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3 13:05:06

배기(남진)


진서(陳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abbadb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2권 「무제기(武帝紀)」 3권 「문제기(文帝紀)」 4권 「폐제기(廢帝紀)」
진패선 진천 진백종
5권 「선제기(宣帝紀)」 6권 「후주기(後主紀)」
진욱 진숙보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7권 「후비전(后妃傳)」
장요아 · 심묘용 · 왕황후 · 유경언 · 심무화 · 장여화
8권 「두승명등전(杜僧明等傳)」 9권 「후진등전(侯瑱等傳)」 10권 「주철호등전(周鐵虎等傳)」
두승명 · 주문육 · 후안도 후진 · 구양위 · 오명철 ,배자열, 주철호 · 정영세
11권 「황법구등전(黃法氍等傳)」 12권 「호영등전(胡穎等傳)」 13권 「서세보등전(徐世譜等傳)」
황법구 · 순우량 · 장소달 호영 · 서도 · 두릉 · 심각 서세보 · 노실달 · 주부 · 순랑 · 주경
14권 「형양헌왕창등전(衡陽獻王昌等傳)」 15권 「종실전(宗室傳)」 16권 「조지례등전(趙知禮等傳)」
진창 · 진담랑 진의 · 진상 · 진혜기 조지례 · 채경력 · 유사지 · 사기
17권 「왕충등전(王沖等傳)」 18권 「심중등전(沈衆等傳)」 19권 「심형등전(沈炯等傳)」
왕충 · 왕통 · 원경 심중 · 원필 · 유중위 · 육산재 · 왕질 · 위재 심형 · 우려 · 마추
20권 「도중거등전(到仲舉等傳)」 21권 「사철등전(謝哲等傳)」
도중거 · 한자고 · 화교 사철 · 소건 · 사하 · 장종 · 왕고 · 공환 · 소윤
22권 「육자륭등전(陸子隆等傳)」 23권 「심군리등전(沈君理等傳)」 24권 「주홍정등전(周弘正等傳)」
육자륭 · 전도집 · 낙아 심군리 · 왕창 · 육선 주홍정 · 원헌
25권 「배기등전(裴忌等傳)」 26권 「서릉전(徐陵傳)」 27권 「강총등전(江總等傳)」
배기 · 손창 서릉 강총 · 요찰
28권 「세조9왕·고종29왕·후주제자전(世祖九王高宗二十九王後主諸子傳)」
진백무 · 진백산 · 진백공 · 진백신 · 진백인 · 진백의 · 진백례 · 진백지 · 진백모 · 진숙영 · 진숙견 · 진숙명 · 진숙경 · 진숙헌 · 진숙제
진숙문 · 진숙달 · 진숙탄 · 진숙표 · 진숙웅 · 진숙중 · 진숙엄 · 진숙신 · 진숙우 · 진숙평 · 진숙오 · 진숙흥 · 진숙선 · 진숙목 · 진숙검
진숙징 · 진숙소 · 진숙광 · 진숙순 · 진숙모 · 진숙현 · 진숙륭 · 진숙영 · 진심 · 진장 · 진윤 · 진억 · 진언 · 진경 · 진건 · 진념 · 진지
진전 · 진번
29권 「종원요등전(宗元饒等傳)」 30권 「소제등전(蕭濟等傳)」 31권 「소마하등전(蕭摩訶等傳)」
종원요 · 사마신 · 모희 · 채징 소제 · 육경 · 고야왕 · 부재 소마하 · 임충 · 번의 · 노광달
32권 「효행전(孝行傳)」
은불해 · 사정 · 사마고 · 장소
33권 「유림전(儒林傳)」
심문아 · 심수 · 척곤 · 정작 장애 육후 심덕위 하덕기 · 전완 · 장기 · 고월 · 심불해 · 왕원규
34권 「문학전(文學傳)」
두지위 · 안황 · 강덕조 · 유지 · 허형 · 저개 · 잠지경 · 육염 · 하지원 · 서백양 · 장정견 · 채응 · 완탁
35권 「웅담랑등전(熊曇朗等傳)」 36권 「시흥왕숙릉등전(始興王叔陵等傳)」
웅담랑 · 주적 · 유이 · 진보응 진숙릉 · 진백고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0275d><tablebgcolor=#10275d>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colbgcolor=#10275d><colcolor=#fff> 裴忌
배기
시호 희자(僖子)
작위 동흥현후(東興縣侯) → 비현후(費縣侯)
배(裴)
이름 기(忌)
무외(無畏)
생몰 522년 ~ 594년
부친 배지평(裴之平)
본적 하동군(河東郡) 문희현(聞喜縣)

1. 개요2. 생애

1. 개요

남북조시대 , 남진의 장수로 자는 무외(無畏). 하동군(河東郡) 문희현(聞喜縣) 출신.

