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22:29:13

림벨드


[[엘든 링 밤의 통치자|
파일:ELDEN-RING-NIGHTREIGN-LOGO.webp
]]

제스처 · 도전 과제 · 공략 및 팁 · 출시 전 정보 · 패치 내역
본편 · 엘든 링 | DLC · 황금 나무의 그림자
영화 · 엘든 링

엘든 링 지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틈새의 땅
원탁
림그레이브 흐느낌의 반도 스톰빌 성 호수의 리에니에
마술학원 레아 루카리아 알터 고원 겔미어 화산 화산관
도읍 로데일 흉조가 버려진 지하 케일리드 그레이오르의 용총
거인들의 산령 구별된 설원 미켈라의 성수 성수 버팀목 에브레펠
에인세르 강 시프라 강 모그윈 왕조 깊은 뿌리 밑바닥
무너지는 파름 아즈라 재의 도읍 로데일
그림자의 땅
묘지 평원 탑의 도시 벨라트 엔시스 성채 그림자 알터
그림자의 성 나락의 숲 푸른 해안 석관의 큰 구멍
라우프의 기슭 라우프의 옛 유적 톱니산 카로의 숨겨진 묘지
에니르 일림
엘든 링: 밤의 통치자
원탁
림벨드
}}}}}} ||

파일:1000032043.jpg
림벨드
リムベルド
Limveld
BGM - Limveld

1. 개요2. 특징
2.1. 환경
2.1.1. 축복2.1.2. 영혼 매의 횃대2.1.3. 영맥
2.2. 습격 이벤트
2.2.1. 미친 불2.2.2. 운석 충돌2.2.3. 재역2.2.4. 영묘2.2.5. 새로운 밤의 위협2.2.6. 밤의 세력2.2.7. 끔찍한 흉조2.2.8. 황충해2.2.9. 거대한 물거품2.2.10. 악마의 저주
3. 세부 지역
3.1. 공략 거점
3.1.1. 오두막3.1.2. 마을3.1.3. 교회3.1.4. 대교회3.1.5. 작은 야영지3.1.6. 대야영지3.1.7. 유적3.1.8. 갱도 입구3.1.9. 봉인 감옥3.1.10. 마술사탑
3.1.10.1. 오래된 마술사 탑
3.1.11. 작은 성채3.1.12. 성채
3.2. 지변
3.2.1. 화구3.2.2. 부패의 숲3.2.3. 산령3.2.4. 숨겨진 도읍 노크라테오
3.3. 기타
3.3.1. 필드 보스3.3.2. 스카라베3.3.3. 묻힌 보물
4. 개인 목표5. 보스6. 배경7. 기타

1. 개요

모든 맵 종류를 정리해놓은 사이트

엘든 링 밤의 통치자의 무대가 되는 지역.

평행세계의 틈새의 땅에 존재하는 지역으로, 본편의 림그레이브에 대응되는 지역이다.

2. 특징

전체적인 풍경은 림그레이브와 비슷하지만곳곳에 보랏빛을 띄는 곳 등 세부적인 특징은 다르다.
파일:1000032045.png
고유한 현상으로 밤의 비가 있다. 낮 동안에는 림벨드를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지만, 밤이 되면 활동할 수 있는 구간이 보스가 등장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좁혀지게 되며, 그 이외의 구역에는 닿으면 빠르게 체력을 닳게 만드는 밤의 비가 내리게 된다.

밤의 비는 처음엔 성배병을 적당한 타이밍에 마셔주는 것으로도 버틸만하지만 너무 오래 영역에 연속해서 머무는 경우 갑자기 큰 대미지를 연속해서 가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밤의 비가 좁혀지는 속도는 밤을 건너는 자의 질주보다는 느리기 때문에 최적의 동선으로 빠르게 탈출하는 것이 좋다.

2.1. 환경

2.1.1. 축복

파일:site_of_grace_icon_nightreign_wiki_guide_64px.webp
전사들의 안식. 회복과 성배병 보충이 이뤄지며 룬을 소비해서 레벨 업을 할 수 있다. 진행 초반에는 축복 위치가 마킹이 되어 있지 않으나, 한번 마킹한 이후에는 다음 플레이에도 이전에 마킹한 축복 위치가 표시되므로 진행 초반에는 번거롭더라도 축복 위치는 일일히 찍어주자.

2.1.2. 영혼 매의 횃대

파일:spectral-hawk-tree-map-icon-nightreign-wiki-guide.webp
영혼 매가 날개를 쉬는 나무. 영의 길을 따라 전사들을 태우고 난다. 영의 길은 기본적으로 고정이라서 성채와 함께 고정 위치로 등장하는 곳이기도 하다. 횃대별 영혼 매가 날아가는 방향은 지도에 표시되므로 동선을 짤때 고려하면 좋다. 또한 성채처럼 옥상에 보스가 존재하는 경우, 영혼 매의 동선을 잘 활용하면 곧바로 옥상에 착지할 수 있다.[1]

2.1.3. 영맥

파일:spiritstream-map-icon-nightreign-wiki-guide.webp
대지의 틈에서 새어 나오는 힘. 본편의 영기류와 같은 역할이다. 역시나 위치는 고정. 작은 성채가 영맥 가까이 스폰되었다면 영맥으로 단숨에 보스가 있는 옥상으로 올라갈 수도 있다.

