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15:58:46

에른스트 마흐

마흐에서 넘어옴


서양 철학사
근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fff> 16-18세기
에라스뮈스 · 모어 · 마키아벨리 · 몽테뉴 · 브루노
합리주의 · 스피노자 · 말브랑슈 · 라이프니츠
경험주의 베이컨 · 홉스 · 로크 · 버클리 ·
계몽주의 몽테스키외 · 볼테르 · 루소 · 디드로 · 엘베시우스
칸트 / 신칸트주의
19세기
피히테 · 셸링 / 낭만주의: 헤르더 · 슐라이어마허 / 초월주의(미국): 에머슨 · 소로
헤겔 / 청년 헤겔학파: 포이어바흐 · 슈티르너
공리주의 벤담 ·
실증주의 콩트 · 마흐 / 사회학: 뒤르켐 · 베버
사회주의 아나키즘: 프루동 · 바쿠닌 · 크로포트킨
마르크스주의: · 엥겔스
키르케고르 · 쇼펜하우어 · 딜타이 · 베르그송
니체
}}}}}}}}} ||
에른스트 마흐
Ernst Mach
파일:432px-Ernst_Mach_01.jpg
<colbgcolor=black> 본명 에른스트 발트프리트 요제프 벤첼 마흐
Ernst Waldfried Josef Wenzel Mach
출생 1838년 2월 18일, 오스트리아 제국 모라비아 브르노
사망 1916년 2월 19일 (향년 78세), 독일국 뮌헨
국적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모교 빈 대학교 (PhD, 1860; Dr. phil. hab, 1861)
경력 그라츠 대학교 교수
카를로바 대학교 교수
빈 대학교 교수
직업 철학자, 물리학자
서명
파일:에른스트 마흐 서명.svg

1. 개요2. 역학3. 과학철학

[clearfix]

1. 개요

오스트리아 출신의 물리학자, 철학자. 1855년 빈 대학교에 진학해 물리학을 공부했다. 1860년에 도플러 효과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그라츠, 프라하 대학교를 거쳐 빈 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했다. 유럽 19세기 일부의 실증주의(positivism)와 극단적인 주관주의를 주도했던 인물 중 하나이며, 과학보다는 철학적인 쪽에 더 관심이 많았다고. 그의 극단적인 주관주의는 그의 과학 이론에서 드러나며, 아인슈타인이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2. 역학

그의 주관주의는 '우주에 떠있는 원통' 논쟁으로 대표되는데, 아무것도 없는 공간에 물이 찬 원통이 회전한다면 관측자는 이것이 '무엇에 대해 회전하는지' 알 수 없어서 흔히 말하는 구심력에 의한 효과(물의 가운데가 움푹 패임)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하게 된다. 알기쉽게 풀면, 주변에 운동을 비교할 대상이 없다면 운동을 느낄 수 없다는 것(원통을 관측자로 생각하라). 이는 아이작 뉴턴의 관점과는 반대로, 뉴턴은 모든 운동의 기준이 되는 절대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공간에 아무것도 없더라도 구심력이 작용한다고 여겼다. 이 논쟁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의해 관성운동을 하는 모든 관측자가 기준계가 된다는 것을 통해 마흐의 이론을 폐기하며 끝났다.

초음파지진파 등을 연구한 적이 있다. 총알이 만든 충격파 사진을 실험을 통해 직접 찍은, 충격파 현상을 최초로 확인한 사람이다. 초고속 카메라도 연속촬영도 없던 시절에 날아가는 총알의 사진을 찍은 엄청난 인물. 물체가 음속보다 빠르면 어떻게 될까? 라는 생각을 하기 시작해서 실험을 시작했다고 한다. 음속과 비교하는 단위인 mach(마하)는 그가 생각해낸 개념이다. 그래서 명칭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우리나라에선 원래 이 인물의 이름을 마하로 불러서 단위의 이름도 마하로 불렀는데 외래어 표기법이 정착되면서 인물의 이름은 마흐로 불리게 되었지만, 단위는 관행을 존중하여 마하로 고정되었다.

3. 과학철학

오귀스트 콩트실증주의적 과학철학을 더욱 발전시켜 엄격한 검증 연구방법을 과학연구에 도입하였다. 실증주의적 입장에서 칸트물자체를 비판하고 부정하였는데, 이는 뉴턴역학의 가상적 절대공간에 토대한 좌표계를 비판하는 모습으로 드러난다. 마흐는 루트비히 볼츠만과는 평생동안 학문적으로 대립했으며, 경험으로 입증되지 않은 원자라는 존재의 실재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그 존재에 대해서는 부정도 긍정도 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하여 볼츠만이 우울증에 걸리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흐는 과학의 목적이 사유경제성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마흐의 영향력은 19세기 말 오스트리아 빈에서도 컸는데, 이런 분위기 하에서 ‘1차 빈 학단’[1]은 마흐에게 직간접적 영향을 받은 학자들에 의해 구성되었으며, 이런 분위기는 '2차 빈 학단'[2]에도 어느정도 이어졌다. 빈 학파의 주도자들은 슐리크, 노이라트, 카르납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노이라트와 슐리크-카르납의 노선 차이가 심했다. 최종적인 주도권은 슐리크-카르납 쪽으로 넘어갔으나, 이후에도 노이라트의 마흐적 과학관은 암묵적인 형태로 어느정도 남아있게 된다.참고

마흐의 영향은 러시아에도 미쳤다.[3] 이들을 '마흐주의자'[4][5]라 하는데, 이들은 마흐의 과학적, 철학적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이들은 마르크스주의자로서 마르크스의 유물론을 마흐의 과학적, 철학적 관점으로 보완하려는 자들이었다. 다만 소련이 들어선 이후로는 그 영향력이 약화된다.

[1] 오토 노이라트, 한스 한, 필립 프랑크 등이 구성원이었다.[2] 모리츠 슐리크에 의해 구성되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빈 학파는 이 집단을 말한다.[3] 특히 '마르크스주의 철학 연구(по философии Марксизма)'가 출간되고 크게 영향을 미쳤다.[4] 이 표현은 레닌과 플레하노프가 소위 '정통' 마르크스주의 해석과 다른 입장을 취한다며 비판하기 위해 만들어낸 표현이다. 이후 소련에서도 지속적으로 마르크스주의 비정통파라고 비난할때 사용하는 용어로 남는다.[5] 마흐주의자들은 '관념론자'들과도 대립하는 '제 3의 입장'에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