘어갈 수 있다. 넘게되면 604동 놀이터 미끄럼틀 뒤로 가게 된다.주차장쪽 담은 담장도 낮고 화단도 있어 넘기 제일 쉽다.[26]
- 2015년 3월 출발 드림팀에서 촬영을 하기 위해 운동장을 쓴 적이 있었다.
- 불암고등학교의 영어 교명은 Buram High School이다. 그런데 근처의 불암중학교와 불암초등학교의 영어 교명은 Bulam이다. 그리고 정작 불암산의 영어 명칭은 Buram이다.
- 학교 부지는 쓰레기 매립지(1994~199?)에서 스케이트장과 상가단지를 거쳐 불암고등학교가 되었다.
- 교복 주문이 단체로 잘못되어 왼쪽 가슴 위 교표의 Buram글씨가 Ruram으로 되어있음을 알게 된 착한 학생복에서 단체로 즉석 무료 수선을 해주었다.
- 2018년 추석 연휴가 끝난 뒤 식당 및 매점 앞에 새로운 사물함 후보 4개 중 하나를 고를 수 있는 투표용지가 있었다. 스티커로 자기가 마음에 드는 사물함에 투표가 가능했다. 19학년도 수능 이후 최다득표된 사물함으로 교체되었다. 반에 따라 안에 들어가있거나 밖에 나와있다.
- 중3에게 학교홍보를 할 때, 공부를 잘하고 인성이 좋은 학생이 되기 위해서 휴대전화의 소지를 금지한다고 홍보한다.
- 아침 교문지도에서 전교생 명단에 자율부 학생이 수기로 벌점을 적고있는 것을 볼 수 있다.[27]또한 석식을 먹는 학생들도 종이에 본인 이름 옆에 펜으로 체크를 하고 먹는다. 참고로 코로나19 이후 석식은 진행하지 않고 있었다.
- 불암고등학교 갤러리[링크]에 급식에 양갈비가 나오길 원하는 재학생이 꾸준글을 작성한 적이 있었다.
- 교내에 크로마키와 3D프린터, 3D펜등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도구가 많이 있다. 능력껏 빌려서 사용 가능하다.
- 다른 학교와 다르게 방학식 때 항상 정상수업을 진행한다.[29]
- 사실 이 문서는 2017학년도 고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목의 한 교사가 수업 중 나무위키에 대해 말할 때, “우리 학교도 나무위키에 등재되었으면 좋겠다” 고 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그 말을 들은 두 학생이 힘을 합쳐 문서를 개설하였고, 두 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항목에 관련 내용이 적히게 되었다.
- 휴대전화와 같은 전자기기 소지및 사용은 금지이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이 패드를 들고와 사실상 의미가 없다.
- AirPods,애플펜슬등의 도난 건수가 매우많아 본인이 잘 보관해야한다.
[1] 정체자 巖이 아닌 속자 岩이 쓰인다.[2] 개교기념일은 6월 5일이다.[3] 남녀분반이었지만 25학년도 신입생부턴 남녀합반으로 반편성되었다. 자유학점제를 수월하게 운영하기위함[4] 유교 덕목이 반영되어 있다.[기준] 2024학년도[기준] [7] 개교 당시 명칭은 중계고등학교[8] 마지막 불암고등학교의 음은 낮춰부르게한다[9] 코로나 이후로 진행X[10] 등교때만 걸리지않으면 된다[11] 요즘은 마이를 입지않기때문에 추운기간엔 위에 사복을 입는 편이다. 4월중순부턴 학교 겉옷 외엔 입을 수 없다[12] 원래 여학생은 단추형조끼를 입어야 하지만 불편하다는 항의와 학부모의 민원이 빗발쳐 결국 니트조끼가 허용되었다.[13] 정말이쁜편이다[14] 때문에 이 위치에 있는 교실들엔 따로 내부 공기 순환기가 천장에 설치되어있다.[15] 2016년까지는 일반 교실에도 프로젝터가 달린 반이 있었으나, 2017년에 일반교실의 모든 프로젝터를 제거하고 TV를 설치하였고, 제거된 프로젝터는 선생님들이 따로 필요할 때 쓸 수 있도록 한 것 같다.[16] 정확하게는 창문이 있으나 창문을 열면 교무실과 연결된 베란다 같은 곳이라 창문을 열어도 아무 소용이 없다.[17] 핸드폰에도 연결이 가능해서 반 단체로 야동을 보다가 걸려서 몇 명이 끌려간 반도 있다.[18] 이때문에 축구대회를 할 때면 골키퍼가 찬 공이 상대편 골에 들어가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19] 빛나래1실은 수업에는 잘 쓰이지 않고, 선도위원회가 소집되거나 아침에 벌점상쇄프로그램을 하는 학생들이 모이는 곳으로 쓰인다.[20] 한마루1실은 도서실에 붙어있으며, 컴퓨터 4대가 있고, 독서실책상과 일반 6인책상이 놓여있다.[21] 시험을 볼 때는 책상을 띄워놓기 때문에, 한 반당 28명 정도밖에 수용할 수 없어, 별도 고사실에 남는 인원을 채운다.[22] 다나와컴퓨터 상품정보 학교 컴퓨터치고는 좋다.[23] 학교 건물이 중앙정원을 둘러싸는 형태이므로, 공놀이로 인해 창문이 깨질 것을 우려한 조치이다.[24] 08:00~08:10 사이 등교 시 등교시간 지각, 08:10 이후 등교 시 무단지각 처리되며 후자의 경우 생활기록부 출결항목에 반영된다.[25] 가격이 편의점 보다 비싸다.[26] 주차장이기 때문에 언제 교사가 나타날지 모르고, 넘게되면 바로 인도이기 때문에 주민이 피해를 입거나, 주민이 신고할 수도 있다.[27] 전교생 중에 이름을 일일이 찾아야하므로 반드시 학년과 반, 번호를 불러주도록 하자.[링크] https://gall.dcinside.com/mini/buramhigh[29] 다만 방학식 주와 당일은 각각 40분,30분 압축수업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