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3 11:09:24

마이홈(메이플스토리)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한국 메이플스토리의 하우징 컨텐츠}}}에 대한 내용은 [[메이플 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메이플 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메이플 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한국 메이플스토리의 하우징 컨텐츠: }}}[[메이플 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메이플 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메이플 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wodexiaowu.jpg
{{{#!wiki style="font-size:0.9em; letter-spacing: -0.8px; margin: 0 auto; max-width: 100%; width: 650px; border-radius: 6px; border: 1px solid #2d343c; margin-top: 7px; text-align: center;"


[ 펼치기 · 접기 ]
||<-3><bgcolor=#676e77> 해외 전용 지역 ||
2004년
~2010년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마스테리아(개편 전) | 아모리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서문정 | 야시장 | 타이베이 101 | 칠석 퀘스트(그랜마 트리)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지팡구 (버섯신사 | 쇼와 마을 | 카에데 성 | 네오 도쿄)
커닝 스퀘어 사건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상해 와이탄 | 소림사(세계여행) | 예원 PvP
파일:ASEAN 깃발.svg 태국(플로팅 마켓 | 황금사원)
싱가포르 (울루 시티 | 유령선) | 말레이시아
2011년
~2015년
던베일 (타이네럼 · 코메르츠 공화국 · 아브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예원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소림사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아리산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지팡구 (도쿄 · 모미지 언덕 · 히에이잔)
블랙게이트 시티 | 뒤틀린 아쿠아로드 | 베라센트 | 황제의 능
2016년
~2020년
버섯신사 (버섯신사 이문록) | 메이플 탐정단 | Masteria Through Time
애프터랜드 | 모나드: 첫 번째 징조 | 마스테리아(개편 후)
마이홈 | 메이플 투어 | 전국시대 3: 수라의 난
2021년
~2025년
강호 (현산 | 영원의 숲 | 리안 고원) | 길드 캐슬
※ 전 지역 서비스에서 삭제된 경우 회색 글씨로 표기되었음.
해외 전용 이벤트
~2010년 영어 마을 | 썸머보트 이벤트 | The Visitors | 대만 3·4주년 케이크 이벤트
네덜란드 국왕의 날 | 프랑스 혁명 기념일 | 스페인 토마토 축제
독일 맥주 축제 | 영국 가이 포크스 데이 | 춘절 사자춤 이벤트 | 부활절 이벤트
2011년~ 그란디스 엘루나 | 메이플 탐험대
무우 아일랜드 | 냐옹 수비대 | 여섯 번째 별
연례 이벤트
코로나 축제밤의 유랑단
}}}

[include(틀: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
KMS개편=,
GMS지원=,
CMS지원=,
JMS지원=,
TMS지원=,
MSEA지원=,
)]
메이플스토리 하우징 시스템: 마이홈
마크 파일:myhome_maple.png
BGM
내 집 Sweet Home
내 집 음악 연주 달콤한 휴식
케렌시아 광장 Brand New Morning in The Plaza
표기
KMS 메이플 홈
CMS/TMS [ruby(我, ruby=wǒ)][ruby(的, ruby=de)][ruby(小, ruby=xiǎo)][ruby(屋, ruby=wū)]
GMS/MSEA My Home
JMS マイホーム
1. 개요2. 역사3. 혜택 및 기능4. 집5. 가구
5.1. 보스 클리어 보상 가구
6. 마이홈과 메이플 홈의 차이점

1. 개요

하우징 시스템은 2019년 8월 7일 TMS V218, CMS V164 패치[1]에서 추가된 메이플스토리 집 꾸미기 콘텐츠이다. TMS, CMS, GMS, JMS, MSEA에서 플레이할 수 있으며, 입장 가능 최소 레벨은 200부터이다.[2] 집의 종류는 크게 7종[3]이 있는데 이 중 3종은 이벤트 기간[4] 내에만 얻을 수 있다. 무과금 콘텐츠라는 점이 특징이다.

2022년 7월 20일, GMS에서도 하우징 시스템이 출시되었다.

2022년 9월 21일, JMS에서, 12월 21일에는 MSEA에서도 출시되었다.

2022년 8월 25일, 메이플스토리M에서도 출시되었다.#

2025년 4월 17일, 마이홈의 리소스를 사용한 '메이플 홈'이란 컨텐츠로 한국 서버에 도입되었다.[5]

2. 역사

메이플스토리에서는 2002년 기획 당시부터 아이템에 '설치 탭'을 두어 마이홈 시스템을 예고했지만, 실제로는 구현되지 못했다. 다만 후속 게임인 메이플스토리 2에서야 하우징이 메인 콘텐츠으로 구현될 수 있었을 뿐이다. 그러다가, 중국 출시 15주년을 맞은 2019년 7월 CMST V152에서 최초로 집 꾸미기 콘텐츠가 도입되었다.