2.2. 습격 이벤트

게임 진행 중 랜덤으로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구간에만 작게 발생하는 것도 있지만 맵 전체에 광역으로 패널티를 부여하고 해결하면 보상을 주는 것도 있다.
습격 이벤트는 고대의 마탑을 포함해서 어떤 밤의 왕에 나오느냐가 정해져있다.

2.2.1. 미친 불

일정 범위 내 발광을 빠르게 축적한다. 미친 불의 등잔이 있는 탑 주변과 꼭대기의 잡몹을 전부 처리하면 2만룬과 발광 관련 보상[2], 일반보상을 지급하며 미친 불이 사라진다. 밤의 왕으로 밤의 악마 리브라를 선택했다면 무조건 답파하는 것이 좋으며, 굳이 그게 아니더라도 보상의 규모가 봉인감옥 2개 수준은 되는데 처치해야할 몬스터가 병든 자밖에 없어서 발견했다면 무조건 답파하는걸 추천한다.

미친 불의 탑은 근처에 다가가면 메세지가 뜨면서 존재를 알려주지만 미친 불이 활활 타오르는 현상 자체는 먼 거리에서 미리 관측할수 있기 때문에 근처를 달려가고 있거나, 공중에서 매를 타고 이동중일때 전방을 유심히 관찰하다보면 메세지가 나오기 전에 미리 미친 불을 찾아낼수도 있다.

2.2.2. 운석 충돌

운석이 떨어지는 위압감 있는 인카운터지만 정작 크레이터 안에 있는 내리는 별의 짐승을 잡고 보상을 얻는 것이 끝이다.

2.2.3. 재역

다른 세계의 죄인이 침입했다는 문구와 함께 발생. 지도에 어두운 원으로 표시되어있는, 상공에 회오리바람이 몰아치고 있는 던전에서 등장한다. 회오리바람과 함께 등장하며, 본편의 암령 침입을 연상시키지만, 유저가 아닌 NPC 침입이다. 밤을 건너는 자 중 한 명, 혹은 두 명의 NPC가 특정 공략 거점에 침입하며, 처치 시 선택 보상 중 하나로 옵션이 붙어있는 해당 클래스의 기본 무기+2 를 얻을 수 있다. 침입자 단독으로는 그리 강하진 않지만 보스나 잡몹과 함께 있기에 까다로운 편. 암령 발생 구역에는 보스 및 몬스터들의 스펙이 강화된다.

2.2.4. 영묘

본편의 걷는 영묘가 정지된 상태로 등장하며, 다리를 타고 올라가 장비를 복제할 수 있다.

2.2.5. 새로운 밤의 위협

밤 보스를 잡은 뒤 낮은 확률로 두 번째 밤 보스가 등장한다. 다행히도 밤 보스는 1회 처치마다 성배병, HP 및 FP가 회복되므로 다음 전투를 준비할 수 있다.

2.2.6. 밤의 세력

맵에서 검은 색의 축축해보이는 구체가 등장하는데 가까이 접근하면 밤의 세력이 흘러나온다는 메시지와 함께 대량의 잡몹들이 나타난다. 전멸시키면 아츠 게이지 축적 증가 버프를 받는다.

등장하는 조합은 대량의 개미 무리, 손가락 벌레 무리, 왕족의 망령의 시종 무리, 그리고 거대 까마귀와 거대 개 무리이며[3] 난이도가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어둠 속에서 대량 소환되는 몹들의 비주얼이 징그럽거나 살벌한 편이라 임팩트는 있는 편이다.

2.2.7. 끔찍한 흉조

끔찍한 흉조가 난데없이 침입한다. 처치 시 활성화된 축복 개수에 비례해 공격력이 증가하는 버프를 얻을 수 있다. 필드 보스와의 전투 중에 난입하기도 한다.
만약 끔찍한 흉조가 목표를 죽이고 물러나는 경우, 흉조의 목표로 지정된 플레이어는 받는 피해 증가 디버프가 들어온다. 강적과의 싸움중 흉조가 난입한다면, 흉조는 타겟이 된 한명을 끝없이 추척하기에 자리를 이동한 후 흉조를 먼저 잡는것이 추천된다.
축복왕의 여광
새롭게 발견한 축복 수에 따라 공격력을 높인다

2.2.8. 황충해

레벨을 뺏어가는 벌레떼가 나타난다. 벌레떼는 하늘로 올라가 특정 장소로 이동하는데, 이 벌레떼를 따라가면 지성의 벌레 본체가 등장하며, 처치 시 지의 집약 버프를 획득할 수 있다. 답파할 경우 만렙을 찍고도 룬이 남아돌 정도로 게임이 수월해지지만, 레벨을 뺏긴 채로 시간이 경과해 지성의 벌레가 맵에서 사라지면 막대한 손해를 보게 되는 이벤트.
지의 집약
공격 시 드물게 대량의 룬[4]을 뺏는다

