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19:52:00

박승진(프로게이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e2027><tablebgcolor=#de2027>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화이트.svgNongshim RedForce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de2027><colcolor=#fff> 감독 [[박승진(프로게이머)|박승진
Chelly
]]
코치 [[김재희|김재희
Crazy
]]|[[김태양(프로게이머)|김태양
SSUN
]]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성훈|황성훈
Kinge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성(2003년 8월)|김민성
GIDEO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선현빈|선현빈
Calix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지우(프로게이머)|정지우
Jiwoo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손시우|손시우
Lehends
]]
2군 로스터
LCK 참가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CK
감독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T1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김정수
KIM
최인규
DanDy
고동빈
Score
김정균
kkOma
배성웅
Bengi
파일:BNK FearX 2025.pn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DN 프릭스 로고.svg파일:DN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유상욱
Ryu
박승진
Chelly
이호성
Duke
김상수
Ssong
주영달
oDin
}}}}}}}}} ||
<colbgcolor=#de2027><colcolor=#fff>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nopad> 파일:Chelly2025.png
'''Nongshim RedForce [[감독#s-2|
]]
Chelly'''[1]
박승진 (Park Seung-jin)
출생 1996년 11월 1일 ([age(1996-11-01)]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D NS Chelly #KR1 #
포지션 바텀
소속
[ 펼치기 · 접기 ]
Dark Wolves
(2015.05.25 ~ 2016.05.24)

StarDust
(2016.05.25 ~ 2016.10.06)
KeG Seoul
(2016.11.01 ~ 2016.11.09)
BowQen Blackbucks 코치
(2018.06 ~ 2018.11)
Team Dynamics 코치
(2020.04.27 ~ 2020.12.18)

NS Challengers 코치
(2020.12.18 ~ 2021.12.07)
NS Challengers 감독
(2021.12.07 ~ 2022.11.22)

Nongshim RedForce 코치
(2022.11.22 ~ 2024.02.17)
Nongshim RedForce 감독 대행
(2024.02.17 ~ 2024.05.21)
Nongshim RedForce 감독
(2024.05.21 ~ 2027.11.15예정)
국가대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감독 (2022, 2023)
병역 전시근로역 (장기대기)[2]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선수 경력4. 코칭 스타일5. 지도자 경력
5.1. 2024년5.2. 2025년
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농심 레드포스 감독. 선수 시절 포지션은 바텀 라이너.

2. 상세

Dark Wolves(前 VTG), StarDust(現 APK Prince)의 원거리 딜러. 현재는 프로게이머를 은퇴했다.

트위치
유튜브

트위치에서 첼리필터라는 닉네임으로 전업 스트리머로 방송중이다. 현역 시절부터 트위치에서 방송을 해왔지만, 시청자는 100명을 겨우 넘는 정도.

6월 5일 사신갓, 권이슬, 오킹과의 배그 스쿼드 도중 닉네임의 어원을 밝혔는데 첼리필터의 '첼리'가 일본 여가수 chelly 임을 밝혔다.

2월 26일 기준으로 챌린저 13위에 있을 정도로 랭킹이 높다. 본인은 MMR 버그 덕분에 찍은 거품이라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실력이 꽤나 뛰어나기 때문에 가능한 것.

시즌9 기준 챌린저 계정을 2개나 가지고 있고, 부계정도 챌린저 계정을 계속 추가할 것이라 할 정도로 실력은 괜찮은편.

다만 다시 프로게이머에 도전할 생각은 전혀 없다고 한다. 프로 복귀 의사에 대해 물어보면 상당히 귀찮아 한다.

방송 시간은 매일 아침 이른 시간에 시작해 저녁까지 길게 하는편. 자주 수면잠옷을 입고 와서 쇄골을 노출하며 방송을 한다.벗방은 아니다 거기에 토끼모자도 가끔 착용한다.

방송 스타일은 조용한 편이지만, 시청자들과 자주 소통하며 유쾌하게 이끌어 나가는편이다.

