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디즈니 히어로즈의 영웅}}}에 대한 내용은 [[메리다(디즈니 히어로즈: 배틀 모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메리다(디즈니 히어로즈: 배틀 모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메리다(디즈니 히어로즈: 배틀 모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디즈니 히어로즈의 영웅: }}}[[메리다(디즈니 히어로즈: 배틀 모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메리다(디즈니 히어로즈: 배틀 모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메리다(디즈니 히어로즈: 배틀 모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 백설공주 ◆ 신데렐라 ◆ 오로라 ◆ 에리얼 ◆ 벨 ◆ 자스민 ◆ 포카혼타스 ◆ 뮬란 ◆ 티아나 ◆ 라푼젤 ◆ 메리다 ◆ 모아나 ◆ 라야 |
겨울왕국 프린세스 | |
◆ 안나 ◆ 엘사 |
<colcolor=#ffffff> 메리다 Merida | |||
<nopad> | |||
첫 등장 | <colbgcolor=#fff,#1f2023>메리다와 마법의 숲(2012) | ||
나이 | 16세 | ||
직위 | 공주 | ||
국적 | 던브로크 연합왕국[1] | ||
가족 | 아버지 퍼거슨 왕 어머니 엘레노어 왕비 세 쌍둥이 남동생(해리스, 후버트, 해미쉬) | ||
캐릭터 송 | Touch the Sky Into the Open Air Noble Maiden fair (듀엣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성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켈리 맥도널드 페이지 바커(아역) 루스 콘웰(리틀 프린세스 소피아, 레고 시리즈) | |
| 강소라[2] 김미랑(아역) 사문영(리틀 프린세스 소피아) 은정(주먹왕 랄프 2, 레고 시리즈) | ||
| 오오시마 유코 시미즈 시온(아역) 토요구치 메구미(레고 픽사: 브릭툰즈) | }}}}}}}}} |
1. 개요
메리다와 마법의 숲의 주인공. 최초의 픽사 제작 공주이자 픽사의 최초 여성 주인공, 최초의 솔로 타이틀을 가졌으며 뮬란과 더불어 대표적인 여전사 캐릭터이다.2. 비주얼
|
전신 일러스트 |
|
순서대로 메리다와 마법의 숲, 리틀 프린세스 소피아,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
곱슬거리고 헝클어진 붉은 색 머리카락과[3] 큰 키를 가졌다. 또한 동그란 얼굴에 피부는 하얀 편이고 살짝 홍조를 띤다. 주근깨가 있으며 벽안이다.
대부분의 디즈니 프린세스에 비해 흔히 생각하는 미소녀 이미지가 아니라 외모비교를 많이 당하는데, 작품성 자체가 외모를 미형과 거리가 멀게 디자인한 것이라[4] 다른 디즈니 프린세스와의 외모비교는 무의미하다.
사진의 맨 오른쪽은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의 예고편에 출연한 메리다인데, 기존 디즈니 프린세스와 차별점을 둔 외모에서 갑자기 크고 동그란 눈과 작고 갸름한 얼굴을 가진 외모로 바뀌어버렸다.
2.1. 외모 차별화
주인공 메리다는 우선 공주치고는 매우 이례적인 외양을 갖추고 있다. 기본 특성이 미소녀인 디즈니 공주들과 달리 둥글고 큰 얼굴에 상대적으로 작은 눈, 산발, 펑퍼짐한 몸매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제작사 측에서도 의도적으로 "외모가 뛰어나지 않은 공주"라는 콘셉트에 따라 기존의 공주들과 차별화되게 제작했다는 점을 제일 많이 강조했다. 비슷한 시기에 나온 3D 디즈니 프린세스인 라푼젤 등 기존 디즈니 프린세스보다 한층 눈이 커다랗고 아니메스러운 캐릭터들이라 이런 점이 더욱 도드라진다.3. 작중 행적
3.1. 메리다와 마법의 숲
3.2.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
|
|
3.3. 원스 어폰 어 타임
원작 이후의 이야기. 퍼거슨 왕은 정체불명의 군대의 침략에 마녀와 계약해 받은 마법의 투구로 전쟁에서 승리하고자 하나 본인은 전쟁터에서 목숨을 잃게 되고 마녀는 투구를 반환하지 않으면 왕국 사람들 모두를 곰으로 만들어버리겠다는 위협을 한다. 메리다는 뮬란, 빨간 두건과 함께 투구를 전리품으로 가져간 침략자를 추적한다.모든 시련을 극복하고 밝혀진 사실은 이 모든 것이 마녀가 퍼거슨 왕의 요청인 왕국을 지켜나갈 수단을 달라는 것을 메리다를 왕국의 진정한 지도자로 단련시키는 것으로 들어주려 했던 것으로 마녀는 이야기 초반 마치 이 시리즈의 부당 계약으로 유명한 마왕 럼플스틸츠킨과 아주 유사한 연기를 하며 악역을 담당하는 듯 했지만 이 녀석도 사실은 좋은 녀석이었어라는 결론으로 마지막엔 추가적인 선물까지 메리다에게 전해주며 훈훈하게 퇴장한다.