2.2.9. 거대한 물거품

파일:1000041123.png
거대한 물거품의 전경
징조가 필드에 난입하면 화면 오른쪽 위에 '거대한 물거품이 출현했다.'라는 문구가 나오면서 잠시 뒤 플레이어들의 머리 위에 거대한 물거품을 발생시키고, 이 물거품에 닿은 플레이어들만 인원수에 상관없이 징조가 있는 필드로 순간이동시킨다. 문구가 출력된 뒤에 빠르게 자리를 벗어나면 물거풍메 휘말리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이렇게 피한 다음에 다시 물거품에 닿아도 순간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징조를 쓰러트려도 원래 필드로는 돌아가지 못하고 주변을 둘러싼 벽만 제거될 뿐이기에, 플레이어가 있던 이전의 장소에서 남겨둔 필드 보스나 아이템이 있다면 플레이어가 직접 거기로 다시 돌아가야만 한다.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지도에 붉은 원으로 징조의 위치가 표시되기에, 징조의 위치가 동선과 너무 뒤떨어져있다면 과감히 포기하는 것도 방법이다. 다른 습격 이벤트와 달리 일단 물거품에서 벗어나기만 했다면 징조를 처리하지 않더라도 별다른 디메리트가 없다.

물거품은 플레이어를 향해서 서서히 움직이며 상당한 거리를 계속 따라오기 때문에 지변 발생 상황의 2일차처럼 동선이 제한된 경우 영원히 도망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에는 그냥 빨리 물거품에 닿아 징조를 처리하는 것리 좋다.

징조를 쓰러트리면 화면 오른쪽 아래에 '물거품의 주인을 격파했다.'라는 문구가 나오면서 보상으로 성배병 사용 시 FP를 회복할 수 있는 '융합하는 생명'을 획득할 수 있다.
융합하는 생명
성배병 사용 시 FP도 회복한다

2.2.10. 악마의 저주

갑작스레 맵 전체 대상으로 최대 체력을 깎는 저주를 거는 조율의 마물이 등장한다. 이 때 맵에 등장한 저울 든 상인에게 찾아가 아군 중 아무나 상인에게 대량의 룬[5]을 대가로 지불하면 저주가 풀리고 이로운 효과 하나를 선택해서 획득할 수 있다.[6]

혹은 상인을 공격하여 죽여도 디버프가 해제된다. 저울 든 상인이 피격될 때마다 "천박하군", "어리석은 것", "어리석군"이라는 대사를 하며, 3번 공격하면 상인의 몸이 부풀어오르며 보스인 조율의 마물로 변한다. 2페이즈 패턴을 시전하지 않고 체력이 낮긴 하지만 조율의 마물의 원본이 원본이니만큼 매우 강력하므로 실력과 스펙에 자신이 없다면 거래하는 것을 추천. 격파 시 성채 지하 보스를 잡으면 보상으로 열 수 있는 철 상자와 똑같이 탈리스만을 삼자택일해 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어떤 방법으로든 저주를 해제하면 '악마의 도금' 버프를 획득할 수 있다. 반면 저주를 해제하지 않으면 게임이 끝날 때까지 저주가 유지되며, 저주의 정도는 최대 체력에 비례하므로 게임 진행 및 클리어에 있어 막대한 패널티를 얻게 된다.
악마의 도금
소지 룬에 따라 공격력을 높인다
또한 이 조율의 마물은 랜덤 인카운터가 아닌 맵의 요소로도 확률적으로 등장하는데, 이 때는 저주를 걸지 않지만 거래 시 이득과 맞바꿔 패널티를 부여한다. 이 때도 마찬가지로 공격 시 보스로 적대할 수 있다.

3. 세부 지역

파일:elden-ring-nightreign-player-opening-the-map.jpg
림벨드의 지도[7]

3.1. 공략 거점

로그라이트 게임을 표방하는 만큼, 림벨드에서 필요한 아이템을 빠르게 파밍하는 것이 중요하다. 키마 기준으로 M을 누르면 지도가 나오는데, 이 지도에서 나오는 아이콘들을 이해하는것이 중요하다. 공략 지점들 위에 해당 지점의 적들이 사용하는 속성/상태이상 마크가 있으며, 발광을 제외하면 해당 거점에서 얻을 수 있는 장비의 특성과도 관련이 있다. 약점이 아니므로 주의.

3.1.1. 오두막

지도에 표시되지 않는다. 시작 위치 바로 주변에 있는 오두막이라면 시민 적이 다수 나온다. 아이템 조사시 성인 2~3개가 나온다.

3.1.2. 마을

파일:township-map-icon-nightreign-wiki-guide.png
한적한, 안전한 장소.
상인은 희소한 물품을 취급한다.
말그대로 일종의 안전지대이며, 비싼 값을 치러야 하지만 마을 상인의 경우 일반 상인과 다르게 고정적으로 단석[2]나 석검 열쇠, 보라색 무기, 황금나무의 축복ㆍ용표식 방패의 탈리스만을 판매하므로 지나가다 있으면 한 번쯤은 구경해보는 것이 좋다.
특히 후반에 15,000 룬 정도는 충분히 여유가 있는데, 갱도를 터는 것보다 간편하면서도 언커먼 등급의 좋은 장비가 있다면 레어등급으로 확정으로 올릴 기회가 된다.
솔플일 경우 1회용 부활템인 헤메는 축복 또한 일반 상인이 파는 부활템과 별도구매가 가능하기에 보스가 어렵다면 추가적으로 구매하는 것도 좋다.

