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ugar |
1. 개요
머큐리 쿠거의 7세대 차량이다.2. 상세
2.1. 7세대 (1989~1997)
| | ||
<rowcolor=#fff> 전면부 (XR7 사양) | 후면부 (LS 사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
초기형 (1989~1990) |
1988년 12월 26일에 1989년형으로 출시되었으며, 머큐리 브랜드의 플래그십 쿠페 역할을 담당했다. 차량의 개발은 1984년 2분기부터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링컨 마크 VIII, 10세대 포드 썬더버드 등에 적용된 후륜구동 형태의 포드 MN12 플랫폼이 탑재되어 썬더버드와의 차별화가 이루어졌다.[1] 개발비는 약 20억 달러[2] 정도였으며, BMW 6시리즈, 메르세데스-벤츠 560SEC, 재규어 XJS의 조향 능력 등을 벤치마킹했다.
개발 와중에 아큐라 레전드와 같은 일본제 고급차의 개발로 인해 제너럴 모터스 역시 G 플랫폼 차량을 전륜구동 형태로 바꾸면서 경쟁사 차량인 쿠거 역시 변화가 이루어졌다. 포드 썬더버드와는 펜더 및 도어 일부를 공유하나 이전 세대에 비해 공유하는 부분이 다소 줄어든 편이었다. 차량의 플랫폼이 길어진면서 1982년 이후 처음으로 5인승 형태의 차량으로 구성되었다.
이전 세대 차량이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면서 이전 세대에서 진화하는 형태로 만들어지다 보니 6세대 차량의 디자인 요소를 답습한 부분이 많은 편이었다. 다만, 기존 수직형 노치백 세단 형태의 지붕선은 변경을 거쳤으며, 상향식 쿼터 윈도우가 적용되지 않은 형태로 변경되었다. 비율이 다르긴 하지만 감싼 듯한 헤드램프 디자인과 테일램프는 머큐리 세이블과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었다.
휠베이스는 2,780mm로, 기존 6세대 차량에 비해 약 228mm 정도 길어진 편이었으며, 벤츠 560SEC보다 더 길었으나 대신 리어 오버행은 줄어들었다. 현가장치로는 쇼트-롱 암 형태의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이 적용되었다. 옵션 사양으로 4륜 안티-록 디스크 브레이크가 탑재되었으나 XR7 사양에는 기본 탑재되었다. 전장은 5,047mm, 전폭은 1,847mm, 전고는 1,339mm였다. 공차중량은 V6 사양이 1,600kg, V8 사양이 1,663kg을 기록했다.
| 파일:1992 머큐리 쿠거 25주년 에디션 후면부.png | ||
<rowcolor=#fff> 전면부 (XR7 사양) | 후면부 (25주년 에디션 사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
1차 페이스리프트 사양 (1991~1993) |
첫 페이스리프트는 1991년형에서 이루어졌는데, 새로운 헤드램프 및 테일램프가 적용되었으며 전면 범퍼 등에서 수정이 이루어졌으며, 그릴의 크기가 더 작아진 편이었다. 차량의 전장은 5,077mm로 늘어났으며, 전고는 1,334mm로 조정이 이루어졌다.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
2차 페이스리프트 사양 (1994~1995) |
2차 페이스리프트는 1994년형 때 이루어졌으며, 그릴, 테일램프, 측면 몰딩의 간소화가 이루어졌고 감싸는 듯한 실내 디자인과 후술할 이중 에어백이 기본 탑재되었다.
| |
최후기형 차량 (1996~1997) |
최후기형 차량은 1996년형 때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져 전면 범퍼 커버 및 그릴을 제외하고는 10세대 포드 썬더버드와 공유하는 형태로 변경했으며, 측면부는 차체 색상과 같은 클래딩이 적용되었다.
실내의 경우, 넓어진 공간 때문에 플로어 시프트가 적용된 센터 콘솔이 장착되었다. LS 사양에서는 이전 세대 차량처럼 디지털 계기판이 탑재되었으며, XR7 사양에는 아날로그 계기판이 탑재되었다. 원래는 이중 에어백도 탑재될 예정이었으나 비용 초과 및 시장 수요 변동 등으로 인해 탑재되지 못했으나 규제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자동식 안전띠가 적용되었다.
1994년형 차량부터 실내가 크게 변경되었는데, 링컨 마크 VIII와 유사할 정도로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이 시기부터 이중 에어백이 탑재되기 시작하였다. 1997년형부터는 센터 콘솔에 컵홀더 몇 개를 추가한 포드 토러스 및 머큐리 세이블에서 볼 법한 계기판 디자인으로 변경되었으며, 코트시 램프, 후드 밑 조명, 글로브 박스 등 일부가 불량으로 판정되어 탑재되지 않았다고 한다. 95년형 차량부터 전장은 5,088mm, 전폭은 1,857mm로 증가하였다.
1990년형 이후부터는 브랜드 내에서 라인업을 변경하게 되면서 유일한 쿠페형 차량으로 판매되었으며, 멕시코 시장에서는 '포드 쿠거'로 배지 엔지니어링이 이루어졌다.