3. 선수 경력


흔하디 흔한 평범한 2부리그 원딜러였다. 챔피언 폭이 넓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딱히 내세울만한 장점은 없는 선수였다.

플레이 스타일은 매우 공격적이였다. 다크 울브즈 시절 현재 아프리카 프릭스에서 서포터를 맡고 잇는 젤리와 봇듀오였는데 게임을 워낙 공격적으로 하기로 유명했다. 특히 루시안만 잡으면 앞대쉬로 들어가 네가 죽던, 내가 죽던 한번 해보자는 플레이가 특징.

선수시절 유의미한 성적은 챌린저스 코리아 2015 섬머에서 우승하여 IM과 승강전을 해봤다는 것 정도. 물론 승강전은 3대1로 탈락했다.

승강전 탈락 이후 Dark Wolves가 해체되었다. 그 후 Stardust에서 한시즌을 뛴 이후, 2016년 말 이른나이인 22살에 프로게이머를 은퇴했다.

4. 코칭 스타일

기본적으로 선수들이 가진 역량과 포텐셜을 파악하고, 이를 견인하는 능력은 굉장히 준수한 편에 속한다. 실제로 2군 감독, 코치 시절에는 육성 명가로 불리는 KT 롤스터 2군을 제치고 상대적으로 신생팀이던 농심 레드포스 2군팀을 단숨에 우승권 전력으로 만들어 감독 첫 해인 스프링 시즌 준우승, 서머 시즌 우승을 달성하였고, 그렇게 2군에서 정점에 달한 선수들은 모두 1군에서 롱런하지는 못했지만 부진한 와중에도 높은 포텐셜의 편린은 보여주는 등 선수 보는 눈 하나는 LCK에서도 상위권으로 평가된다.

인게임의 밴픽 관여 부분에서는 피어리스 드래프트 도입 이전과 이후로 평가가 갈린다. 피어리스 드래프트 도입 이전에는 통계와 지표를 신봉하는 듯한 모습으로, 상대팀의 밴픽 전략과 선수들의 기량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밴픽을 농심 선수들에게 선사하여 해볼만한 경기도 그르치거나 풀꽉 끝에 겨우 매치를 따내는 등 박승진 감독의 이해가 안 되는 밴픽을 '첼첼첼' 이라 불리는 등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하지만 피어리스 드래프트 도입 이후에는 완전히 평가가 바뀌게 되었다. 피어리스 드래프트가 정식 도입된 2025 LCK컵부터는 최대한 정석적인 밴픽을 가져오되, 앞서 언급한 선수들의 역량을 파악하는 박승진 감독의 능력과 이전 세트에서 사용한 챔피언은 사용할 수 없는 피어리스 드래프트의 제한 규정이 합쳐져 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할에 맞는 다채로운 밴픽을 선보이며 2025 농심의 상승세를 이끄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밴픽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던 LCK 컵과 LCK 정규시즌 초반과 다르게, 리헨즈에게 계속해서 엘리스와 쉔 같은 사파픽을 요구[3]하고, 정작 메타픽[4]을 거르는 등 의아함이 나오는 밴픽을 구사하면서 피어리스 드래프트 도입 이전 지표를 신봉하는 것보다 더 의문인 모습을 보이며 밴픽에서 점차 단점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박승진 감독의 최대 강점을 꼽자면 바로 용병술. 앞서 언급한 선수 보는 눈과도 이어지는 장점인데, 최대한 기존 주전들이 활약할 수 있는 환경과 기회를 부여하지만, 그에 부응하는 결과를 내지 못하거나 결과를 내더라도 달성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면 과감하게 2군으로 보내고 2군 주전을 1군에 콜업하여 나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 대표적인 예가 2025 LCK 3주차 돌입 직전 피셔를 강판시키고 2군에서 뛰던 칼릭스를 콜업한 것으로, 피셔 콜업 당시 농심의 정규시즌 성적은 3승 1패로 기대에 비해 굉장히 순항하고 있었고, 피셔도 불안정한 모습은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괜찮은 경기 결과를 가져왔기에 칼릭스를 긁어보자는 여론은 소수의견에 해당했다. 그러나 박승진 감독은 피셔의 고질적인 문제가 연습 및 경기 과정에서 고쳐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아예 3주차 시작 전 인터뷰에서 이를 공식화하며 아무리 불안정하더라도 바로 2군에 콜업하는 것이 맞냐는 비판의 여론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박승진 감독의 판단으로 콜업된 칼릭스가 심상치 않은 모습을 보이더니, 기어이 콜업 2주차인 4주차에 엄청난 기량을 보여주고 매치 승패와 무관하게 농심의 팀합이 엄청나게 올라온 모습을 보여주며 결과적으로 옳음을 증명했다. 기드온 역시 원래 스토브리그 당시의 주전은 실비였는데 LCK 컵 직전에 기드온으로 교체되었고, 기드온이 LCK 컵과 LCK 정규시즌 초반 호성적에 상당한 기여도를 보이며 기드온을 기용하는 것이 옳았음을 증명했다.