마을이 아닌 곳의 일반 상인은 단석[2]를 팔지 않고 템 테이블도 별도이므로 구매시에 참고.[8]

3.1.3. 교회

파일:church-map-icon-nightreign-wiki-guide.webp
순례자의 교회.
성배병 사용 횟수를 늘릴 수 있다.
공략 거점중에서 가장 중요도가 높으면서 가장 위치 랜덤이 심한 거점. 성배병 사용을 늘릴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장소로, 아예 게임을 할때 교회를 기준으로 가는 길에 있는 미니던전들을 공략하는 방식이 기본으로 취급할 만큼 꼭 가야할 장소로 취급한다. 교회 주변에 있는 상자에는 여러 아이템들이 있어 보급하기에도 좋다.

필드 구성에 따라 교회가 5곳까지도 등장하며, 최악의 경우 각 교회 위치가 버뮤다 삼각지대마냥 3곳이 각 삼각을 이루며 필드 끝단에 배치되어 있으면 루트를 짜기 굉장히 곤란하다. 못해도 게임상 최소 두개의 교회는 들를것이 권장되는 편. 또한 성배병 사용 횟수를 늘리는 순간 체력이 전부 회복되고 성배병도 전부 보급되기 때문에, 밤의 비 영역 안에 있더라도 거리가 가깝다면 위험을 무릅쓰고 다녀오는 것도 방법이다.

3.1.4. 대교회

파일:great-church-map-icon-nightreign-wiki-guide.webp
완전히 쇠락한 교회.
신앙을 지녔던 자들의 성인이 남아 있다.
완전히 쇠락한 교회로, 버전에 따라 주변 구멍을 통해 지하로 내려가는 것이 가능하다. 성인을 파밍할 수 있는 위치이지만 전반적으로 주둔중인 보스의 스펙이 낮은 편이라 보통 성인을 목적으로 하기 보다는 빠르게 토벌하고 빠지는 용도로 들르게 된다.

일반, 화염, 신성의 세 가지 바리에이션이 있고 각 바리에이션마다 등장하는 적과 보스는 다음과 같다.
  • 일반
  • 화염
    • 불의 감시자들과 불의 승병
  • 신성
    • 신탁의 사자들

신탁의 사자 혹은 가디언 골렘이 있는 대교회 경우 지하 구멍은 없이 대교회로 들어가면 바로 보스가 있다.

구멍을 통해 내려가는 길이 있는 경우 영묘 기사나 불의 승병이 보스로 등장한다. 이때 보스방 직전 상자에서 성인이 확정적으로 두개 나오므로 복수자나 은둔자 같은 캐릭터에는 꼭 들러볼 필요가 있다.

가디언 골렘이나 지하 보스가 있는 경우 제단의 뒤에서 높은 확률로 석검 열쇠가 드랍되는 상자가 있다. 가디언 골렘과 신탁의 사자가 나오는 경우는 기둥을 타고 2층으로 올라가야 상자가 있는데, 시간이 많이 지체되므로 한명은 보스를 잡지 않고 상자를 찾으러 올라가는것이 좋다. 그외에 가디언 골렘과 달리 신탁의 사자의 경우, 보스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시점으로 교회의 왼쪽 구석을 찾아가보면 그곳에 성인이 나오는 작은 제단이 있다.

3.1.5. 작은 야영지

별도로 지도에 표시되지 않는 대신 맵 곳곳에 다수 존재하며, 보통 첫 낙하 지점 근처에 스타팅 포인트처럼 하나가 있는 경우가 많다. 1레벨과 2레벨의 스펙 차이가 크기 때문에 대개 첫 번째 주요 거점으로 이동하기 전 잠깐 들러서 빠르게 2레벨을 찍는 용도로 이용된다. 또한 아이템 루팅이 가능한 시체 또는 상자가 몇 개 있어서 소모품과 장비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쓰러진 마차가 있는 야영지의 경우 마차에 실린 철제 상자에서 높은 확률로 석검 열쇠가 등장하므로 꽤나 기분 좋은 스타트가 가능하다. 작은 오두막이 있는 경우에는 성인이 드랍되는 제단이 있다.

3.1.6. 대야영지

파일:main-encampment-map-icon-nightreign-wiki-guide.png
어느 세력의 주둔지.
강력한 적이 많이 머무르고 있다.
세력이 주둔하고 있는 곳. 보스뿐만 아니라 병사들도 제법 포진되어 있어 보스만 잡으려고 하다간 다굴맞을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적의 스펙은 주로 레벨 4 내외에 적절한 정도로 배치되어 있으며, 활을 파밍할 수 있다.
  • 일반
    • 고드릭 군주군과 늙은 사자
    • 유배병들과 땅 잃은 기사들
    • 혼종들과 사자 혼종
  • 화염
    • 적사자군과 적사자 기사들
  • 벼락
    • 도읍군과 도읍 기사들
  • 발광
    • 미친 불에 감염된 도읍군과 미친 불 트롤

보스 역시 미친 불 트롤과 늙은 사자, 사자 혼종을 제외하면 빼면 도읍군 기사들, 적사자 기사들, 땅 잃은 기사들 같이 여럿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보스몹들을 전부 잡아야 클리어한것으로 판정된다. 특히 적사자 기사 버전의 경우 확정적으로 기사 하나가 '아예 탑 위에서 에로우 레인을 시전하므로 빠르게 올라가서 잡아야 한다[9]. 병사들이 많은 만큼 여러 무기와 아이템들을 얻을 수 있다. 적사자 기사는 동선 때문에 솔플시 기피된다.

