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3:47:04

박진영(축구선수)

1 최영은 · 2 황재원
VC
· 3 정우재 · 4 카이오 · 5 요시노 · 7 김진혁 · 8 이찬동 · 9 에드가 · 10 라마스
11 세징야
C
· 13 권태영 · 14 박세진 · 15 이원우 · 16 전용준 · 17 고재현 · 18 정재상 · 19 박대훈 · 21 오승훈
22 장성원 · 23 한서진 · 25 손승민 · 27 정헌택 · 28 오세이 · 29 박재현 · 30 한종무 · 31 한태희 · 32 정치인
VC

33 김민준 · 34 심연원 · 35 윤태민 · 36 이제욱 · 37 정은우 · 38 이림 · 39 권광덕 · 40 박진영 · 41 박상영
42 정윤서 · 43 김민영 · 44 김정현 · 45 김현준 · 46 성권석 · 51 박만호 · 70 유지운 · 74 이용래 · 90 한희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12550; font-size: 0.8em"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20250211_1118434.jpg
대구 FC No. 40
박진영
朴鎭營 | Park Jin-Young
<colbgcolor=#88c1ea,#051d39><colcolor=#212550,#ffffff> 출생 2002년 5월 13일 ([age(2002-05-13)]세)
강원도 인제군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86cm / 체중 84kg
포지션 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
소속 <colbgcolor=#88c1ea,#051d39><colcolor=#212550,#ffffff> 선수 대구 FC (2024~ )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8c1ea,#051d39><colcolor=#212550,#ffffff> 학력 속초초등학교 (졸업)
속초중학교 (전학)
광탄중학교 (졸업)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졸업)
홍익대학교 (중퇴)
}}}}}}}}} ||
1. 개요2. 클럽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적의 대구 FC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센터백이다.

2. 클럽 경력

2.1. 프로 입단 전

2.2. 대구 FC

파일:2024_대구FC_박진영_영입.jpg
2024년 신인자유계약으로 K리그1소속 대구 FC에 입단 하였다.

2.2.1. 2024 시즌

프로 입단하고 맞이하는 첫 시즌부터 구단내에서 1군급으로 분류 되었는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1차 전지훈련을 떠나는 B팀에 합류하지 않고, 1군 선수들과 함께 태국 치앙라이로 전지훈련을 떠났다.

1월 30일 치앙라이 유나이티드와 가진 공식친선전에 선발로 투입되어 이원우, 김강산과 함께 치앙라이의 공격진들을 잘 막아냈다. 치앙라이 선수진들이 타이 리그 내에서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는 팀이다보니 대구팬들 입장에서는 올해 이원우와 함께 무조건 키워야 하는 선수중 한명으로 언급 되는중.

그리고 개막전 김천 상무 FC와의 홈경기에 교체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아쉽게도 개막전부터 프로 데뷔전은 불발 되었다.

이후에도 꾸준히 1군 교체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나 K4리그 2라운드 FC 목포와의 경기에서 볼경합중 상대팀 선수에게 발뒷꿈치를 밟히며 부상을 입고 그라운드를 나왔다. 이후 부상으로 약 한달간 1군과 2군 두곳에서 모두 명단 제외 되고 있다.

부상으로 한동안 1.2군 라인업에서 모두 빠져 있다 K3리그 8라운드 춘천시민축구단과의 경기에서 오랜만에 선발로 나와 부상 복귀전을 치렀다. 그렇게 전반 45분동안 뛴 뒤 교체되어 나갔고, 이틀뒤인 11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 FC 원정 경기에서도 오랜만에 교체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그리고 후반 81분 장성원과 교체되어 그라운드에 투입되며 K리그 데뷔전을 치르게 되었다.

13라운드 FC 서울 원정 경기에서 백3의 중앙자리에서 프로 입단이후 처음으로 선발 출장 하였다. 그리고 이제 갓 프로에 입단한 선수라는게 믿기지 않을정도로 좋은 수비력과 함께 제시 린가드를 꽁꽁 묶어냈다. 하지만 경기 막판 다리에 쥐가 올라오며 움직임이 둔해졌고 그러면서 일류첸코에게 만회골을 내주기도 했다. 그래도 첫 선발 데뷔전치고 대체적으로 괜찮은 활약을 했다는 평.

이후 가끔 큰실수를 범하고 있긴하나 대체적으로 괜찮은 수비력과 빌드업 능력을 보여주며 센터백 중앙 리베로 자리에서 주전으로 쭉 뛰고 있다.