5. 지도자 경력

2018년 6월 일본 2부리그 LJL CS의 신생팀인 BowQen Blackbucks에 코치로 합류했다. 평소 애니메이션오타쿠을 통해 배운 일본어가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Fixer(정재우) 감독과 함께 팀을 2부리그 전승까지 이끌었지만, 승강전에서 Crest Gaming Act에게 3대0으로 패배했다.

이후 팀이 2019 LJL 프랜차이즈 심사를 통과하지 못해 해체되면서 자연스럽게 팀에서 나왔다.

2020년 LCK 서머 승강전 부터 팀 다이나믹스의 코치로 합류했다.

2022년 농심 2군의 감독으로써 스프링 준우승, 서머 우승을 일궈냈다.

2023년 자신의 2군 선수들과 함께 농심 1군으로 콜업됐다.

5.1. 2024년

2024년 2월 17일 허영철 감독이 성적 부진을 이유로 시즌 도중 경질성 사임을 하게 되면서 감독 대행을 맡게 되었다.

2024년 5월 21일부로 정식 감독으로 승격하며 4년 계약을 체결했다. #

정식 감독 승격 이후의 민심은 대단히 나쁜 편. 미하일에게 계속 아트록스를 쥐어주고, 팀의 핵심 지우에게 계속 캐리형 챔피언이 아닌 세나 같은 챔피언만 주는 등 밴픽 능력이 동부권 팀 중에서도 김목경 DRX 감독과 함께 하위권이라는 평가가 많다. 그나마 서머 2라운드에 들어서 밴픽을 개선하려는 모습이라도 보였던 김목경과 달리, 이 사람은 여전히 지우에게 속칭 똥받이 챔피언을 주고, 오히려 상대 팀에게 강우세를 가져가는 발밴픽을 선보이고 있다. 농심이 플옵 이상을 노리고 대비해야 할 강팀도 아니고, 승리 플랜을 늘리긴 커녕 지우 키우기도 잘 못해서 지금 당장 1승이 급한 팀인데 문제점을 전혀 고치지 않고 있다.

급기야 7주차 광동전에서 구거를 내리고 바이탈을 콜업했지만 전승 카드인 상대 미드 불독의 트리스타나를 풀고, 커즈의 니달리도 풀어줘서 1세트를 져놓고 또 불독 트타를 풀어주고 변명의 여지 없이 참패하면서, 타팀 팬들에게는 씨맥에게 밴픽을 지는 감독이 있냐며 작년 최천주의 천천천보다 더한 첼첼첼이 등장했다며 농심 디코에서 본격적으로 감독을 경질하라며 팬들의 성토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8주차 PO 탈락이 확정된 이후 갑자기 각성을 했는지 정신차린 밴픽을 선보여 T1을 2:0으로 셧아웃을 내는 기염을 토하고 DK를 상대로 1세트를 따내는 등 선전하자 선수들의 기량이 T1, DK에 밀리지 않는다는 근자감 인터뷰#가 재평가받고 있다.