이는 200 레벨 이상만 참여 가능한 엔드 콘텐츠로써 다양한 수급 경로를 통해 가구를 얻어 자기 집을 꾸밀 수 있게 한 시스템이었다. 메이플스토리는 고레벨 엔드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는데, 마이홈이 추가되면서 즐길 거리가 풍성해질 수 있었다.

이후 TMS/CMS에서는 콘텐츠 개발에 적극적으로 마이홈을 응용하였다. 춘절[6]·할로윈·크리스마스 등 기념일에 맞춰 스페셜 가구를 내놓는가 하면, 각종 상위 보스 보상으로 가구가 드롭되도록 하여 보스 격파에 대한 유인을 늘렸으며, 신규 콘텐츠가 추가될 때도 특별 가구를 구매할 수 있게 조치했다. 또한 거듭 유지보수 및 확장을 거쳐 최초 업데이트 1년 동안 에피소드 3(지중해 하우스)까지 추가될 만큼 개발진도 적극적으로 투자하였다.

이렇게 개발이 계속될 동안, 이 콘텐츠는 철저하게 무과금 기반으로 업데이트 되었으며, 가구 수급 수단도 가벼운 노력만을 요하여 '즐길 거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였다. 그 결과 마이홈 시스템은 TMS/CMS 내에서 성공적, 안정적인 정규 콘텐츠로써 유저들의 인정을 받을 수 있었다.

3. 혜택 및 기능

참고하면 좋은 정보1(마이홈 편리한 기능 소개)(중국어 번체, 小屋超級便利的 你知道以下幾個功能嗎?)
참고하면 좋은 정보2(마이홈 전체 정보 정리)(중국어 번체, 我的小屋目前整理(2020/5/27小屋開放第三章))
참고하면 좋은 정보3(마이홈 에피소드 1~3 발동조건, 루트, 보상)(중국어 번체, 我的小屋 任務Ep.1~3觸發條件、流程、獎勵內容(更新TMS v225 華麗機器人S3))

마이홈 시스템에는 창고·교환·텔레포트·버프·배경음악 전환 등 유용한 기능들이 많이 탑재되어 있어 유저들의 편의성도 대폭 살렸다. 이러한 가구들은 인게임에서 획득할 수 있으며 과금 요소도 없다. 또한 '몬스터 라이프'의 예를 보면, 스펙업 때문에 오히려 즐길 거리가 '노동'이 되는 단점이 있었는데 마이홈은 기다리기만 하면 웬만한 가구는 얻을 수 있어, 그런 부담도 덜한 편이다.
  • 시계 종류 가구를 클릭하면 현재 시간을 보여준다.
  • 진열장 종류 가구를 클릭하면 잡화상점을 이용할 수 있다.
  • 수정구 가구를 클릭하면 이동하고 싶은 지역을 선택해서 이동할 수 있다.
  • 어떤 가구는 미니게임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 창고 가구를 클릭하면 창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음악 관련 가구를 클릭하면 내 집의 배경음악을 전환할 수 있다.
  • 집 안에서 경매장을 이용할 수 있다.
  • 관리인과 친밀도를 올리면[7] 하루에 1번 버프 4종 중 하나를 선택해서 받을 수 있다. 버프는 1~6단계까지 존재한다.
    • 경험치 상승 (5/6/7/8/9/10%)
    • 보스 몬스터 공격력 증가 (10/11/12/13/14/15%)
    • 공격력/마력 증가 (15/18/21/24/27/30)
    • 크리티컬 확률 증가 (10/12/14/16/18/20%)
  • 자기 집에 허수아비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 자기 집에 다른 사람을 초대할 수도 있다. 교환, 파티도 가능하다.
  • 마네킹 가구를 설치한 뒤 장비 아이템을 적용시켜 착용 모습을 미리 볼 수 있다.
  • 커피 머신을 사용하여 전문기술 피로도를 감소시켜주는 음료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 크리스마스 전용 가구의 기능들
    • 크리스마스 트리를 설치하면 12월 25일에 선물을 받을 수 있다.
    • 크리스마스 자선함을 설치하면 메소를 기부할 수 있다. 최고 금액을 기부한 사람에게는 '케렌시아의 기부왕' 훈장이 주어진다. 이때 남의 집에 있는 자선함은 이용할 수 없으므로 주의.
    • 빈티지 축음기를 설치하면 재즈 버전 메이플 배경음악들을 감상할 수 있다.

4.

