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멤버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colbgcolor=#7f7377><color=#e7e8da> 종영 당시 멤버 ||
박명수 [[박명수/무한도전| /무한도전]] | 정준하 [[정준하/무한도전|/무한도전]] | 유재석 [[유재석/무한도전|/무한도전]] | 하하 [[하하(가수)/무한도전|/무한도전]] | 조세호 [[조세호/무한도전|/무한도전]] | 양세형 [[양세형/무한도전|/무한도전]]이전 멤버 전진 [[전진(신화)/무한도전| /무한도전]] | 길 [[길(가수)/무한도전|/무한도전]] | 노홍철 [[노홍철/무한도전|/무한도전]] | 정형돈 [[정형돈/무한도전|/무한도전]] | 황광희 [[황광희/무한도전|/무한도전]]기타 관련 인물
문서가 없는 정규편성 이전 멤버는 무한도전/멤버 문서 참조김태호 | 여운혁 | 제영재 | 김란주| 기타 출연진 | 제작진 | 표영호 [[표영호/무한도전| /무한도전]] | 김성수 [[김성수(쿨)/무한도전|/무한도전]] | 이윤석 [[이윤석/무한도전|/무한도전]]
- [ 프로그램 구성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 color=#7f7377><colbgcolor=#7f7377><color=#e7e8da> 역대 시즌 ||
무모한 도전(1기) | 무리한 도전(2기) | 무한도전/퀴즈의 달인(2.5기) | 무한도전(3기) 방영 목록 독립 이전 | 2006년~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역대 코너와 특집 | 무산된 특집프로그램 구성 역대 변천사 | 프로그램 구성 (자막 | 마스코트) | 가요제 | 추격전 | 공포 특집 | 달력 특집 |
스포츠 특집 | 공연 특집 | 무한상사 | 무한뉴스 | 일찍 와주길 바라 | 10주년 대기획
- [ 캐릭터 · 밈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7f7377><color=#e7e8da> 캐릭터 및 부캐 ||
캐릭터 및 소그룹 | 1인자와 2인자 | 거성 | 하와 수 / 토크 | 유돈노 | 신구데블스 |
번지점프 팀 | 무한재석교 | 미존개오 | 쩌리짱 | 뚱스 | 휴먼광희체 | 햇님달님 |
하이브리드 샘이솟아 리오레이비 | 하찮은 | 대북곤 | 방배동 노라 정준연 | 테리 정무한상사 무한상사 등장인물 | 유재석 부장 (유 본부장) | 박명수 차장 | 정준하 과장 | 정형돈 대리 |
노홍철 사원 | 하동훈 사원 | 길성준 인턴 → 사원 | 황광희 인턴 → 사원 | 권지용 사원유행어 및 밈 해골|무한이기주의 | 불장난 댄스 | 안녕하셨쎄요 | 쌩얼 | 보고 있나 | 홍철 없는 홍철팀 | 저질 댄스 | 족발당수 | 쩜오 | 행쇼 | 무리수 | 형이 왜 거기서 나와 | 히트다 히트 | 휴먼광희체 | 무야호 | 앵귀리지 한인회관 | 사랑아 보영해 | 박보검~나 웃겨 | 엄마 나 이번에 퇴비쌓기 올리기 1등 했어요 | 힘을 내요 슈퍼파월 | 북극곰은 사람을 찢어 | 하하 유니버스 | 자 이게 클릭이야 | 네가 하면 나도 한다 | 아유... 하기 싫어... | 느그 아부지 뭐하시노| 오빠, 나 몰라?| 출바알 | 이제는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다 | 쪼쪼 댄스 | 모든 미디어가 나예요 | 3대 킬러 | 3대 미스터리 | 잘생겨서 안 좋은 점
-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7F7377><table bgcolor=#7F7377> | 무한도전 스포츠 특집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7F7377> 2007년 | 댄스 스포츠 | |
2008년 | 이색 올림픽|베이징 올림픽|에어로빅 | ||
2009년 | 봅슬레이에 도전하다! - 마지막 1분 | ||
2010년 | 복싱|카레이싱|레슬링 | ||
2011년 | 동계올림픽|조정 | ||
2013년 | 응원단 | ||
2014년 | 스피드 레이서 |
1. 개요
2007년 11월 24일, 12월 1일 & 8일에 80~82회로 방영된 특집.「무한도전의 첫 번째 장기 프로젝트 겸 스포츠 특집」이라는 의의가 있다. 지난 2006년 도전 슈퍼 모델 편에서의 패션쇼에 이어 진지한 분야에 간만에 도전했다.
