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22:16:05

봉클라우드 어택

봉클라우드에서 넘어옴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f4dfc1,#986b52><tablebgcolor=#fff,#444><tablecolor=#373a3c,#fff><#f4dfc1,#986b52><-2> 체스의 오프닝 ||
[ 1...e5 오픈 게임 펼치기 · 접기 ]
오픈 게임
[ 세미 오픈 게임 펼치기 · 접기 ]
* ⚫ 1...c5 시실리안 디펜스
[ 1...d5 클로즈드 게임 펼치기 · 접기 ]
클로즈드 게임
[ 세미 클로즈드 게임 펼치기 · 접기 ]
* ⚫ 1...Nf6 인디언 디펜스
* ⚪ 2.Bf4 런던 시스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그 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fff> 플랭크 오프닝 이레귤러 오프닝
}}}}}}}}}
⚪, ⚫는 각각 백, 흑의 수순으로 정렬 순서는 Lichess 오프닝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마스터 사용 빈도를 따름.
봉클라우드 어택
Bongcloud Attack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Pb,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Kw,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 f1=Bw, g1=Nw, h1=Rw,
caption=none)]
<colbgcolor=#f4dfc1> 수순 1.e4 e5 2.Ke2?
상위 오프닝 오픈 게임
ECO 코드 C20

1. 개요2. 이론3. 파생형
3.1. 어드밴스 베리에이션3.2. 익스체인지 베리에이션3.3. 퀸스 봉클라우드3.4. 킹 데이비드 오프닝3.5. 프라이드 폭스 어택3.6. 더블 봉클라우드
4. 사례5. 기타

[clearfix]

1. 개요

체스오프닝으로, 오픈 게임에서 2번째 수로 백이 을 돌진시키는 오프닝을 말한다. 어원은 두 가지 설이 있는데, 체스닷컴의 유저 Lenny Bongcloud에서 이름을 땄다는 설과 (물담배) 연기라는 뜻 그대로 약을 빤 오프닝이라는 설이 있다.

2. 이론


백은 킹이 전진함으로써 캐슬링의 기회를 걷어차며, 킹을 공격에 노출시킨다. 또 e4로 열어놓은 비숍의 길 또한 막는다. 기본 원칙을 내던진 이 시점에서 엔진은 이미 백이 1.5점 가량 뒤진다고 평가한다.[1] 엔진은 백이 오픈 게임에서 둘 수 있는 28가지 수 중에서 두 번째로 좋지 못한 수라고 평가하는데, 최악의 블런더가 2.Ba6로 백이 비숍을 흑에게 내주는 수인 것을 생각하면 얼마나 나쁜 지 감이 올 것이다. 심지어 2.b4로 흑에게 2...Bxb4로 공짜로 폰을 내주는 수도 봉클라우드 보다는 낫다고 평가한다.

즉, 백의 조크 오프닝이며 도발 혹은 장난으로 쓰인다. 최악으로 꼽히는 자충수(블런더)이며, 상대가 이성을 잃게 하거나, 이기지 못하면 망신이라는 압박감을 줘서 실수를 유도할 수는 있겠다. 따라서 백은 상대의 공격을 방어하며 킹을 안전한 위치로 옮긴 뒤 반격하는 형태로 대응한다.

3. 파생형

꼭 이 수순을 따르지 않더라도 킹을 극초반에 움직이는 오프닝을 통틀어 봉클라우드(계열)라고 한다. 상대의 대응에 상관 없이 내 행동을 끝마친다는 점에서 시스템 오프닝으로 볼 수도 있겠다.

3.1. 어드밴스 베리에이션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Kw,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 f1=Bw, g1=Nw, h1=Rw,
caption=3.Ke3)]
킹이 한 칸 더 앞으로 나간다. 백의 봉클라우드를 흑이 Nf6로 대응했을 때 백이 4점정도 뒤쳐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 플레이를 한 순간 백의 Bc5로 인해 체크가 들어오므로 어차피 킹이 제자리로 꽁지빠지게 도망쳐야한다.

