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3 06:24:34

마리아의 노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성공회의 Magnificat}}}에 대한 내용은 [[성모 마리아 송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성모 마리아 송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성모 마리아 송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성공회의 Magnificat: }}}[[성모 마리아 송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성모 마리아 송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성모 마리아 송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전례
{{{#!wiki style="font: bold italic 1em/1.3 Than, serif; color: #fff;"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4536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미사 ▼ 미사의 구조
시작 예식 · 말씀 전례 · 성찬 전례 · 마침 예식
▼ 통상문 노래(미사곡)
자비송(Kýrie) · 대영광송(Glória)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Credo)
거룩하시도다(Sanctus-Benedíctus) · 하느님의 어린양(Agnus Dei)
▼ 고유문 노래
본기도 · 예물 기도 · 감사송 · 영성체 후 기도
따름 노래(입당송 · 영성체송)
화답송
부속가(부활 · 성령 송가 · 성체 송가 · 십자가 길의 성모)
복음 환호송
▼ 미사 관련 정보
미사의 종류 · 미사 전례에 임하는 합당한 자세
죽은 이를 위한 미사
시간 전례
(성무일도)
찬미가 · 시편 기도
마리아의 노래 · 즈카르야의 노래
성 암브로시오의 사은 찬미가 · 시메온의 노래
청원 기도
전례 음악 ▼ 전례 음악에 쓰이는 여러 기도문
주님의 기도 · 성모송 · 영광송
성 토마스의 성체 찬미가 · 성 암브로시오의 사은 찬미가
오소서 창조주님(Veni, creátor Spíritus)
즈카르야의 노래 · 마리아의 노래 · 시메온의 노래
▼ 전례 음악 이론과 형식
그레고리오 성가 · 미사곡
기도 곡조(사제의 기도 · 시편창) · 교회 선법
찬미가 · 따름 노래
공통 ▼ 전례 거행의 요소
영성체 · 전례력
전례서(로마 미사 경본 · 미사 독서)
전례주년
대림 시기
성탄 시기 (주님 성탄 · 성가정 · 천주의 성모 · 주님 공현 · 주님 세례)
사순 시기 (재의 수요일 · 주님 수난 성지 주일 · 성유 축성 미사)
파스카 성삼일 (주님 만찬 성목요일 · 주님 수난 성금요일 · 성토요일 · 주님 부활 대축일)
부활 시기 (주님 부활 대축일 · 주님 승천 대축일 · 성령 강림 대축일)
연중 시기 (삼위일체 · 성체 성혈 · 예수 성심 · 그리스도 왕)
}}}}}}}}}}}} ||


1. 개요2. 이름
2.1. 성모의 '노래', 마리아의 '노래'2.2. Magníficat
3. 성경에서의 유래4. 본문5. 성음악에서의 사용
5.1. 그레고리오 성가5.2. 다성음악

1. 개요

마리아의 노래(Magnificat)는 예수 그리스도를 잉태한 성모 마리아가 하느님을 찬양하며 부른 노랫말이다. 루카 복음 1,46ㄴ-55에 수록되어 있는 이 노랫말은 오늘날 가톨릭 교회의 여러 전례나 신심 행사 중에 활용된다.

2. 이름

2.1. 성모의 '노래', 마리아의 '노래'

지금의 『로마 미사 경본』과 『가톨릭 기도서』가 사용하는 제목은 '마리아의 노래'이다.[1] 한국 천주교의 『성무일도』에는 이 기도의 이름이 '성모의 노래'라고 되어 있지만, 이는 이 책이 워낙 오래 전에 번역되어서 아직 최신 용어가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기도의 이름에 '노래'라는 말이 붙어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노래'의 의미로 '가곡, 가사, 시조 따위와 같이 운율이 있는 언어로 사상과 감정을 표현함. 또는 그런 예술 작품.'이라는 뜻이 있다. 링크. 즉 음정과 박자를 가진 음악을 뜻하는 노래가 아닌 시로서의 노래라고 봐야 옳다. 더구나 성모 마리아가 노래한 곡조를 엘리사벳이나 다른 누군가가 채보해서 성경을 통해 오늘날까지 내려오지 않으므로 루카 1,46ㄴ-55는 위의 『표준국어대사전』이 말하는 의미로 봄이 옳다.

이 문서의 개요는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래' 대신 '노랫말'이라는 말로 마리아의 노래를 소개했다.

2.2. Magníficat

마리아께서 성령께 탁월하게 협력하신 사실을 토대로, 교회는 그리스도의 신비에서 드러난 그분의 위격에 초점을 맞추어, 천주의 성모님께 바치는 기도를 발전시켜 왔다. 이 기도를 표현하는 수많은 찬미가와 후렴 안에는 흔히 두 가지 움직임이 번갈아 나타난다. 하나는 주님께서 당신의 비천한 여종에게, 그리고 이 여종을 통해서 모든 사람에게 해 주신 “큰일”에 대해 주님을 “찬양하는”(magnificat)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예수님의 어머니께 하느님의 자녀들의 애원과 찬미를 맡겨 드리는 것인데, 이는 마리아께서 이제 하느님의 아들이 자신 안에서 마치 신부(新婦)처럼 취하신 그 인성을 알고 계시기 때문이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2675항. 원문 링크.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서양 음악사의 여러 작곡가에 의해 작곡된 바 있는 Magníficat이 바로 마리아의 노래이다. 가톨릭 교회의 찬미가를 비롯한 여러 기도문이 늘 그렇듯, 이 기도를 'Magníficat'이라고 칭한 이유 역시 그 첫 단어가 'Magníficat'이기 때문이다.