2. 목록
2.1. 1부(80회)
2.2. 2부(81회)
2.3. 3부(82회)
다시보기자기 차례가 각자 끝난 후 쉬고 있는데 아쉬움과 후련함에 박명수만 빼고[1] 다들 울었다... 여담으로 일산 MBC 드림센터의 MBC의 역사를 전시한 곳에서 MBC 역대 프로그램의 샘플을 볼 수 있는 TV들이 있는데, 2006~2007년 모니터의 무한도전 샘플로 나온 에피소드가 바로 이 편.
3. 멤버별 평가
2007년 당시 기사 평가 참조- 유재석 - 동작 하나하나 기교나 테크닉은 부족했지만 정말 열심히 하는 그 모습이 웃음을 자아냈다. 메뚜기가 비상하듯 화려하게 날개짓하는 유재석은 뻣뻣한 자이브의 진수를 보여줘 큰웃음을 선사했다. 진정으로 최선을 다한 유재석의 노고는 가슴에 맺힌 땀방울들로 충분히 설명됐다.
- 박명수 - 등장부터 고품격 무도회에 참석한 백작같은 포스로 내내 무표정 포커페이스를 유지했다. 아마 멤버들 중 가장 긴장하지 않고 여유로운 모습을 보인게 박명수일 것이다. 턱시도 입은 박명수는 그 자체만으로도 웃음을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 하하 - 왕년 댄스가수 출신. 멤버들 중 가장 춤 실력이 뛰어났다. 시종일관 ‘난 정말 못하는게 없어’ 라는 표정으로 꼬마가 아닌 남자로 카리스마를 뿜어냈다. 화려한 개인기와 퍼포먼스를 선보인 하하는 특유의 거만한 표정으로 폭소를 자아냈다.
- 정준하 - 대회 내내 가장 긴장한 표정이 역력했다. 덩치에 걸맞지 않게 불안 초조한 표정이 그대로 드러나 드라큘라 같은 컨셉과 경직된 얼굴표정이 따로 놀아 웃음을 선사했다.
- 노홍철 - 한때 그의 오버스러움(?)이 계산된 컨셉이 아닐까 생각한 적이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본 노홍철은 연기가 아니었다. 그는 진심으로 그 상황을 즐기고 있었다. 그 특유의 오버스러움이 댄스로 승화돼 화려하게 날개짓했다. 언제라도 ‘좋아! 가는거야!’라고 통쾌하게 외쳐줄 것 같은 노홍철은 춤동작 보다 그의 표정 연기에 더욱 시선이 머물렀다.
- 정형돈 - 턱시도를 차려입어 파트너와 가장 호흡이 잘 맞았다. 여성 파트너를 리드하며 가벼운(?) 몸짓으로 진지하게 무대를 뛰어다녀 탄성을 자아냈다.
4. 여담
- 비록 결과는 아쉽게 모두 예선 탈락이었지만 무한도전이 댄스 스포츠를 소개하고 나서 대한체육회의 선수 및 팀 등록 현황 자료를 보면 댄스 스포츠에 등록된 선수들 추이는 2007년 704명에서 2012년 841명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2015년 국민생활체육회의 자료에 따르면 이 특집을 방영한지 5년 뒤인 2011년 이후에도 3년간 361%라는 동호인 수 증가율을 보여주었다.
- 훗날 300회 특집에서 유재석이 가장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로 선정했다.
- 패리스 힐튼 특집은 사전에 계획이 유출되는 바람에 다른 방향으로 녹화했으나 재미도 그다지 없었고 댄스 스포츠 특집 중간에 뜬금없이 끼어 들어간 터라 평가가 좋지 못했다.
5. 둘러보기
무한도전의 역대 에피소드 | ||||||||||
대체에너지 | → | 댄스 스포츠 1부 | → | 댄스 스포츠 2부 / 패리스 힐튼 특집 | → | 댄스 스포츠 3부 | → | 2008년 달력 만들기 |
[1] 이때 다들 울고있는데, 박명수만 당황한 표정으로 두리번거리는게 압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