사양은 고급감과 편의성에 중점을 둔 LS와 성능 및 조향 능력 등에 중점을 둔 XR7 사양으로 구성해 이전 세대와 같은 형태를 유지하였다. LS 사양에는 크롬 윈도우 장식이 적용된 반면, XR7 사양은 단색 혹은 검은색 윈도우 장식이 적용되었다. 조향 능력 향상을 위해 XR7 사양에서는 210마력의 3.8L V6 슈퍼차저 엔진 외에 4륜 안티-록 디스크 브레이크, 전자식 조정이 이루어지는 조향 서스펜션, 16인치 알로이 휠 및 5단 MT가 적용되었다. 이 두 사양 중 XR7 사양에 스포츠 시트, 2스포크 스포츠 스티어링 휠, 풀 아날로그 계기판 등이 적용되면서 차별화가 이루어졌다.
1993년형부터는 LS 사양을 단종시켜 XR7 사양 하나로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단색의 스포치 지향 버전의 XR7 사양 일부가 단종되었다. 남아있던 XR7 사양에서는 크롬 외부 장식과 디지털 계기판이 탑재되었으며, 옵션으로 4륜 디스크 브레이크가 적용되었다. LS 사양과는 다르게 V6 및 V8 엔진이 모두 제공되었다.
총 7개의 한정 사양이 7세대 차량에서 등장했는데, 1992년형 XR7 사양 한정으로 15인치 BBS 알로이 휠, 황갈색 색상 및 녹색 카펫, 차량 전용 트렁크 장식, C-필러 배지 및 트렁크 화물 받침대 등이 적용된 25주년 기념 에디션이 5,000대, 1997년형 차량 한정 링컨 마크 VIII의 휠이 사용되었으며, C-필러 배지, 자수 시트 및 바닥 매트에 새겨진 앰블럼, 소유주 지급 기념품이 옵션으로 지급되는 30주년 기념 에디션 5,000대가 생산되었다.
2도어 쿠페 시장이 해가 갈수록 판매량이 줄어든 탓에 1997년 9월 4일에 마지막 차량이 생산되어 포드 썬더버드와 함께 단종되었으며, 링컨 마크 VIII는 이듬해 단종되었다.[3]
2.1.1. 파워트레인
파워트레인은 출시 초기에 140마력의 자연흡기 방식 3.8L 에섹스 V6 엔진이 LS 사양에 탑재되었는데 이는 낮아진 후드 선 때문에 4.9L 윈저 V8 엔진을 탑재하기 어려운 구조였기 때문이었다. 그로 인해 처음으로 V8 엔진이 적용되지 않은 최초의 쿠거 차량이기도 했으며, XR7 사양은 슈퍼차저가 탑재된 210마력의 엔진으로 교체되어 기존 2.3L I4 엔진을 대체하였다. V6 엔진 사양은 AOD형 4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고 XR7 사양에는 M5R2형 5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1991년형 변경 때는 언더헤드 부분의 간극을 만들었으며, 여기에 재설계된 흡기 매니폴드 방식의 4.9L 윈저 5.0 V8 엔진을 탑재하였다. LS 사양에서는 옵션으로 제공되었으나, XR7의 슈퍼차저 V6 엔진을 대체하면서 기본 탑재되었으며, 5단 수동변속기 사양은 단종되었다.
1993년에 출시도니 1994년형부터는 4.9L V8 엔진 대신 4.6L V8 모듈러 SOHC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이는 그랜드 마퀴스와 공유하였다. 이 시기부터 AOD형 4단 자동변속기가 4R70W형 4단 AT로 변경되었다.
2.1.2. 판매량
머큐리 쿠거(7세대) 판매량 | |
<rowcolor=#000> 연도 | 미국 시장 판매량 |
<colbgcolor=#747b81> 1989년 | <colbgcolor=#fff><colcolor=#000> 97,246대 |
1990년 | 76,467대 |
1991년 | 60,564대 |
1992년 | 46,928대 |
1993년 | 79,700대 |
1994년 | 71,026대 |
1995년 | 60,201대 |
1996년 | 38,929대 |
1997년 | 35,267대 |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808080><tablealign=center><tablebgcolor=#80808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08080> 차급 | 단종 차량 | |
소형차 | 밥캣 | ||
준중형차 | 토파즈 · 코멧 · 사이클론 · 모나크 · 링크스/LN7 · 트레이서 | ||
중형차 | 몬테고(1968~1976) · 제퍼 · 미스틱 · 밀란 | ||
준대형차 | 마퀴스 · 세이블 · 몬테고(2004~2007) | ||
대형차 | 에이트 · 몬테레이(1952~1974)/몬테레이 선 밸리 · 커스텀 · 메달리스트 · 미티어 · 몽클레어/몽클레어 선 밸리 · 턴파이크 크루저 · 머라우더 · 몬테고(1968~1976) · 파크 레인/파크 레인 브로엄 · 콜로니 파크 · 보이저 · 커뮤터 · 그랜드 마퀴스 | ||
스포츠카 | 쿠거 · 카프리 | ||
준중형 SUV | 마리너 | ||
준대형 SUV | 마운티니어 | ||
픽업트럭 | M 시리즈 | ||
MPV | 빌리저 · 몬테레이(2004~2007)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포드의 차량 | ||
에드셀의 차량 | |||
머쿠어의 차량 | |||
링컨의 차량 | |||
컨티넨탈의 차량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