3.1.7. 유적

파일:ruins-map-icon-nightreign-wiki-guide.png
옛 시대의 모습이 남은 유적.
강력한 적이 머무르며, 숨겨진 지하실이 있다.
엘든 링 본편에서도 자주 봐왔던 폐허로, 지도에서 보면 유적 주변에 속성 표시가 있어 이와 관련된 적들이 나오는게 특징이다. 가령 마력 표시가 있다면 레아 루카리아의 마술사가, 수면 표시가 있다면 바닥 곳곳에 수면 함정이 있는 식. 이곳 역시 야영지와 비슷하게 여러 개체가 한 보스 취급을 받는 경우도 많다. 얻을 수 있는 무기나 아이템 역시 유적의 속성과 연관된 경우가 많아, 밤의 보스들의 약점 기믹과 관련된 속성의 유적이 있다면 꼭 들러주는 것이 좋다.

지역 설명에 "숨겨진 지하실이 있다."라는 설명에 그냥 입구가 뚫려있어서 한두번 찾아가봤던 보통의 지하실들을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텐데 문자 그대로 진짜로 숨겨진 지하실이 따로 있다. 유적은 2가지 형태가 존재하고 엘든링 본편처럼 바닥을 때려서 환영을 해제하고 들어가야한다. 유적의 형태별로 숨겨진 지하실의 위치가 다른데, 해당 지하실에는 레어도가 높은 상자가 2개 나오며 7레벨의 레어장비까지 나오는 경우도 있으니 들어가는 방법도 쉬울겸 유적을 들렀다면 한번 뒤져보는게 좋다.지하실 위치

지하실 이외에도 특이사항으로 각 속성별로 유적의 외형이 많이 다른 편인데, 어떤 속성이냐에 따라 레어도가 높은 시체가 하나 스폰된다. 이 시체의 위치는 말그대로 속성별로 전부 다르기때문에 자기가 찾아가기 쉽겠다 싶은 곳만 딱 집어서 외워두는게 좋다. 가령 전쟁마술사들이 나오는 유적의 경우 뒤집어진 U자형 구조로 디자인 되어있는데, 오른쪽 구석의 반쯤 무너진 탑의 3층에 레어급 시체가 있다.

적정 스펙은 5 내외이지만 보스 종류나 환경에 대한 난이도 편차가 큰 편으로, 환수의 파수견같이 일부 고난이도 보스는 스펙과 상관없이 솔로로 뚫기 버거운 경우도 있는 반면, 백금의 사람들 같이 시작하자 마자 달려서 그냥 잡을 수 있는 호구 보스도 있다.

특히 조향사가 보스로 나올때 동봉되는 시종들은 도르래 석궁난사로 1,2레벨 플레이어들을 요절내는 것으로 악명이 높은데 보스인 조향사들보다 이녀석들이 훨씬 강하다.

3.1.8. 갱도 입구

파일:tunnel-entrance-map-icon-nightreign-wiki-guide.png
채굴 중인 갱도.
무기를 단련할 광석을 얻을 수 있다.
광석을 얻기 위해 가는 곳으로, 특히 갱도 내에 표시되지 않는 강적[10]을 격파하면 일반적으로는 얻기 힘든 단석[2]를 확정으로 얻을 수 있다. 단석[2]는 언커먼 무기를 레어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기에 사용중인 언커먼 무기가 주력이 될거 같다면 꼭 들러주는 것이 좋다.

내부에는 본편에서도 봤을 광부들이 있는데, 시간이 부족한 게임인 만큼 타격무기가 없다면 굳이 건드리지 말고 빠르게 제일 아래층의 안쪽으로 진입하자. 보스몹인 고드릭 기사 / 트롤 / 호박머리 광병만 잡아주면 단석[2] 혹은 다른 무기 중 하나를 고를 수 있다. 보스 취급인데도 이름과 피통이 안 떠서 지나치기 쉽다.

주요 공략 지점 중 유독 여러모로 계륵 취급을 받는 곳이다. 후반에 쓸만한 보라색이나 전설 무기가 떠준다면 단석의 가치가 사라지기 때문. 그래도 양쪽이 이어진 일종의 지름길 역할도 할 수 있으므로 루트를 짜는데 있어 갱도를 거치는 통로같은 느낌으로 활용해보는 것도 가능하다.

반대로 출격시 무기에 속성부여 유물을 들었다면 어지간해선 가야 한다. 특히 출혈 스타팅 유물이면 모그윈의 성창 같은게 뜨지 않는 이상 거의 무조건 끝까지 써야한다. 또한 2일차 중반까지도 무기 파밍이 애매하다면 여기에 들려서 기존 무기를 강화하는 선택도 나쁘지 않다. 기본무기에 유물을 바르는 것만으로도 성능이 크게 바뀌는 추적자, 철의 눈, 집행자같은 클래스들은 어지간히 좋은 무기가 뜨는게 아닌 이상 반쯤 필수로 여기기도 하는데, 해당 클래스로 이게 안 좋으려면 전설무기 정도는 돼야하기 때문이다. 또 드랍된 촉매의 등급보다 거기 달려있는 주문의 종류가 중요한 은둔자나 복수자도 좋은 주문 달린 촉매를 강화하기 위해 자주 들르게 된다.