스토브리그에서 킹겐-리헨즈라는 대어를 영입하면서 다크호스로 떠올랐으나, 기대가 무색하게 케스파컵에서 전원 1군을 출전시키고 광탈을 기록하며 비난받았다.

5.2. 2025년

시즌 초에는 최천주, 김목경, 프레디의 뒤를 이어가는 메이저 지역 리그 재앙 감독으로 불렸다. LCK 컵 T1전에서 블루 진영을 들고 1픽 세주를 픽해 그 당시 적폐챔으로 분류되는 크산테, 암베사를 둘 다 주는 패착을 저질렀다. 이후에는 피드백을 어느 정도 했는지 플레이-인에 들어와선 무난한 밴픽을 선보이며 농심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성공시켰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 KT전에서는 글로벌 밴이 풀린 을 3세트 내내 칼밴하였고, 리헨즈에게 노틸러스, 라칸 등 운영 면에서 강점을 보일 수 있는 픽을 쥐어주며 운영에 약한 KT를 공략하는 밴픽을 보여줬다. 2세트에서 킹겐의 슈퍼 플레이를 보고 코치진들과 함께 격하게 환호한 건 덤. 결국 사전 예상과는 정반대로 레드 진영에서만 플레이해 3:0 스윕을 가져가며 2라운드에 진출, 그룹 배틀과는 다르게 농심만의 강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좋은 밴픽을 선보이면서 Bo3 밴픽은 별로인데 Bo5 밴픽은 잘하는 기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5]

패자조 젠지전에선 김정수 감독을 상대로 밴픽만큼은 압살했다. 비록 경기는 지우의 역대급 역캐리로 3:2로 아쉽게 패했지만, 캐니언의 저점과 젠지의 밴픽 약점을 집요하게 후벼파며 5세트 내내 초반 우위를 가져갔다. 특히 4세트 레드 막픽으로 자크를 뽑으면서 선픽 진을 가져간 젠지를 응징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LCK 컵에서의 최종 평가는 환골탈태. T1전에서 크산테, 암베사를 다 준 희대의 밴픽 이후 제대로 정신 차리면서 피어리스 드래프트에서 자신의 능력을 입증했고, 플레이오프에서는 댄디와 함께 가장 피어리스 밴픽을 잘 구사하는 감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현재 지우가 굉장히 폼이 좋지 않는 만큼, 남은 시간동안 지우의 폼을 최대한 끌어올려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이후 시작된 정규 시즌에서는 2주차까지 3승 1패로 비교적 순항하고 있다. 젠지전에선 압도적 체급 차이로 패배했지만 동부권으로 평가받던 브리온, DN, DRX 상대로 모두 승리했으며, LCK컵에서 불안한 모습을 보이던 지우도 정상궤도로 올라온 모습을 보인 게 긍정적이다. 다만 LCK컵에서도 늘 평가받던 미드에서의 약세 문제를 아직은 극복하지 못했다.

결국 3주차 T1전에서는 피셔 대신 칼릭스가 콜업되어 출전하게 되었으며, 풀세트 끝에 패배한 T1전 이후 인터뷰에서 피셔를 센드다운시키고 칼릭스를 기용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인터뷰에서 밝히길 시즌 개막 전부터 피셔에게 인게임 내 개선점에 대한 요구를 했었고,[6] 해당 요구가 개선되지 않아 과감하게 칼릭스를 콜업하게 된 것이라고 했다.# 이어 4주차까지는 칼릭스가 출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교체 기용에 대해 우려를 표하는 여론에는 '최선의 판단을 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믿고 기다려 주신다면 좋은 상황과 성적으로 보답할 것이다'라는 답변을 통해 일축하였다.