18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 FC 홈경기에서 경기 초반 실수를 범해 오승훈에게 질책을 받긴 했으나 이후 집중력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프로 데뷔 이후 처음으로 무실점 승리을 이끌었다.

19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 홈경기에서 대구를 상대로 좋은 모습을 보여줬던 문선민을 맨마킹하는 역할을 부여 받고 경기내내 문선민을 잘 막아내줬다. 거기다 과감한 전진 플레이로 위협적인 공격 장면도 몇 차례 보여주는등 경기에 출장하면 할수록 계속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여름 이적시장에서 카이오가 영입되었고 초반에는 카이오, 박진영, 김진혁 라인으로 가는 듯 했으나 이내 고명석과 카이오, 김진혁이 주로 출전하며 4옵션으로 밀렸다. 이후 31라운드 김진혁이 무릎부상을 당하며 후반 교체 투입되었다.

32라운드 강원 FC 원정에서 썩 좋은 모습을 보여주진 못했다.

33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홈경기에서 팀은 4:3으로 역대급 역전승을 거두었지만, 박진영은 실점 장면에서 몇 차례 빌미를 제공하며 부진했다. 2:0을 만들었던 추가골의 기점이 되었던 왼발 롱패스는 백미였지만, 후반 교체 투입된 문선민을 상대로 버거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만약 2:3으로 끝났더라면 많은 비판을 받았겠지만 에드가와 박세진의 연속골이 터지며 팀은 극장승을 거두었다. 여러모로 박진영의 장단점을 극명히 보여준 경기였다.

34라운드 광주 FC 원정에서 지난 두 경기보다는 나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35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 원정에서 고명석과 함께 불안한 모습을 계속해서 보여주었고 팀은 0:1로 패했다.

36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 FC와의 홈경기에서 잦은 패스미스와 마크맨을 놓치는 모습을 보여주며 아쉬운 활약을 보여주었다. 최영은, 고명석이 더 큰 실책을 해 가려졌지만, 박진영의 폼도 썩 좋지 못했다.

2.2.2. 2025 시즌

박창현감독이 2025시즌부터 팀전술을 백3에서 백4로 바꾼다 선언하며, 그동안 맞지않던 쓰리백에서 잦은 실수를 했던 모습은 많이 보완될듯 하다. 하지만 이미 대구에는 카이오김진혁이 버티고 있기에 3순위에 있는 박진영에게는 이번시즌 험난한 주전경쟁이 벌어질듯 하다.

다행히 태국 전지훈련간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김진혁이 훈련도중 부상을 입으며 시즌초반에는 박진영이 주전으로 경기에 출전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1라운드 강원 FC와의 홈 경기에서 카이오와 함께 그동안 대구에게 어울리지 않는다는 4백 수비를 자연스럽게 녹여내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대구의 창단 첫 개막전 승리에 큰 공헌을 했다.

3. 플레이 스타일

박진영은 뛰어난 발밑을 바탕으로한 빌드업 능력이 강점이며 박창현 감독이 박진영을 센터백의 중앙과 수비형 미드필더를 오가게끔 하여 오랜 시간 스리백에 익숙했던 대구를 포백으로 전환 시도할 만큼 센터백치고 좋은 발밑을 가지고 있다. 주발이 오른발이지만 왼발을 활용한 롱패스도 준수하게 하는 편이며[1] 주로 스리백의 가운데나 우측 스토퍼로 나온다. 동료 박세진이 박진영은 코끼리같아서 부딪히면 토가 나올 것 같다고 할 만큼 튼튼한 피지컬과 이를 바탕으로 한 강력한 몸싸움, 제공권도 박진영의 강점이다.

단점으로는 느린 스피드와 무리하게 올라가 뒷공간을 내어주는 성향이 있다. 패스 능력 자체는 괜찮게 가지고 있지만, 과감한 전진패스 시도에 따른 리스크로 패스미스가 나올 경우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장면이 자주 나오고 있다. 경험이 쌓이면 개선될 여지가 있지만, 잦은 패스미스와 느린 스피드로 인한 뒷공간 노출로 인해 아직 성장이 많이 필요하다. 출전 시간이 늘어나면서 집중력 부족에 대한 비판도 받고 있다. 패스미스뿐만 아니라 마크맨을 놓치거나 멀뚱멀뚱 자리만 지키고 있는 모습을 자주 보여 오승훈과 홍철에게 자주 지적을 받는다.