파일:마이홈시즌1.png 파일:마이홈시즌2.png
큰버섯집 고급 저택
파일:마이홈시즌3.png 파일:마이홈크리스마스.png
해변 카페 크리스마스 오두막
파일:마이홈할로윈2.png 파일:마이홈춘절.png
할로윈 하우스 동양풍 가옥
집의 종류는 총 7종류[8]가 있으며 집을 바꾸기 위해서는 ① 메인 에피소드 퀘스트를 완료하거나 ② 이벤트 퀘스트를 완료해야 한다. 이때 퀘스트를 완료하여 도면만 획득하면 이후로는 다른 조건 없이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메인 에피소드 3개 중 2개가 집의 종류를 바꿀 수 있는 에피소드다. 기간 내 참여가능한 이벤트 퀘스트도 3개가 있고 매년 참여할 수 있다. '작은버섯집'은 마이홈을 완료하기만 해도 주어진다.
  • 에피소드 2-고급 주택: 건축 도면 15개 이상을 획득하면 해금
  • 에피소드 3-해변 카페: 건축 도면 25개 이상을 획득하면 해금
  • 춘절 에피소드: 음력 1월 1일 전후 이벤트 기간 내 참여 가능
  • 할로윈 에피소드: 양력 10월 31일 전후 이벤트 기간 내 참여 가능
  • 크리스마스 에피소드: 양력 12월 25일 전후 이벤트 기간 내 참여 가능

파일:집_NEW.png
집의 지붕, 외장재, 벽지, 바닥, 굴뚝 등의 디자인을 바꾸기 위해서는 ① 관리인에게 구매를 신청하거나(16시간 소요) ② 코인으로 구매하거나 ③ 메인·이벤트 에피소드 퀘스트를 완료하면 된다. 이를 통해 소비 아이템 '도면'을 획득할 수 있으며, 도면을 한 번만 사용하면 이후로는 자유롭게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 에피소드 1-큰버섯집: 가구 20개 이상을 획득하면 해금
  • 춘절/할로윈/크리스마스 에피소드: 집 설계도와 함께 디자인 도면 각 1종씩 총 5종 자동 획득

5. 가구

가구를 얻으려면 관리인에게 대화를 걸어서 가구를 구해달라고 부탁해야 한다. 부탁하는 데 따로 아이템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6시간(작은 가구) 또는 9시간(큰 가구)를 기다려야만 가구를 얻을 수 있다.[9] 이때 원하는 가구를 선택할 수는 없고 랜덤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이벤트 기간에만 얻을 수 있는 특별한 가구라면 제한된 기간 내에 시간을 잘 계산해서 구매를 맡기는 편이 좋다.

파일:가구신청_NEW.png

가구 칸은 처음에 72칸이 주어지는데, 칸을 확장하려면 마이홈 코인 40개[10]를 모으거나 100대만캐시(약 3.3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유일한 과금 요소이지만, 처음에 주어지는 72칸이 적은 칸수도 아닐뿐더러, 시간만 많이 들이면 과금 없이도 충분히 확장할 수 있다.

