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30 11:17:38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파일:니더작센 주장.svg 니더작센 제21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24구 25구 26구 27구 28구
요한 사트호프 기타 코네만 짐트예 묄러 데니스 로데 바스티안 에른스트
29구 30구 31구 32구 33구
크리스토프 프라우엔프라이스 바네사-킴 초벨 알베르트 슈테게만 질비아 브레어 악셀 크뇌리히
34구 35구 36구 37구 38구
안드레아스 마트펠트 라르스 클링바일 코르넬 바벤더에르데 야콥 블랑켄부르크 루츠 브링크만
39구 40구 41구 42구 43구
마티아스 미델베르크 마리아-리자 푈러스 아디스 아메토비치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헨드릭 호펜슈테트
44구 45구 46구 47구 48구
헤닝 오테[1] 후베르투스 하일 요하네스 슈랍스 마티아스 미어쉬 다니엘라 룸프
49구 50구 51구 52구 53구
둔야 크라이저 크리스토스 판타지스 알렉산더 요르단 프라우케 하일리겐슈타트 프리츠 귄츨러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디르크 브란데스 요언 쾨니히 마르틴 지혀트 다니 마이너스 앙겔라 루츠카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안드레아스 파울 미하 페레 마르셀 크베케마이어 슈테판 헨체 미르코 항커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올라프 힐머 로코 케퍼 마르티나 우어
비례 4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10
안네 얀센 틸만 쿠반 마라이케 불프 카르스텐 뮐러 비비안 타우슈비츠
비례 11 비례 14
슈테판 알바니 레자 아스가리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필리즈 폴라트 헬게 림부르크 율리아 페를린덴 스반티예 미하엘젠 레나 굼니어
비례 6 비례 7 비례 8
티몬 치누스 카롤리네 오테 알라 알함위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하이디 라이히네크 젬 인세 마렌 카민스키 마이크 브뤼크너 안네-미케 브레머
비례 6
요리트 보쉬
비례 4 비례 6
안야 트로프-샤파르칙 스벤야 슈타들러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1] 2025년 6월 5일 의원직 사퇴하고 연방의회 국방담당관으로 이직, 레자 아스가리가 의원직 승계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독일연방공화국 제20대 연방방위부장관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Boris Pistorius
파일:Boris_Pistorius_(2019)_(cropped).jpg
출생 1960년 3월 14일 ([age(1960-03-14)]세)
서독 니더작센 오스나브뤼크
재임기간 제20대 연방방위부장관
2023년 1월 19일 ~ 현직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소속 정당

의원 선수 1 (하원)
지역구 하노버 슈타트 2구 (Stadt Hannover II)
서명
파일:보리스 피스토리우스 서명.jpg
약력 오스나브뤼크 시장 (2006~2013)
니더작센 주내무스포츠부장관 (2013~2023)
니더작센 주의회의원 (2017~2023)
제20대 연방방위부장관 (2023~현직)
연방의회의원 (2025~현직)

1. 개요2. 생애3. 활동4. 여담

1. 개요

독일의 정치인.

2023년부터 국방장관에 재임하고 있다.

2. 생애

아버지 루트비히 피스토리우스와 어머니 우르줄라 피스토리우스[1] 사이에서 태어나, 니더작센주 오스나브뤼크의 슈링켈 지구에서 자랐다. 보리스의 이름은 닥터 지바고의 저자이자 러시아의 대문호 보리스 파스테르나크를 기려 지어진 것이라고 한다. 1976년 어머니를 따라 사민당에 입당했다.

1978년에 오스나브뤼크의 에른스트-모리츠-아른트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아비투어를 통과한 뒤, 오스나브뤼크 대학교와 뮌스터의 베스트팔렌 빌헬름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다만 곧바로 대학에 진학한 것은 아니었는데, 당시 서독에서는 대학 진학을 염두에 둔 학생들조차 직업교육(Berufsausbildung)을 일종의 통과의례처럼 이수하는 경우가 많았고, 병역 의무 역시 병행되어야 했다.

이에 따라 1980년까지 도소매 무역상 자격을 위한 직업교육을 받은 뒤, 니더작센주 아힘에 위치한 제11방공연대(Flugabwehrregiment 11) 슈투벤 막사에 입소해 현역병으로 복무했으며, 최종 계급은 상병(Obergefreiter)이었다.

1987년 함에서 제1차 국가고시를 통과한 뒤, 올덴부르크 고등법원 관할구역에서 사법연수원을 수료하고 1990년 제2차 국가고시에 합격하면서 정식으로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이후 약 6개월간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1991년 니더작센 주정부 공무원으로 입직하면서 인생의 2막을 시작하게 됐다.

1991년부터 1995년까지 게어하르트 글로고프스키 니더작센 주내무장관의 정책보좌관으로 근무한 뒤, 1995년부터 장관실 부실장을 맡았다. 이후 1997년부터는 베저-엠스 지역행정부에서 행정관 및 학교 및 스포츠 담당 부서장으로 재직했다.[2]

1996년부터 오스나브뤼크 시의원을 겸임했는데, 1999년부터 2002년까지는 오스나브뤼크 제2부시장(명예직)을 지냈으며, 2006년 9월 24일 시장선거 결선투표에서 55% 득표로 당선되어 11월 7일부터 오스나브뤼크 시장으로서의 임기를 시작했다.

3. 활동

4. 여담



[1] 사민당 소속으로 니더작센 주의원을 지낸 바 있다.[2] 이 시기 니더작센 주총리였던 인물이 바로 총리에 오르는 게르하르트 슈뢰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