그리고 4주차 피어엑스전에서 콜업된 칼릭스가 세트 통산 21/2/20, KDA 20.5의 엄청난 기량을 보여주며 POM까지 따내는 모습을 보여주며 피셔를 강판하고 칼릭스를 콜업한 용병술이 유효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사실 케스파컵까지 주전이던 실비를 내리고 기드온을 주전으로 기용한 것도 감독의 결정이었는데, 결과적으로 기드온이 크게 스텝업해 무난하게 잘하는 서부권 정글러로 자리잡으며 이 역시 옳은 판단이 되었다.

이어지는 5주차에서는 자신들과 마찬가지로 5승 3패중인 디플러스를 만났는데, 열세로 평가받았고 상성에서도 불리했지만 1세트 후반에서의 실수를 제외하면 그냥 압도하면서 한 수 위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밴픽에서 DK는 많은 실수를 저지른 반면, 밴픽에서 DK를 완벽히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지난 LCK컵에서 GEN전에서 4세트에서 자크를 픽한 것같이 여러 카운터픽을 잘 만들어내고 있으며, 지금까지 킹겐을 이용한 훌륭한 밴픽으로 댄디와 함께 밴픽은 상위권으로 평가받고 있는 중이다.

2라운드 막바지인 8주차에는 시즌 내내 고저점 낙차로 인한 불안정성을 보인 지우를 2군으로 내리고 바이탈을 콜업하는 교체 용병술을 예고했다. 4주차에도 비슷하게 피셔를 내리고 칼릭스를 콜업하여 재미를 봤던 박승진 감독이기에, 8주차 경기 결과에 대한 기대와 의심을 동시에 샀고, 결과적으로 바이탈을 주전으로 기용했던 KT전은 풀꽉 끝에 패배했고, BRO전 1세트도 패배하게 되면서 바이탈 용병술은 실패했다. 다행히 2군에 내려갔던 지우가 2세트 때 교체 출전하여 좋은 모습을 보여주어 BRO전 매치는 승리하게 되면서 연패는 면하게 되었다. 오히려 8주차 경기에서는 바텀의 문제보다 협곡 변경 후 정글-미드가 중요한 메타에서 기드온이 저점을 띄우며 경기를 그르치는 경우가 많아 메타 해석력이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만 사게 되었다.

9주차에는 다소 폼이 떨어졌다고 하지만 엄연히 LCK 강팀인 T1을 상대로 무려 2대0으로 셧아웃을 내며 레전드 그룹을 확정시켰다. 특히 이 날 2군 수련법을 거친 지우가 굉장한 폼을 보여주며 다시 한번 용병술을 증명해냈다. KT와 DK의 레전드 여부가 걸린 최종전 DK전에선 1세트 완패 후 2세트 역전승에 힘입어 4위를 확정지었다. 마지막 3세트에선 대놓고 실험실을 오픈해 미드 코르키에 원딜 닐라를 뽑고 패배하였다.

4위 자격으로 RtM 2라운드에 진출하였으나 1라운드에서 디플러스 기아를 꺾고 올라온 KT 롤스터에게 0:3으로 셧아웃당했다. 특히 2세트에서 카밀을 픽한 다음 오공-빅토르라는 난해한 조합을 가져간 것과 3세트에서 상대의 녹턴에 대처가 안 되는 사이드 특화 챔피언인 케넨을 후픽하며 스스로 망하는 발밴픽을 시전한 것으로 인해 감독도 패배의 원흉으로 지목받는 중이다.