종합하면 수비형 미드필더로 올리는 시도를 할 만큼 괜찮은 패스 능력과 강력한 피지컬을 갖췄지만, 느린 발과 잦은 미스로 아직 더 많은 경험이 필요한 센터백이다.

4. 여담

  • 같은 시기에 대구에 입단하게 된 임지민과 생년월일이 모두 같다.

5. 둘러보기

파일:대구 FC 엠블럼 네이비 (2025).svg
대구 FC 2025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1_최영은.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2_황재원.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3_정우재.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4_카이오.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5_요시노.jpg
1 2
VC
3 4 5
최영은
CHOI Younge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5.09.26
황재원
HWANG Jaew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2.08.16
정우재
JEONG Wooj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2.06.28
카이오
Caio MARECELO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1998.03.14
요시노
Kyohei YOSHINO
파일:일본 국기.svg | MF
1994.11.08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7_김진혁.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8_이찬동.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9_에드가.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10_라마스.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11_세징야.jpg
7 8 9 10 11
C
김진혁
KIM Jinhyu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3.06.03
이찬동
LEE Chando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3.01.10
에드가
Edgar DA SILVA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1987.01.03
라마스
Bruno LAMAS
파일:브라질 국기.svg | MF
1994.04.13
세징야
CESINHA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1989.11.29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13_권태영.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14_박세진.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15_이원우.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16_전용준.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17_고재현.jpg
13 14 15 16 17
권태영
KWON Taeyo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2.06.05
박세진
PARK Sej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4.03.19
이원우
LEE Wonw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3.03.16
전용준
JEON Yongj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3.07.16
고재현
GO Jae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9.03.05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18_정재상.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19_박대훈.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21_오승훈.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22_장성원.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23_한서진.jpg
18 19 21 22 23
정재상
JEONG Jaesa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4.05.25
박대훈
PARK Dae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6.03.30
오승훈
OH Seung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88.06.30
장성원
JANG Sungw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7.06.17
한서진
HAN Seoj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5.03.10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25_손승민.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27_정헌택.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28_오세이.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29_박재현.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30_한종무.jpg
25 27 28 29 30
손승민
SON Seungm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5.05.09
정헌택
JUNG Heontae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2.07.31
오세이
Isaac OSEI
파일:가나 국기.svg | FW
2005.09.13
박재현
PARK Jae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3.09.16
한종무
HAN Chongm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3.05.02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31_한태희.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32_정치인.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33_김민준.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34_심연원.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35_윤태민.jpg
31 32
VC
33 34 35
한태희
HAN Taehu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2004.07.05
정치인
JEONG Chi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7.08.21
김민준
KIM Minj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6.07.05
심연원
SIM Yeonw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5.08.02
윤태민
YOON Taem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4.10.13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36_이제욱.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37_정은우.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38_이림.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39_권광덕.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40_박진영.jpg
36 37 38 39 40
이제욱
LEE Jaewoo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6.07.05
정은우
JUNG Eunw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3.04.22
이림
LEE Ri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3.08.12
권광덕
KWON Kwangdeo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5.01.28
박진영
PARK Jinyo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2.05.13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41_박상영.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42_정윤서.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43_김민영.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44_김정현.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45_김현준.jpg
41 42 43 44 45
박상영
PARK Sangyo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2005.09.17
정윤서
JUNG Yoonse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4.11.13
김민영
KIM Minyo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0.02.07
김정현
KIM Junghye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0.06.09
김현준
KIM Hyeonj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2.02.15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46_성권석.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51_박만호.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70_유지운.jpg 파일:2025_대구FC_프로필_74_이용래.jpg 파일:2024_대구FC_프로필_90_한희훈.jpg
46 51 70 74 90
성권석
SUNG Kwonseo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6.01.09
박만호
PARK Manh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2004.02.28
유지운
YOO Ji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4.07.22
이용래
LEE Yongr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86.04.17
한희훈[1]
HAN Hee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0.08.10
대표이사: 조광래 / 감독 : 박창현 / 홈구장: 대구iM뱅크파크
출처: 대구FC 웹 사이트

[1] 대구 FC B 플레잉 코치

}}}}}}}}} ||


[1] 2024 K리그1 33R 대팍에서 전북을 상대로 깔끔한 왼발 롱패스를 보여주었고, 이 패스가 기점이 되어 이탈로의 추가골이 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