3.1.9. 봉인 감옥

파일:evergaol-map-icon-nightreign-wiki-guide.webp
포로가 갇힌 감옥.
봉인의 힘은 시간이 지날수록 약해진다.
작은 성채등에서 획득 가능한 석검 열쇠로 감옥을 개방하고 보스를 상대할 수 있다. 보스 스펙은 편차가 심한 편으로, 혼종 무리에서 용인병까지도 나올 수 있으므로 열어보고 파티 상태에 따라서 잡을 지 결정하는 것이 좋다. 특히 용인병 정도면 난이도도 높은 편이라서 왠만하면 솔플 중일시 안 잡는 것이 이득일 수 있다. 특이사항으로 봉인을 빨리 열면 최대 스펙이 50%까지 깎여서 나오기 때문에 스펙만 얼추 갖춰졌다면 바로 열어서 격파하는 것이 이득이다. 격파 시 특이하게도 상시 효과 외에 보상에 '강자의 룬'이라는, 일시불로 10000룬, 20000룬 30000룬을 받을 수 있는 옵션이 뜨는 곳이기도 하다. 즉 최소 1만룬에서 최대 3만룬까지의 룬을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어서 초반 레벨 업에 중요하다.

유물 중에는 봉인 감옥을 클리어할 때마다 해당 세션 종료 시까지 공격력이 5%씩 상승하는 꽤나 좋은 옵션이 있기 때문에, 이 점을 노리고 1일차는 석검 열쇠만 주우러 다니면서 봉인 감옥만 줄줄이 도는 것도 방법이다. 이 경우에도 강자의 룬 보상 덕분에 레벨 업은 충분히 가능하다. 다만, 3시 방향에 있는 봉인 감옥의 경우 이상할 정도로 두려운 강적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있다. 어그로가 잘못 끌리면 시간과 열쇠만 낭비하고 최악의 경우 사망으로 레벨도 잃을 수 있으니 먼저 강적을 잡고 가거나,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

3만룬을 받을 수 있는 옛 봉인 감옥의 경우 해당 보스를 잡는 도전과제가 존재한다.

3.1.10. 마술사탑

파일:sorcerers-rise-map-icon-nightreign-wiki-guide.webp
마술사가 연구에 이용했던 탑.
그 성과는 암호로 보관되어 있다.
드물게, 옛 마술사의 탑이 발견된다.
마술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은둔자는 반드시 들러야 할 장소이며, 복수자 또한 내부에 마나를 공급해주는 별빛 조각이 여럿 있기 때문에 들러볼 필요가 있다. 단 하나를 제외한 모든 경우 마술사탑은 문장을 찾기 전까지 입구가 봉인되어 열리지 않는데, 봉인을 해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입구가 막혀있지만 문장이 그려져있지 않은 경우, 거짓 봉인이므로 그냥 뚫고 지나가면 된다.
-입구가 막혀있고 계단 근처에 임프 석상이 있을 경우, 임프 석상을 공격하면 문장이 나타난다.
-입구가 막혀있고 그 위에 문장이 보이는 경우, 문장을 공격해 파괴하면 된다. 근거리 캐릭터라도 점프를 통해 파괴할 수 있다.
-입구가 막혀있고 마술사탑 왼쪽에 죽은 나무나 심하게 흔들리는 나무가 있는 경우, 해당 나무 밑에 문장이 숨겨져 있다. 공격하면 문장이 나타난다.
-입구가 막혀있고 마술사탑 뒤쪽에 본래는 없는 발코니가 나와있을 경우, 해당 부분을 공격하면 문장이 나타난다.
-입구가 막혀있고 마술사탑 오른쪽에 있는 연못에 문장이 비치는 경우, 연못이 아니라 바로 앞에 있는 벽을 공격하면 문장이 파괴된다.
-입구가 막혀있고 밑둥만 남은 나무가 움직일 경우, 나무를 공격하면 문장이 나타난다.
-입구는 열려있지만 2층의 출구가 막혀있으며 1층의 오른쪽에 석상이 없을 경우,[11] 석상이 없는 벽을 공격하면 문장이 나타난다.
-입구는 열려있지만 2층의 출구가 막혀있는 경우, 내부의 양초를 둘러보면 불이 켜지지 않은 양초가 하나 있다. 양초를 공격하면 문장이 나타난다. 근거리 캐릭터는 점프 공격을 활용해야 한다.

들어간 뒤 꼭대기층에서 보상을 얻을 수 있고, 세 번째 칸에서는 높은 확률로 버프나 탈리스만을 제공한다.[12] 또한 약간의 시간 투자로 간단하게 보상을 열어볼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주문을 사용하는 캐릭터가 아니더라도 시간이 충분하다면 이동하는 길에 들러보는 것이 좋다.
3.1.10.1. 오래된 마술사 탑
굉장히 낮은 확률로 등장하는 상위 마술사 탑이다. 위에 설명에서 드물게 등장한다는 옛 마술사탑이 바로 이것. 겉모습은 크게 달라지진 않았지만 기본적으로 좀더 오래되었다는 인상을 받을수 있다. 휘석광석이 더 크게 여기저기 솟아나있으며, 탑에 덩굴이 주렁주렁 자라나있는 등등... 월드맵에서는 마술사탑이 파란색으로 채색되어 구별된다. 보상은 모든 보상을 확정적으로 보라색 보상으로 준다.

