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구로구의회 의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2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2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문쾌식 | 박승식 → 문쾌식 | 류근무 | 류근무 | |
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허삼남 | 정승우 → 윤주철 | 최재무 | 정달호 | |
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김경훈 | 홍춘표 | 김병훈 | 황규복 | |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김명조 | 박용순 | 박칠성 | 박동웅 | |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곽윤희 | 정대근 | }}}}}}}}} |
제8대 후반기 구로구의회 의장 | |||
전 6·7·8대 구로구의원 박동웅 朴東雄 | Park Dong-woong | |||
| |||
<colbgcolor=#152484><colcolor=#fff> 출생 | 1967년 8월 25일 ([age(1967-08-25)]세) | ||
전라북도 부안군 (현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 |||
선거구 | 구로구 마 선거구 (개봉2·3동) | ||
의원 선수 | 3 | ||
의원 대수 | 6, 7, 8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52484><colcolor=#fff> 학력 |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전공/ 박사 과정) |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대위 전역 [1] | ||
소속 정당 | |||
경력 | 제8대 구로구의회 의장 제6,7,8대 구로구의회 의원 구로구 도시계획심의위원회 위원 제6대 후반기 구로구의회 운영위원장 제7대 후반기 구로구의회 부의장 한양대학교 도시공학박사 경희대학교 시간강사 | }}}}}}}}} |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2. 생애
1967년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태어났다.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구로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RISS를 살펴보면 2012년에 수료 신분으로 논문이 개제된 것으로 보아 해당시기 전후에 도시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구로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구로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최근 2025년 재보궐선거 더불어민주당 구로구청장 경선과정에서 밝혀진 것에 따르면 3선 구의원 시절 공익활동 촉진, 민관협치 활성화 조례 등 주민자치나 풀뿌리 민주주의에 꽤나 관심이 많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서울시 최초로 여성청소년 생리용품을 지원했는데 이 역시 3선 구의원 시절에 입법한 것으로 보인다.기사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인 장인홍 의원을 상대로 경선을 승리하면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구로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문헌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문헌일 구청장이 사직하면서 열린 2025년 재보궐선거에서 구로구청장 재도전을 선언했다. 기사에 따르면 도시계획을 통해 구로가치를 확실하게 업그레드시키겠다고 '구로가치론'을 내세우고 사회적 약자 배려, 교육정책 확립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당내 경선에서 결선투표까지 진출하였으나 장인홍 전 시의원에 밀려 최종 공천은 받지 못했다. 그 배경으로는 8회 지선 때의 패배로 인한 불신이라는 의견, 또는 당안팎 일각에서는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 경선방식과 박동웅 후보에 대한 허위사실유포 등이 불리하게 작용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2]
3.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구로 마 | [[민주당(2008년)| | 8,588 (34.72%) | 당선 (1위) | 초선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새정치민주연합| | 13,907 (49.97%) | 재선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16,317 (58.10%) | 3선 |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구로구청장 | 88,331 (47.74%) | 낙선 (2위) | [3] |
역대 후보 이력 | |||||||||||||||||||||||||||||||||||||||||||||||||||||||||||||||||||||||||||||||||
|
4. 수상 이력
- 2017, 2018, 2020, 2021 구로구청직원이 선정한 우수 구의원- 2021 the300 theLeader 「지방자치정책대상」
- (사)시민이 만드는 생활정책연구원 「내 삶을 바꾸는 생활정책대상」
- 2020 TV서울 「기초의원 부문 의정대상」
- 2020 전국시군자치구의회의장협의회 「지방의정봉사상」
- 구로오늘신문 「2019 의정스타상」수상
- 전국지역신문협회 「2016 의정대상」수상
[1] 1군단 7야포단[2] 8회 지선에서 민주당이 전통의 강세지역 노도강금관구에서도 부진했는데, 그 중 구청장, 구의회 과반, 시의원 전원을 다 잃은 도봉구가 제일 성적이 안 좋았고 시의원만 배출에 성공한 구로구가 그 다음이었는데 박동웅은 도봉보다 더 크게 졌다. 걔다가 지난 지선 때 시의원으로 출마했고 이번에 예비후보로 경쟁한 박무영보다 지역 득표율도 낮을 정도로 개인 경쟁력의 문제도 드러낸 바 있기 때문에 지역에서 불신을 사는 것이 이상하진 않다. 무엇보다 장인홍은 구로 토박이에 시의원을 두번 지냈고 지선 때 끝까지 경쟁한 만만찮은 후보임에도 그가 경선 과정에서 패배한 예비후보들의 지지를 모으는데 이상하게도 아무것도 하지 않았으니 패배는 당연해 보인다.[3] 4번의 선거 중 첫 낙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