3.2. 익스체인지 베리에이션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Kw, e1=Qw, f1=Bw, g1=Nw, h1=Rw,
caption=3.Qe1 4.Kd1)]
퀸과 킹의 위치를 바꾼다. 킹의 안전은 그나마 낫지만 4턴을 버렸다는 단점이 있다. 망누스 칼센은 방송에서 c3, f3이후에 Qa4, Qh4 Kd1, Qe1으로 퀸이 내 진영을 한바퀴 순찰하고 돌아오는 봉클라우드를 쓴 적이 있다. 그리고 이겼다

3.3. 퀸스 봉클라우드

[include(틀:체스게임, info=Queen's Bongcloud,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Pw,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Kw, e2=Pw,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 f1=Bw, g1=Nw, h1=Rw,
caption=1.d4 d5 2.Kd2)]
클로즈드 게임에서 쓸 수 있는 봉클라우드. 물론 오리지널 봉클라우드(1.e4 e5 2.Ke2) 처럼 백에게 불리한 오프닝이라는 것은 변함이 없다.

3.4. 킹 데이비드 오프닝

[include(틀:체스게임, info=King David's Opening ,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Pb,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Kw,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 f1=Bw, g1=Nw, h1=Rw,
caption=2.Ke2)]
시실리안 버전 봉클라우드 어택이다. 1...c5가 전개를 돕는 수가 아니기 때문에 봉클라우드보다는 덜 위험하다. 엔진 기준 1점정도만 뒤쳐진다.

3.5. 프라이드 폭스 어택

[include(틀:체스게임, info=Fried Fox Attack,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 f4=, g4=, h4=,
a3=, b3=, c3=, d3=, e3=Pw, f3=Pw,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K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 f1=Bw, g1=Nw, h1=Rw,
caption=1.f3 2.Kf2 3.e3)]
해머슐레그 베리에이션이라고도 한다. 오리지널 봉클라우드에 비해 수동 캐슬링이 쉬워 상대적으로 덜 위험한 봉클라우드. 물론 폰을 f3으로 옮기면서 중앙 전개를 하지 못하며, 대각선이 노출된다는 점과 수동 캐슬링을 하느라 수를 더 썼다는 점에서 엔진 평가로는 봉클라우드보다도 점수가 낮다.

3.6. 더블 봉클라우드

[include(틀:체스게임, info=Double Bongcloud,
a8=Rb, b8=Nb, c8=Bb, d8=Qb, e8=,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K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Pb,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Kw,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 f1=Bw, g1=Nw, h1=Rw,
caption=1.e4 e5 2.Ke2 Ke7)]
백의 봉클라우드를 흑이 똑같이 봉클라우드로 받아치는 오프닝이다. 백이 조크 오프닝인 봉클라우드를 사용했을 때 흑도 똑같이 예능으로 받아줘야 나올 수 있는 오프닝이므로 실전에서 볼 일이 거의 없는 라인이다. 엔진 평가로는 0.3점정도만 백이 유리해서 의외로 밸런스가 적당한 오프닝.

4. 사례

  • 2020년 온라인 블리츠 대회 결승전에서 세계 챔피언 망누스 칼센이 슈퍼 GM 웨슬리 소를 상대로 프라이드 폭스 어택 봉클라우드를 사용해 승리했다. 경기 영상 경기 분석
  • 2020년 히카루 나카무라가 세인트루이스 래피드&블리츠 온라인 리그의 마지막 경기에서 GM 제프리 시용(Jeffery Xiong)을 상대로 오리지널 봉클라우드를 시전해 이겼다. 경기 영상 경기 분석
  • 2021년 3월 망누스 칼센 인비테이셔널 대회의 예선 마지막 라운드, 망누스 칼센히카루 나카무라의 경기에서 더블 봉클라우드가 나왔다. 칼슨이 봉클라우드를 두자 히카루가 맞 봉클라우드로 카운터했다. 두 선수는 킹만 아래위로 움직였고, 경기는 3회 반복 무승부로 끝났다. 두 선수 모두 이미 본선 진출이 확정된 상황이었기에 사실상 칼슨이 먼저 무승부 제의를 했고, 히카루가 받아준 것으로 본다.[2] 보통 선수들은 무승부를 하고 싶으면 통수 방지를 위해 베를린 디펜스 같은 이론적인 무승부 오프닝을 사용한다. 승패와 상관이 없는 상황이라서 나올 수 있었던 해프닝.