5.1. 보스 클리어 보상 가구

메이플스토리의 보스 몬스터를 격파하면 일정 확률로 드롭하는 가구들이다. 1개만 획득해도 가구 란에 등록이 되며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스 클리어 보상 가구
보스 이름 미리보기
다일 다일의 보드게임 테이블 파일:하우징_가구_다일의 보드게임 테이블.gif
세르프 세르프 조개껍데기 침대 파일:하우징_가구_세르프 조개껍데기 침대.gif
마왕 발록 발록의 뿔 의자 파일:발록의 뾰족한 뿔 의자.png
카오스 자쿰 자쿰의 손 테이블 파일:자쿰의 손 탁자.png
혼테일 혼테일 분수 파일:혼테일의 머리 분수대.gif
우르스
(보상 교환을 통해 획득)
우르스의 생명의 나무 화분 파일:우르스의 생명의 나무 화분.png
반 레온 얼어붙은 사자상 파일:얼음 사자 조각상.png
핑크빈 핑크빈 소파 파일:핑크빈 소파.png
텐구 텐구의 깃털 드림캐쳐 파일:텐구의 깃털 드림캐쳐.gif
하드 매그너스 매그너스의 뿔 의자 파일:매그너스의 뾰족한 뿔 의자.png
하드 힐라 힐라 오벨리스크 스탠드 파일:힐라의 오벨리스크2.png 파일:힐라의 오벨리스크1.png
아카이럼 아카이럼 석상 파일:아카이럼 석상.png
스우 오르카 토끼 인형 쿠션 파일:오르카 토끼인형 쿠션.png
하드 데미안 데미안의 검 파일:데미안의 검.gif
골럭스 골럭스 나무 장의자 파일:골럭스 나무 장의자.png
노말 시그너스 시그너스 인형선반 파일:시그너스 인형 캐비닛.png
카웅 카웅 청소기 파일:카웅 청소기.png
줄리에타 핑크 해파리 어항 파일:핑크 해파리 어항2.gif 파일:핑크 해파리 어항.gif
카오스 파풀라투스 파풀라투스 벽시계 파일:파풀라투스 벽시계.png
카오스 반반 반반의 태엽시계 파일:반반의 태엽시계.gif
카오스 피에르 피에르 우산꽂이 파일:피에르 우산꽂이.png
카오스 블러디 퀸 블러디퀸 화장대 파일:블러디 퀸의 화장대.png
카오스 벨룸 벨룸 용암욕조 파일:벨룸의 용암 욕조.png
도로시 류드의 검 파일:류드의 검 장식.png
가디언 엔젤 슬라임 가디언 엔젤 슬라임 분수 파일:하우징_가구_가디언 엔젤 슬라임 분수1.gif 파일:하우징_가구_가디언 엔젤 슬라임 분수2.gif
루시드 루시드 침대 파일:루시드 침대 샘플.png
하드 윌 윌의 거미줄 해먹의자 파일:윌의 거미줄 그네 의자.gif
거대 괴수 더스크 더스크 암흑 빈백 파일:하우징_가구_더스크 다크 소파.gif
진 힐라 영혼이 타오르는 양초 파일:하우징_가구_영혼을 태우는 촛불.gif
친위대장 듄켈 듄켈의 투구 장식 파일:하우징_가구_듄켈의 헬멧 장식.png
검은 마법사 검은 마법사의 거울 파일:하우징_가구_검은 마법사의 거울.gif
선택받은 세렌 신성검 벽걸이 장식 파일:하우징_가구_성검 벽걸이 장식.gif
감시자 칼로스 칼로스 실링 팬 파일:하우징_가구_칼로스 화칠 선풍기.gif

6. 마이홈과 메이플 홈의 차이점

전술하였듯 메이플 홈은 마이홈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비슷한 점도 있으나 차이점도 존재한다.
아래 내용은 1.2.402 패치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 배경 음악을 설정하는 기능이 구현되지 않았다.
  • 관리인이 존재하지 않아 관리인을 이용한 가구구매가 불가능하며 버프를 받을 수 없다.
  • 가구는 관리인을 통한 구매 또는 보스드랍이 아닌 특정 메이플 업적을 클리어하거나 이벤트 메소샵에서 구매하여 얻을 수 있다.
  • 시계는 기능이 부여된 가구가 아니라 장식물이기 때문에 현재 시각을 나타내지 않는다.
  • 진열장은 잡화상점을 여는 기능 가구가 아니라 장비, 소비, 기타, 설치, 캐시, 치장창의 아이템을 배치하여 보여주는 기능 가구이다. 잡화상점은 헤네시스 가판대, 포션 저장고, 버섯 냉장고[11] 등의 잡화상점 기능기구로 이용할 수 있다.
  • 지형이 고정된 마이홈과 다르게, 메이플 홈의 지형 및 가구 배치가 훨씬 자유롭다.

[1] TMS/CMS는 업데이트를 동시에 한다.[2] 다만 처음 컨텐츠를 시작할 시에만 200레벨부터 입장이 가능하며, 그 이후 캐릭터부터는 101레벨부터 입장이 가능해진다.[3] 작은버섯집, 큰버섯집, 고급 저택, 해변 카페, 할로윈 하우스, 크리스마스 오두막, 동양풍 가옥[4] 1월 신년, 11월 할로윈, 12월 크리스마스로 연말연초에 몰려 있다.[5] 다만 KMS의 경우 약간 다른점이 있는데 타 국가와는 달리 최소 레벨이 260이며, 'The Day After' 퀘스트까지 다 깬 상태여야만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검은 마법사를 쓰러트린 대적자에게 슈피겔만이 집을 선물했다는 설정이 반영되어 그러한 조건이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6] TMS/CMS 한정.[7] 하루에 1번 관리인과 대화를 통해 올릴 수 있다. 꽤 시간이 걸리는 편이지만 텍스트 기반이라 5초 남짓으로 끝난다.[8] 작은버섯집, 큰버섯집, 고급 주택, 해변 카페, 동양풍 가옥, 할로윈 하우스, 크리스마스 오두막[9] 관리인과 친밀도를 쌓게 되면 소요 시간을 약간 경감할 수 있다.[10] 획득한 가구를 판매하면 1개 얻을 수 있다. 즉, 가구 40개를 팔아야 1번 칸을 늘릴 수 있다.[11] 22주년 이벤트 메이플 대학교 메소샵에서 5억메소 구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