MSI-EWC 휴식기 이후 3라운드에 접어들면서 PO 직행 경쟁을 하는 KT와 다시 맞딱뜨렸으나 RtM 때와 마찬가지로 처참하게 패하고 말았다. 그나마 1세트는 장기전이 나왔지만 2세트는 초반 다이브마저 실패한데다가 킹겐을 밀어주는 팀의 움직임이 한계를 보이면서 무기력하게 패했고, 이후 3강에 해당하는 T1 - 한화생명 - 젠지를 연속으로 만나 연달아 2:0으로 패하며 최초로 단일 라운드 무득세트 전패라는 불명예를 떠안아야 했다. 탑 시팅에만 의존하는 운영은 이미 RtM 시점부터 한계에 달해 있었고, 감을 찾지 못하는 선수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우를 일시적으로 내리고 트리거를 올리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 딱히 달라진 건 없었다. 1, 2라운드에서 강팀들에게 세트승을 거두거나 승리를 했던 모습들은 어디로 갔는지 KT와 함께 젠한티의 승점자판기 수준으로 전락하고 있으며, 설상가상으로 KT에게도 패했기 때문에 PO 직행 가능성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4라운드에서는 다시 지우가 트리거 대신 올라왔고, 4라운드 첫 경기인 한화생명전 2세트에서는 이기기 직전까지 갔으나 쌍둥이 포탑 앞에서의 운영 미숙으로 역전패를 당하며 0:2로 패했다. 한화생명전 2세트의 선전으로 다음 경기들은 그나마 기대할 수 있을까 생각했지만 다음 경기인 T1전에서는 상대의 시그니처 픽들을 모두 풀어주는 이해할 수 없는 운영 등으로 자멸하며 스쿼시 매치를 당했고, 젠지전 역시 시작한 지 16분만에 포탑이 다섯개가 날아가거나 3인 바텀 다이브를 시도했다가 역으로 상대에게 3킬을 떠먹여주는 환장할 운영을 선보이면서 초반부터 게임이 터지며 2연속 스쿼시 매치를 당한 끝에 한 세트도 따내지 못했다. PO 직행의 희망을 살리려면 마지막 KT전에서라도 이겨야 했지만, 로드 투 msi에서 실패한 사이온을 카밀로 뚫는 밴픽을 다시 시도했고 완벽하게 실패해 1:2로 지면서 4라운드도 전패로 마감하고 말았다. 농심이 플레이오프를 직행하려면 5라운드에서 KT를 반드시 이기고 젠한티를 상대로 최소 1승 이상을 거둬야 하는데, 3라운드와 4라운드에서 보여준 모습을 보면 매우 어려운 상태다.

5라운드 역시 T1에게 1세트를 따낸 걸 제외하면 죄다 완패하며, T1에게 업셋 승리를 거둔 KT에 비해 상당히 빛이 바래는 결과를 맞이했다.

플레이-인에서는 라이즈 그룹 3위인 OK브리온을 상대로 1, 2세트를 완승해놓고 3,4세트에서 갑자기 발밴픽을 시전하는 바람에 풀꽉을 시전하게 만드는 원흉이 되었다. 심지어 경기 후 리헨즈의 인터뷰에 따르면 엘리스에 집착하는 것처럼 보였던 리헨즈는 사실 엘리스를 선호하지 않는 정도를 넘어 싫어했지만 박승진 감독이 요구했다고 한다. 그리고 플레이-인에서 리헨즈가 1세트에 니코를 픽한 것이 커리어 첫 니코였던 것은 덤이다. 그리고 기어코 피어엑스전에서 유상욱 감독에게 완벽하게 밴픽 싸움에서 패배하면서 결국 플레이오프 5번 시드를 놓쳐버렸다. 심지어 감코진의 파멸적인 밴픽에 대해서는 '밴 카드를 더 잘 쓸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고 언급했을 뿐 피어엑스전 패배에 대해 "피어엑스의 챔피언 풀이 좁을 줄 알았다"라는 망언부터 시작하여 오롯이 선수들에게 책임을 전가, 이 경기력이면 플레이오프 진출이 힘들 것 같다며 남은 기간 제대로 된 피드백이 진행이나 될 수 있을런지조차 의문인 상황이다. #

그리고 우려는 현실이 되어 최종전에서 디플러스에게 0:3으로 완패를 당하며 시즌을 끝마치고 말았다. 경기력은 완패 수준은 아니긴 하지만 결국엔 대떡 패배였으며, 특히 밴픽적으로는 그 최악 밴픽이라 불리는 벵푸하에게 이겼다고 말하기 힘든 수준인지라 가루가 되도록 까였다.