2. 생애

배기는 어린 시절체 총명하고 견식과 도량을 겸비했으며, 역사책을 많이 읽어서 당시 사람들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배기는 처음에 예장왕(豫章王) 소동의 법조참군(法曹參軍)을 지냈다.

후경이 반란을 일으키자 배기는 군대를 모집하고 진패선의 정벌에 종군하여 전공을 세워 영원장군(寧遠將軍)이 되었다.

진패선이 왕승변을 토벌한 뒤 왕승변의 아우 왕승지가 오군(吳郡)에서 거병하여 진패선에 대항했다. 진패선은 먼저 황타(黃他)를 보냈지만 왕승지가 서창문(西昌門)에서 출병하여 맞서 싸우고 팽팽한 대치가 이어졌다. 결국 진패선은 배기를 불러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삼오(三吳)는 토양이 비옥해서 옛날에는 요옥(饒沃)으로 불렸는데, 비록 흉년 이후라지만 아직은 부유한 땅인데,지금은 적도가 모여들어 천하가 흔들리고 있소. 공이 아니라면 왕승지를 토벌할 수 없으니 마땅히 그 책모를 훌륭하게 발휘하시오.

배기는 진패선의 명에 따라 정병을 이끌고 간편한 복장으로 출병하여 밤낮으로 전당(錢塘)에서 오군까지 도착했다. 이후 밤에 성 아래에 도착하여 북을 울리며 접근했는데, 왕승지는 대군이 온 줄 착각하여 작은 배에 올라 두감에게 달아났다. 진패선은 배기의 공을 칭찬했고 조정에 오군 태수로 배기를 추천했다.

557년, 진패선이 경제 소방지에게 선양을 받고 스스로 제위에 올라 남진을 건국하니 이가 초대 황제인 무제였다. 이때 배기는 좌위장군(左衛將軍)으로 임명되었다.

문제 진천이 즉위한 뒤 배기는 지절(持節), 남강군(南康郡) 내사로 전출되었다. 한편 의안군(義安郡) 태수 장소빈(張紹賓)이 군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조정에서는 배기를 지절(持節), 도독영북제군사(都督嶺北諸軍事)로 임명하여 장소빈의 토벌을 명했다. 장소빈을 토벌한 뒤 배기는 산기상시(散騎常侍), 사도좌장사(司徒左長史)로 제수되었다.

천강 5년(564년), 운휘장군(雲麾將軍), 위위경(衛尉卿), 동흥현후(東興縣侯)로 봉해지고 식읍 500호를 받았다.

광대 원년(567년), 화교가 거병하여 반란을 일으키자, 녹상서(錄尙書) 안성왕(安成王) 진욱은 배기를 총지중외성방제군사(總知中外城防諸軍事)로 임명했다. 이후 화교의 난이 평정되고 진백종이 폐위된 뒤 안성왕 진욱이 스스로 제위에 오르니 이가 제4대 황제인 선제였다.

태건 원년(569년) 배기는 동양군(東陽郡) 태수로 임명되고 낙안현후(樂安縣侯)로 봉해져 식읍 1,000호를 받았다.

태건 4년(572년)에 입조하여 태부경(太府卿)이 되었고 다음 해에 도관상서(都官尙書)가 되었다.

오명철이 군대를 이끌고 북벌을 단행하자, 배기는 오명철의 감군을 맡았다. 회남(淮南)이 평정된 뒤 배기는 군사장군(軍師將軍), 예주(豫州) 자사로 제수되었다. 배기는 예주에 부임한 뒤 백성들을 위로하고 민심을 얻었다. 뒤에 다시 사지절(使持節), 도독초주제군사(都督譙州諸軍事), 초주 자사로 제수되었지만 부임하려던 찰나 오명철이 팽변(彭汴)으로 북상하자 배기는 도독이 되어 오명철과 북상했으나 여량(呂梁)에서 패배했다.

배기는 북주에 포로로 붙잡혔고 북주에서 상개부(上開府)로 제수되었다. 이후 수나라 개황 14년(594년) 장안에서 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