3. 성경에서의 유래

아래의 루카 복음 1장 중 마리아의 노래와 관련된 이야기는 '예수님의 탄생 예고'(루카 1,26-38)와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방문하다'(루카 1,39-45)이다. 전자는 성모 영보에 관한 이야기이고, 후자는 성모송의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에 관한 내용이다. 이들 성경 본문은 아래의 링크로 갈음한다.
『성경』 루카 복음 1장 열람

4. 본문

루카 복음 1,46ㄴ-55이 있는 라틴말과 한국어 본문 링크는 다음과 같다.
『Nova Vulgata』 Evangelium secundum Lucam 1 열람
『성경』 루카 복음 1장 열람

아래는 시간 전례 때 바치는 라틴 말과 (추후 한국 천주교에서 시간 전례 중에 사용될) 한국어 기도문이다. 몇 가지 설명을 붙이면 다음과 같다.
  • 라틴 말 기도문은 『Antiphonale Romanum』에 수록된 바에 따라 노래할 때 숨쉬는 부분에 별표 표시하였다.
  • 라틴 말 본문 중 위에 별도로 표시한 것은 예전 기도문에 쓰였던 단어이며, 본문에 있는 것은 지금 기도문이다.
    • 서양 음악사의 유명 작곡가들의 Magníficat은 모두 예전 기도문으로 만들어졌다.
    • 현재의 기도문은 『Antiphonale Romanum』에 의한 것이며 『Nova Vulgata』의 루카 복음 1장의 내용과 같다.
  • 한국어 기도문은 위에 링크된 『성경』과 약간 다르지만, 엄연히 2024년 현재의 공식 번역이다. 이 번역이 『성경』의 번역을 제치고 『로마 미사 경본』의 영성체송이나 『미사 독서』의 화답송, 복음 환호송과 같은 고유문에 활용된다. 마치 『성경』의 시편과 『전례 시편』의 관계와 비슷하다.
라틴 말[2] 한국어[3]
Magníficat * ánima mea Dóminum.내 영혼이 주님을 찬양하고
Et exsultávit spíritus meus * in Deo [ruby(salvatóre,ruby=salutári)] meo.내 구원자 하느님 안에서 내 마음 기뻐 뛰노네.
Quia respéxit humilitátem ancíllæ suæ *
ecce enim ex hoc beátam me dicent omnes generatiónes.
그분은 비천한 당신 종을 굽어보셨네.
이제부터 과연 모든 세대가 나를 복되다 하리라.
Quia fecit mihi magna, qui potens est, *
et sanctum nomen eius.
전능하신 분이 나에게 큰일을 하셨으니
그 이름은 거룩하신 분이시다.
Et misericórdia eius [ruby(in progénie et,ruby=a progénie in progénies)] progenies *
timéntibus eum.
그분 자비는 세세 대대로
그분을 두려워하는 이들에게 미치리라.
Fecit poténtiam in bráchio suo, * dispérsit supérbos mente cordi sui.그분은 당신 팔로 권능을 떨치시어
마음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네.
Depósuit poténtes de sede * et exaltábit húmiles.권세 있는 자를 자리에서 내치시고
비천한 이를 들어 올리셨네.
Esuriéntes implévit bonis * et dívites dimísit inánes.굶주린 이를 좋은 것으로 채워 주시고
부유한 자를 빈손으로 돌려보내셨네.
Suscépit Israel púerum suum * recordátus [ruby(misericórdiæ,ruby=misericórdiæ suæ)].당신 자비를 기억하시어
당신 종 이스라엘을 돌보셨으니
Sicut locútus est ad patres nostros, * Abraham et sémini eius in saécula.우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대로
아브라함과 그 후손에게 그분의 자비 영원하리라.

이 기도 끝에 영광송이 붙는다.

5. 성음악에서의 사용

5.1. 그레고리오 성가

여덟 가지의 시편창 곡조 중 하나를 골라 거기에 맞춰 노래한다. 만일 시간 전례의 저녁 기도처럼 앞뒤에 그레고리오 성가 후렴이 있다면, 그 후렴의 선법과 동일한 선법의 시편창 곡조가 활용된다. 전례나 신심 행사에 참여한 모든 이들이 이 시편창을 서로 교대로 노래할 수 있고, 선창자나 성가대와 회중의 교창으로 노래할 수 있으며, 성가대만의 교창으로 노래할 수도 있다.

그레고리오 성가 시편창의 여러 관습 중 이 노래와 즈카르야의 노래(루카 1,68-79), 시메온의 노래(루카 2,29-32)에만 달리 적용되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시편창 곡조의 도입부는 후렴 후 첫 절에만 사용한다. 가령 『가톨릭 성가』 84번 '얼마나 좋은고'의 시편창 제5선법에서 중심음으로 올라가는 곡조는 후렴 후 나오는 첫 절인 'Laudate Dominum'의 'Lau-'와 '-da-'에만 적용되었다. 이 곡의 5선보 악보에서는 Eb과 G 음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 곡조의 다음 절인 'Quaniam confirmata~', 'Gloria Patri~', 'Sicut erat in~'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런데 마리아의 노래, 즈카르야의 노래, 시메온의 노래를 그레고리오 성가 시편창에 맞춰 노래할 때는 그 도입부를 모든 절에 사용한다. 시편창 제1선법으로 노래하는 아래의 동영상과 그 밑에 있는 여러 사례들이 이를 공통적으로 보여 준다.
  • 제2선법: #1
  • 제6선법: #1
  • 제8선법: #1, 『가톨릭 성가』 269번

5.2. 다성음악


[1] 『로마 미사 경본』 476면, 성령 강림 대축일 긴 전야 미사, 12항.[2] 『Antiphonale Romanum』, Solesmes.[3] 『가톨릭 기도서』. 한국천주교주교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