6. 여담

  • 학력은 가방끈이 짧다고 하는걸로 보아, 고졸로 추정된다.
  • 외모가 담원 게이밍의 너구리와 닮았다는 소리를 자주 듣는다. 선수때나 현재나 멸치라고 불릴 정도로 마른 편.
  • 병역 사항이 특이한데, 신이 선택한 군면제 사나이다. 공익 판정을 받았는데, 프로게이머 은퇴이후 공익 입대 신청을 했지만 3년동안 영장이 나오지 않아 장기 대기 면제자로 병역이 면제된 케이스다.
  • 장비는 커세어 K70 청축 키보드, 커세어 M45 RAPTOR 마우스를 쓴다고 한다.
  • 최근 근황으로는 한국이스포츠아카데미에서 근무중이었으나, 팀 다이나믹스 1군 코치로 갔다.
  • 농심에 다이나믹스가 인수된 이후 숙소에 라면이 없어서 오뚜기 진라면을 사먹다가 걸렸다고 한다(...) 뚜첩 검거 완료
  • 별명은 재앙급 감독 능력을 선보인 뒤로 천천천에서 따와 붙여진 첼첼첼이 있지만, 2024년 서머에 T1을 잡아내고, 2025년 갑자기 Bo5에서 정상적인 밴픽을 선보이면서 다전제를 잘하는데 Bo3 밴픽을 못해서 다전제를 못갔던 감독이 아니냐면서 은근슬쩍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25년 LCK 정규 시즌 시작 후 Bo3 밴픽도 잘하기 시작했으며 디플러스 기아를 잡아내며 농심이 젠지, 한화생명에 이어 2025 LoL Champions Korea 정규시즌 1라운드 3위에 오르게 되자 커뮤니티에서는 첼리가 LCK 3대 명장이라는 드립 등이 나오고 있다.[7] 다만 정규 시즌에서는 다소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플레이인에 들어온 뒤로는 최악의 밴픽을 남발하면서, 금방 이 드립은 사그라들었다.

7. 둘러보기

박승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f55d9><tablebgcolor=#bf55d9> 파일:CK_logo_white.png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리그 구조 개편으로 NLB 폐지, 2부 리그 CK 신설
2015 스프링 1차 파일:600px-Anarchylogo_square.png Vitamin · Bubbling · Mickey · Sangyoon · SnowFlower
스프링 2차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Winners_Logo.png Lego77 · Murphy · Moon · GankZero · BokGu
서머1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Dark_Wolveslogo_square.png Cube · Krvavy · Kyle · Chelly · Jelly
서머2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svg TrAce · Winged · Chaser · Kuzan · GBM · Pilot · Cpt Jack · Sweet · Chei
2016 스프링 파일:ESCEVER.png Crazy · Ares · Bless · Ryan · Tempt · LokeN · Key · Totoro
서머 파일:y0HwV1E.png Roach · Hipo · Punch · Crush · Edge · SSol · GuGer
2017 스프링 파일:external/s20.postimg.org/Ever_Eight_Winners_Logo.png Helper · Malrang · OldB · Cepted · Deul · Ella · Kkyul
서머 파일:CJ 엔투스 로고.svg Soul · Racoon · Winged · Candy · Veritas · Avenger · Pure
2018 스프링 파일:griffin.png Sword · Tarzan · Gankster · Rather · Chovy · Viper · Lehends · Newt
서머 파일:DAMWON.png <colcolor=#fff> Nuguri · Punch · ShowMaker · Nuclear · Hoit · BeryL
2019 스프링 파일:300px-ES_Sharkslogo_square.png Jisu · Catch · Kuzan · Light · GuGer
서머 파일:Team Dynamics.png Jisu · Ganknam · Vins · Danchung · Light · GuGer · Starrain
2020 스프링 파일:Seorabeol_Gaminglogo.png
Thal · Lapis · KaKAO · DanChung · Gone · Sangyoon · Bini · Nova · Harp
서머 파일:AWESOME_SPEAR.png Chasy · Crush · Crow · cepted · Prince · Zzus
리그 구조 개편으로 CK 폐지, 2군 리그 LCK CL 및 연습생 리그 LCK AS 신설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CL 로고 화이트 (2021~).svgLCK Challengers League
역대 우승 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시즌 대회 우승팀 스태프
CK 폐지 후 LCK CL 출범.
2021 스프링 파일:T1 LoL 로고.svg Bengi · sayho
서머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Dokgo
2022 스프링 파일:DWG KIA 엠블럼.svg Hachani · Woong
서머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Chelly · Chico · Noblesse
2023 스프링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Bubbling
서머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Sound · SSUN
2024 스프링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Sonstar · Lilac · Spark
서머
2025 킥오프 Spark · Lilac
정규 시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 파일:ECEA 로고.svgEsports Championships East Asia
League of Legends

