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7 19:59:54

미국 합동참모의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169e1> 파일:미합중국 합동참모본부.svg미합중국 합동참모본부
현역 대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파일:미합중국 합동참모의장기.svg 합동참모의장
존 케인 (공군)
파일:미합중국 합동참모차장기.svg 합동참모차장
크리스토퍼 그레이디 (해군)
파일:미합중국 육군참모총장기.svg
육군참모총장
파일:미합중국 해군참모총장기.svg
해군참모총장
파일:미합중국 공군참모총장기.svg
공군참모총장
랜디 조지 대릴 커들 데이비드 올빈
파일:미합중국 육군참모차장기.svg
육군참모차장
파일:미합중국 해군참모차장기.svg
해군참모차장
파일:미합중국 공군참모차장기.svg
공군참모차장
제임스 밍거스 제임스 킬비 공석
파일:미합중국 해병대사령관기.svg
해병대사령관
파일:미합중국 우주군참모총장기.svg
우주군참모총장
에릭 스미스 챈스 솔츠먼
파일:미합중국 해병대장기.svg
해병대 부사령관
파일:미합중국 우주군참모차장기.svg
우주군참모차장
크리스토퍼 마호니 숀 브래턴
파일:미국 주방위군총감기.svg 주방위군총감
스티븐 노드하우스 (공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366cc> 파일:미합중국 합동참모의장기.svg미합중국
합동참모의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우주군
<rowcolor=#0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육군
오마 브래들리
해군
아서 래드포드
공군
네이선 트와이닝
육군
리먼 렘니처
육군
맥스웰 테일러
<rowcolor=#000>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육군
얼 휠러
해군
토머스 무어
공군
조지 브라운
공군
데이비드 존스
육군
존 베시
<rowcolor=#000>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해군
윌리엄 크로
육군
콜린 파월
육군
존 샬리카시빌리
육군
휴 셸턴
공군
리처드 마이어스
<rowcolor=#000>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해병대
피터 페이스
해군
마이크 멀린
육군
마틴 뎀프시
해병대
조지프 던퍼드
육군
마크 밀리
<rowcolor=#000> 제21대 제22대
공군
찰스 브라운
공군
댄 케인
}}}}}}}}}
<colbgcolor=#3366cc><colcolor=#fff> 파일:미합중국 합동참모의장기.svg
미합중국 합동참모의장
United States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파일:U.S.General_John_D._Caine.jpg
현직 댄 케인 / 제22대
취임일 2025년 4월 11일

1. 개요2. 특징3. 임명4. 역사5. 둘러보기

1. 개요

합동참모본부의 장(長)이다.

2. 특징

미군대장 중 서열 1위이지만[1] 대통령, 국방장관에게 군사적 조언만을 수행하는 참모이기 때문에 통합전투사령관, 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 유엔군사령관들과는 달리 군령권, 군정권이 없다.

3. 임명

대통령이 먼저 현직 대장들 중 지목한 뒤 상원의원들의 군사위원회 심사 진행 후 투표로 임명된다. 이론상 중장들 중 지목 후 합동참모의장 후보 등록/임명이 가능하긴 하지만 아직까지 그런 선례는 없다.[2] 또한 합동참모차장과 같은 군종이어도 무관하지만 군사적 균형을 위해 다른 군종 출신 대장이 임명된다.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이전 합동참모의장과는 다른 군종 출신의 대장을 임명했으나 리먼 렘니처 육군 대장에 이어 존 F. 케네디맥스웰 테일러 육군 대장을 임명하면서 이 전통이 금방 깨졌다.

육군전력사령관, 함대전력사령관, 공군지구권타격사령관을 비롯한 대장들 역시 후보로 거론될 수 있지만 합동참모로서의 자격을 먼저 검토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통합전투사령관도 아닌 사령관들이 임명될 확률은 아주 작다. 우주군참모총장, 우주군사령관도 일단 대장이긴 하지만 우주군의 역사가 짧고 외교적 입지도 약한 편이라 임명될 일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4. 역사

육해군 총사령관 참모총장[3]이라는 특이한 직위가 태평양 전쟁 당시 존재했으며, 명목상 초대 합동참모의장으로 여겨진다. 윌리엄 리히 원수가 역임했으며,[4] 이후 오마 브래들리 대장이 1949년 8월 19일 합동참모의장으로 임명됐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518f>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미합중국 육해군
총사령관 참모총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윌리엄 리히
합동참모의장 }}}}}}}}}


[1] 단 군령권이 없기 때문에 전시상황에서 우선권이 밀려날 수 있다.[2] 참모총장, 통합전투사령관의 경우는 가능[3] Chief of Staff to the Commander in Chief of the Army and Navy[4] 물론 대장 때 임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