    이후 히카루가 개인 방송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이 때 칼센에게 급똥 신호가 온 상태여서 더 이상 경기를 지속할 수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경기로 인해 체스닷컴 오프닝 데이터베이스에 봉클라우드가 추가되었다.[3]
  • 2021년 12월 스피드 체스 챔피언쉽 결승전 히카루 나카무라와 웨슬리 소의 대결에서 또 더블 봉클라우드가 나왔다. 1분 불렛에서 나왔으며 12.5대 5.5로 크게 앞서고 있던 히카루의 관광성 플레이었다.
  • 2022년 11월 3일 2022 체스닷컴 글로벌 챔피언십 4경기에서 3:0으로 크게 뒤지고 있던 얀-크리스토프 두다가 봉클라우드 권위자 히카루 나카무라를 상대로 e3 봉클라우드를 썼고, 보기 좋게 졌다.

5. 기타

  • 관광용 오프닝이다보니 이걸 쓰는게 비매너인지 여부로 커뮤니티에서 논란이 생기곤 한다. 한 예로, 영국 그랜드마스터 나이절 쇼트는 봉클라우드를 체스에 대한 모욕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 히카루 나카무라가 개인방송에서 자주 쓰는 오프닝이다. 그래서인지 히카루 인방팬들의 실드가 심한 오프닝.
    • 히카루는 봉클라우드로 블리츠 레이팅 3000 찍기 스피드런 콘텐츠를 진행한 적이 있다. 기록은 23시간 27분 44초. 참고로 스피드런에서는 중간에 게임 끊고 쉬는 시간도 기록에 포함되니, 콘텐츠를 시작한 지 하루도 다 채 지나지 않아서 레이팅 1000을 3000까지 올려버린 것. 말 그대로 충격과 공포.
  • 흑 또한 봉클라우드를 둘 수 있지만 백보다 더 위험하다. 상대가 e5를 Nf3로 대응했을때 봉클라우드를 해버리면, 봉클라우드의 기존의 단점에 더불어 폰도 공짜로 빼앗기고 나이트가 좋은 자리도 차지하기에 흑이 3점가량 뒤쳐지게 된다.[4]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K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Qw,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 e1=Kw, f1=Bw, g1=Nw, h1=Rw,
caption=1.e4 e5 2.Qh5 Ke7?? 3.Qxe5# 1-0)]
  • 일본 애니메이션 코드기어스주인공이 체스 중 초반부터 킹을 움직이며 "왕이 나서지 않으면 백성들은 따르지 않는다"라고 말하는 장면이 유명하다. 말은 좋지만 체스에서도 실제에서도 영 좋지 못한 행동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봉클라우드 어택이 유명하지 않았던 시절의 엔진은 2점 이상 뒤쳐진다고 평가했으나, 이 이론이 유명해지면서 분석이 많이 되었고 그 결과 1.5점 가량 뒤쳐지는 것으로 완화되었다.[2] 대부분의 대회에서는 승부조작 방지나 대회의 질 향상을 위해서 초반 합의 무승부를 금지한다. 예외는 3수 동형 무승부 뿐.[3] 엔진 분석에서는 이론적인 수로 기록되나, 평가치 1.5점이 칼같이 깎인다. 참고로 리체스에서는 이 게임 전부터 이미 봉클라우드가 데이터베이스에 있었으나, 얄짤없이 실수라고 평가한다. 참고로 과거엔 블런더로 평가했다.[4] 거기다 두 번째 수에서 백이 퀸을 h5로 옮겼다 하면 그냥 짤없이 블런더다. 퀸이 e5로 감으로써 체크메이트가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