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14:07:44

조지 S. 브라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366cc> 파일:미합중국 합동참모의장기.svg미합중국
합동참모의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우주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육군
오마 브래들리
해군
아서 래드포드
공군
네이선 트와이닝
육군
리먼 렘니처
육군
맥스웰 테일러
<rowcolor=#fff>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육군
얼 휠러
해군
토머스 H. 무어
공군
조지 S. 브라운
공군
데이비드 C. 존스
육군
존 베시
<rowcolor=#fff>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해군
윌리엄 크로우
육군
콜린 파월
육군
존 샬리카시빌리
육군
휴 쉘튼
공군
리처드 마이어스
<rowcolor=#fff>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해병대
피터 페이스
해군
마이크 멀린
육군
마틴 뎀프시
해병대
조지프 던퍼드
육군
마크 밀리
<rowcolor=#fff> 제21대
공군
찰스 브라운
}}}}}}}}}

<colbgcolor=#3366cc><colcolor=#ffffff>
미합중국 제8대 합동참모의장
조지 S. 브라운
George S. Brown
파일:1000071042.jpg
본명 조지 스크래칠리 브라운
George Scratchley Brown
출생 1918년 8월 17일
뉴저지주 몬트클레어
사망 1978년 12월 5일 (향년 84세)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 기지
묘소 알링턴 국립묘지
재임기간 제8대 공군참모총장
1973년 8월 1일 ~ 1974년 6월 30일
제8대 합동참모의장
1974년 7월 1일 ~ 1978년 6월 20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366cc><colcolor=#ffffff> 임관 미국육군사관학교
복무 미주리 주방위군
1936년 ~ 1937년
미국 육군
1941년 ~ 1947년
미국 공군
1947년 ~ 1978년
최종 계급 대장 (미합중국 공군)
주요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주요 서훈 수훈십자장
국방공로훈장
은성훈장
해군공로훈장
공군공로훈장 (4회)
항공훈장
수훈비행십자장 (2회)
동성훈장
항공훈장 (2회)
미국 공로훈장 (3회)
}}}}}}}}}

1. 개요2. 생애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군인.

2. 생애

뉴저지주 몬트클레어에서 군인인 소번 케이 브라운의 아들로 태어났고 캔자스, 미주리에서 성장했으며 보이스카우트에 입단했고 미식축구 선수로 활동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주리 주방위군에 입대해 1년만에 상병까지 진급했다. 1937년 육군사관학교에 입교했고 미식축구 선수로 맹활약했다.[1] 1941년 졸업하고 보병 소위로 임관했으나 육군 항공대에 지원해 조종과정을 수료하고 1942년 조종 커리어를 시작했다.

폭격기에 배치되었고 국내에서 복무하다가 제8공군 소속으로 북아프리카 전선에 투입되었다. 이후 애디슨 베이커 중령[2]의 지휘로 루마니아 폭격에 참가했고 유럽전선에서 활약해 은성훈장, 각종 공로훈장을 수여받았다. 1944년 전시계급 대령으로 진급했고 귀국해 육군 항공교육사령부에서 부참모장으로 복무했다.

전후 원 계급인 대위로 복귀해 여러 직책을 역임했고 1948년 영구계급 소령으로 진급했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참가해 여러 폭격임무에 참가했다. 국방참모대학을 졸업하고 합동참모본부에서 복무하다가 1959년 준장으로 진급했다. 1968년 제7공군사령관으로 롤링썬더 작전 후반부를 지휘했다. 1970년 귀국해 1973년 공군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

1년 뒤 토머스 무어의 후임으로 합동참모의장으로 영전했다. 그가 재임하던 시가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으로 인해 한반도가 혼란스러웠고 1975년 북베트남군 춘계 공세로 인해 사이공이 함락되자 미국인과 남베트남인을 구출하는 작전을 진행했다. 닉슨 행정부가 끝나고 카터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도 합참의장 직책을 유지했다. 하지만 1978년 초 방광암을 판정받고 예편했고 그 해 12월 사망했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100b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CoSUSAF.svg.png미합중국
공군참모총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칼 스파츠 호이트 반덴버그 네이선 트와이닝 토머스 D. 화이트 커티스 르메이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존 매코넬 존 라이언 조지 S. 브라운 데이비드 C. 존스 루 앨런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찰스 게이브리얼 래리 웰치 마이클 듀건 메릴 맥피크 로널드 포글먼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마이클 라이언 존 점퍼 마이클 모슬리 노턴 슈워츠 마크 웰시
제21대 제22대 제23대
데이비드 골드파인 찰스 브라운 데이비드 올빈 }}}}}}}}}



[1] 당시 룸메이트는 후일 중장까지 진급하는 존 노턴이였다.[2] 명예 훈장 수훈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