역대 우승자
}}} ||
{{{#!wiki style="color: white;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시즌 우승국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파일:TOP_icon_black.png
TOP
파일:JGL_icon_black.png
JGL
파일:MID_icon_black.png
MID
파일:ADC_icon_black.png
BOT
파일:SUP_icon_black.png
SPT
파일:SUB_icon_black.png
SUB
파일:Coach_icon.png
COACH
<colbgcolor=#fff><rowcolor=#61b52f> 20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lllI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onni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olan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Envy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Jeong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icL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anBazi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hot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uc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IEST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ahe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et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olan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ell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Noblesse
20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oost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amBa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ali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ita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ur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a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ell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ilac
2024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Nuo
파일:중국 국기.svg
climber
파일:중국 국기.svg
xqw
파일:중국 국기.svg
chips
파일:중국 국기.svg
Mitsuki
- 파일:중국 국기.svg
BoBo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e2027><tablebgcolor=#de2027>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화이트.svgNongShim RedForce
역대 감독
}}}
{{{#!wiki style="color: #de2027;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1대 2대 3대
4대
5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시경
(20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희근
SoulStrikes

(20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민석
Bigfafa

(20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배지훈
sBs

(2020~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영철
irean

(2022~2024)
<rowcolor=#fff> 5대 6대
감독 대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승진
Chelly

(20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승진
Chelly

(2024~)
}}}}}}}}} ||

[1] 前 jinny[2] 4급 사유는 불명. 입영신청을 할 경우 소집순위가 3순위까지 오르기 때문에 장기대기를 받기 어렵다는 것을 생각해 본다면 굉장히 운이 좋은 케이스에 해당한다.[3] 플레이-인 승리 후 인터뷰에서 박승진 감독 본인이 직접 언급한 내용에 따르면, 리헨즈의 엘리스 픽은 선수의 선호도가 아닌 감독이 계속해서 요구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4] 플레이-인에서 리헨즈가 니코를 고른 게 커리어 통산 첫 니코였다. 니코가 2025시즌 주류 서폿이 된 것이 꽤 된데다, 니코라는 주류 픽을 숨기는 것도 의미가 없는 상황에서 굳이 후반기 정규시즌에 단 한차례도 고르지 않았다는 점은 의문이다.[5] 의외로 박승진 감독은 2군 시절부터 Bo5에서 유달리 승률이 좋은 모습을 보여줬는데, 2군 시절과 1군 시절 합쳐서 Bo5에서 10승 2패, 특히 5세트 승률은 무려 6승 1패를 기록 중이다.[6] 인터뷰에서는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나, 여러 정황을 고려했을 때 팀게임에서 오더를 맡는 선수들의 오더를 듣지 않고 단독행동을 하다 게임을 그르치는 행동들로 보인다.[7] 김정수, 댄디, 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