한 일본유저가 해당 마술사탑을 공략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오래된 마술사 타워에 대한 메모. 문장의 위치는 아래의 패턴 3개 같다.
①입구 우측, 죽은 나무, 탑 내부 1F 우측(남쪽에 출현)
②물가, 비계[13], 건물 2층(북쪽에 출현)
③임프, 수풀 바닥, 건물 2층(북동쪽에 출현)

어느 패턴은 탑의 설치 장소에 의해 고정되있는 것 같다.(맵 남쪽의 경우는 패턴①)

가짜 문장을 부수면 폭발하므로 주의
탑 안의 그림으로 문장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되어 있고, 그림에 문장이 그려져 있지 않으면 탑 내부 2F의 문장이 진짜 문양이다.

보상은 희귀 지팡이, 무기, 방패, 탈리스만, 영약 등

옛 마술사 탑은 그노스터리브라로 출격했을 경우에만 출현하는 것 같다. 체감상 10회 출격에 1, 2회 정도 출현
링크

다만 정확한 정보는 아니다. 이후 시행 횟수가 쌓이며 여러 종류의 문장 위치가 추가로 발견되었는데, 일반 마탑과 동일하게 입구 위나 내부 우측의 석상 자리에 있는 경우도 있으며, 새로운 패턴으로는 가까이 접근해야만 모습이 드러나는 투명 고목나무를 부숴야 하는 경우도 있다.

3.1.11. 작은 성채

파일:fort-map-icon-nightreign-wiki-guide.webp
병사들이 있는 전초지. 작전 지도로
숨겨진 주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병사들이 여럿 있는 곳으로, 성채의 꼭대기에서 보스를 만날 수 있다. 성채 구성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뉘는데, 정문이 열린 성채의 경우 들어가서 바로 계단 타고 올라가면 보스를 만날 수 있다. 정문이 막힌 경우라면 주변 하수도를 통해 계단을 타고 올라가야 한다. 주요 보스는 군주군 기사장, 납치하는 소녀 인형(진자 낫), 결정인들, 가디언 골렘. 보스 주변의 방에서 지도를 확인할 수 있는데, 확인할 경우 지도의 실마리를 찾았다고 뜨며 주변의 스카라베와 묻힌 보물의 위치를 알려준다. 스카라베는 탈리스만을 제공하므로 가는 길에 있다면 충분히 잡아볼만 하며, 보물상자의 경우 각종 영약이나 조향병등 제법 비싸거나 귀한 물건들도 있어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이 외에 꼭대기의 보물상자에서 석검 열쇠가 고확률로 드랍되며 여러 지팡이를 확정 파밍할 수 있다.

3.1.12. 성채

파일:castle-map-icon-nightreign-wiki-guide.webp
위험이 만연한 성채. 실력에 자신 있는
자만이 도전해야 할 아성이다.
림벨드 정 중앙에 위치한 최상위 난이도 거점. 대부분 부분 랜덤화 되어 있는 공략 거점중에서 유일하게 고정화되어 등장하는 거점이다. 노크라테오 지변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다수의 병사들은 물론 보스들도 많은 곳이다.

성채 내부의 적들은 크게 유배병들과 항아리를 던지는 트롤들, 땅 잃은 기사들과 고대의 사자, 도가니 기사들 세 분류 중에서 랜덤으로 생성되며, 이 성채의 엘리트몹들은 보스 판정이 아님에도 처치할 시 보상을 얻을 수 있다.[14] 땅 잃은 기사나 도가니의 기사가 있는 성채는 파밍 난이도가 낮은 반면, 항아리를 던져대는 트롤이 있는 성채는 트롤의 시야에 들어올 시 원거리에서 계속 항아리를 투척해대는 매우 거슬리는 기믹이 있다. 항아리를 투척하는 사거리와 폭발 범위도 매우 넓은데 대미지까지 강력하니 파티 플레이로도 공략시 주의를 요한다. 심지어 트롤에게 어그로가 끌리면 다른 트롤과 싸우는 중이거나 성채 바깥인데도 항아리가 날아온다. 그런 주제에 룬은 3개의 유형 중 가장 적게 주는 여러모로 불합리하고 짜증을 유발하는 트롤링성 유형이다.

보스의 경우 크게 지하 보스와 옥상 보스로 나뉘는데, 하수구를 통한 지하 보스전은 적정 레벨이 다소 낮은 일반 강적 보스들이 있고 우회 공략이 가능하며, 격파 후 열리는 통로를 통해 성 내부로 진입하면 그곳의 보물상자에서 탈리스만을 확정으로 파밍 가능하다. 다만 지하 보스로 방울 사냥꾼이 등장하면 포기하고 돌아가는 편이 좋다.[15] 옥상의 경우 적정 스펙이 레벨 10 이상인 두려운 강적 필드 보스가 존재한다. 옥상 보스의 경우 워낙 가는 길이 좀 꼬여있는지라 모르는 사람들도 제법 있는 편. 참고로 성 외벽을 통해 올라가는 지름길 루트도 있다. 옥상 보스는 본 게임에서 가장 많은 룬인 6만룬을 드랍한다. 그만큼 강력한 보스들이 나오기 때문에 시간이 없으면 스킵할 수 있지만, 가능하면 잡고 가는게 좋다.