4. 평가
메리다와 마법의 숲/논란 참조.5. 기타
- 붉은 머리, 스코틀랜드 억양, 궁수 콘셉트, 성격 등 때문에 왕좌의 게임의 이그리트를 떠올린 사람들이 많았다."A gave ma mammy a cake, she turned intae a big bear, ma old yin tried tae dae her in. If that's no a pure mess, I don't know whit is." (스코틀랜드 사투리)"I gave my mother a cake, she turned into a big bear, my old man tried to kill her. If that's not a total mess, I don't know what is." (표준 영어 번역)"내가 엄마한테 케이크를 줬더니 엄마가 큰 곰으로 변하고 아빠가 엄마를 죽이려 들었어. 이게 난장판이 아니면 뭐가 난장판이겠어." (한국어 번역)"Lang may yer lum reek, and may a moose ne'er leave your girnal with a teardrop in his eye! Haste Ye Back, wee Lassie." (스코틀랜드 사투리)"Long may your chimney smoke and may the best you have ever seen be the worst you will ever see. See you soon." (표준 영어 번역)
- 주먹왕 랄프 2 트레일러에서 자신의 작품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원작보다도 과장된 스코틀랜드 사투리 때문에 대사를 도저히 알아먹을 수 없는 개그를 찍는다. 모아나와 안나가 바넬로피 본 슈위츠에게 "우리도 쟤가 뭔 소리 하는지 몰라. 다른 스튜디오에서 왔거든."이라는 메타 개그를 치는 건 덤. 개봉판에서는 억양이 조금 부드러워졌다.
- 디즈니 프린세스 중에서는 유일하게 남동생들이 존재하는 공주다.[8]
- 이전의 다른 디즈니 프린세스들과는 다르게 제대로 된 뮤지컬 씬이 없는 캐릭터이지만, 작품의 주제곡인 Touch the Sky가 워낙 명곡이고 메리다와도 딱 맞는지라 디즈니 파크 등지에선 뮤지컬 공연에 메리다가 나와서 직접 해당 곡을 부르는 일이 많다. 이때도 스코틀랜드 악센트를 살려서 부른다.
[1] 배경이 스코틀랜드다.[2] 팟캐스트 더빙의 신에서 성우 소연이 밝힌바에 따르면 자신이 캐스팅 되어서 맡기로 한 역할인줄 알고 있었는데 얼마 뒤에 연예인 더빙으로 바뀌었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한다.[3] 다른 디즈니 프린세스들에 비해 머릿결이 매우 나쁜 편이라 국내 한정으로 팔도비빔면이라는 굴욕적인 별명이 붙었다. 덤으로 저런 붉은 머리카락+주근깨+하얀피부를 보통 서양권에서 진저라 불린다.[4] 초기 콘셉트 아트에는 미소녀였다.[5] 사실 이렇게 바뀐건 모두 마찬가지다.[6] 더빙판에서는 이상한 한국어(?) 발음으로 속사포로 말을 한다. 아, 마버베 수페 가서 아무데나 화살을 쏴도 그대로 꼬치면 조켔타! 호ㅋ시 실풰하면 마ㄹ해! 경상도 사투리를 쓰면 딱이었을 텐데[7] 참고로 화살 위에 앉은 쥐는 신데렐라의 가장 큰 조력자 듀오인 자크와 거스. 날아갈 때 신데렐라 본작에서 나온 목소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8] 애초에 대부분의 디즈니 프린세스들은 거의 외동딸들이며, 메리다 외에 친형제/자매가 있는 공주들은 에리얼, 엘사, 안나, 모아나가 전부인데 모두 언니나 여동생들뿐이고 오빠나 남동생은 메리다 말고는 아무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