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차리역 | ||
역명 표기 | ||
영동선 | 마차리 Macha-ri 馬次里 / 马次里 / マチャリ | |
주소 |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신기면 마차길 3 (마차리 463)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440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동해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 ||
운영 기관 | ||
영동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철암선 | 1940년 7월 31일 | |
철도거리표 | ||
영주 방면하고사리 ← 3.5 ㎞ | 영동선 마차리 | 청량 방면신 기 5.4 ㎞ → |
현 역사(2004년 준공) |
구 역사(1940년 준공, 2003년 철거) |
[clearfix]
1. 개요
영동선의 철도역.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신기면 마차길 3 (마차리 463) 소재.2. 역 정보
역명이 굉장히 특이한데, 이 역 주변 동네에 마차나무(마취목)가 많이 있어서 이 동네를 마차평이라고 불렀던 것에서 지명이 유래되었다고 한다.1940년 7월 31일 철암선의 묵호-도계 구간이 개통하면서 배치간이역으로 개업하였고 1967년 7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1988년 1월 1일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같은 해 12월 21일에 화물 취급도 중지되었다.
1995년 4월 20일 차내취급역으로 지정되었고 1997년 6월 1일 신기역 관리 아래의 배치간이역으로 격하, 2002년 9월 1일 신기역에서 고사리역 관리로 변경되었다.
옛 역사(驛舍)는 위에서 보듯 경춘선 백양리역이나 중앙선 팔당역처럼 선로 내에 역사가 조그맣게 있는 역이었으나 2003년에 철거되었고 2004년 3월 21일 현 역사가 준공되었다.
2004년 4월 21일부로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취거되었고[1] 2008년 1월 1일부로 여객 취급이 중단되었다.
2008년 12월 8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면서 역무원들도 철수하였다.
3. 둘러보기
영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북영주† - 문단† - - 거촌† - 봉성† - 법전† - - 녹동† - - - - 비동† - - - - 동점† - - 백산† - - 솔안† - - - - - - 고사리† - 하고사리† - 마차리† - - 상정† - 미로† - 도경리† - - - - - 망상† - - 옥계† - - 안인† - - 청량† - - 강릉역은 2018년 6월 28일 영동선 거리표에서 삭제되었으나 영동선 열차가 정차한다. | }}}}}}}}} |
[1] 1994년에 차내취급역으로 지정되었던 만큼 승차권 발권이 불가한 조회용이었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