강하긴 하지만 의외로 1일차부터 털 수도 있다. 지변이 없는 상황이라면 2일차때 꼭 들리게 될 장소.

곳곳에서 보물상자를 찾아볼 수 있는데[16] 보통 엘리트 몹들이 경비하는 성변 위의 곳곳에도 섞여있고 지하를 통해 침입가능한 성채 내부 1층과 그 앞 성채 중앙 마당에 놓여있는 3개의 상자들 중에서도 확정적으로 등장한다. 의외로 많이 알려지지 않은 장소인데 성채 마당에서 균열을 넘어 성채 앞문이 있는 절벽 쪽으로 건너간뒤 오른쪽의 부서진 첨탑 위를 타고 오르면 그곳에서 3개의 보물상자가 모여있는 것을 찾을 수 있다.

3.2. 지변

밤의 왕을 격파할 때마다 일정 확률로 등장한다. 지변이 발생한 경우, 2일차 낮의 밤의 비는 처음은 지변 장소와 그 근처, 두번째는 지변 내 장소로 좁혀진다. 다만 숨겨진 도읍 노크라테오는 예외적으로 두번째에 지변 장소 밖으로 좁혀진다.

지변에서 등장하는 최종 보상의 경우 전반적으로 좋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답파만 가능하면 답파가 추천된다. 다만 산령이나 숨겨진 도읍 노크라테오의 경우 은근히 답파 루트가 꼬여 있어 처음 도전한다면 헤매기 쉽다. 2일차에 자기장이 지변 지역으로 좁혀지는 특성상 보통은 답파를 목표로 탐험을 이어나가나, 산령의 경우 보상 수준도 별로인데다[17] 루트도 꼬여 있는 편이라 답파를 포기하고 필드 보스와 내부의 폐허를 목표로 하는 경우도 꽤 있다. 반대로 부패숲의 경우 밤이 찾아오기 전에 반드시 답파를 해내야 하는데, 2일차의 밤의 비 영역은 부패숲 내부로 좁혀지기 때문에 답파하지 않았다면 사실상 2일차 밤 내내 붉은 부패에 걸린 상태로 보스전을 치루어야 한다. 당연히 난이도는 수직 상승하며 경우에 따라선 아예 클리어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지변 내에 존재하는 아이템을 드랍하는 시체들은 일반 필드의 시체들과 달리 상당히 높은 확률로 레어나 전설 아이템을 드랍하므로 동선에 시체가 보인다면 열어보는 것이 좋다.

모든 지변들은 각자 게임시작하고 림벨드에 착륙하자마자 1렙런으로 달려들어가서 전설장비도 챙겨먹고 레벨도 무난하게 8레벨 이상 올린 채로 첫째날 밤보스를 때려잡으러 나오는 전략이 가능하며 유튜브나 트위터에서 하루가멀다하고 새로운 경로가 발굴되고 있다. 이러한 1렙런은 99% 전설장비를 위해. 그중에서도 특히 마레 가의 집행검과 검 잇기의 대검을 먹기위해서 들어가는것이 대부분인데, 의외의 사실로 파밍경로만 잘짠다면 모든 지변들은 1레벨부터 들어가서 몬스터들을 파밍하더라도 큰 어려움없이 무난하게 성장할수 있도록 경로를 짤수있기 때문에 굳이 전설장비를 못먹었더라도 어느정도 충분한 수준의 성장을 이뤄낼수 있다.

다만 이 1렙런을 랜덤매칭에서 아군과 상의는 커녕 자기혼자 지변 속으로 들어가서 시체만 루팅하다가 검 잇기/집행검이 안떴다는 이유로 대뜸 게임을 나가버리고 남은 팀원들만 바보로 만들어버리는 민폐가 극성이다보니 1렙런 자체가 굉장히 인식이 좋지 않다.

3.2.1. 화구

파일:1000041128.jpg
엘든 링 본편의 화산관지역과 비슷한 환경을 가지고 있는 지변.

길이 매우 복잡하다. 교회 쪽에서 떨어져서 불 주교 두 명과 불 주교 + 불 승병 보스를 잡은 뒤 불의 전차 부대와 손가락 벌레들을 뚫고 최하층의 용암토룡까지 잡아야 답파 완료. 답파 후에는 영혼 매를 타고 바로 올라올 수 있다. 내려갈 때 최하층의 용암에 빠지면 이 게임에서 흔치 않게 낙사 판정으로 사망하므로 길을 따라 안전하게 내려가는 것이 좋다.

화구 주변에 아인 여왕이 고정으로 스폰되는 곳이 두 곳 있는데 이 중 한 곳에 높은 확률로 전설 무기가 드랍되는 상자가 있다. 그 외에 고정으로 영웅 가고일과 별짐승이 등장한다.
  • 보상
    특별한 무기 강화



    특별한 작업대에서 원하는 장비를 레전드 등급으로 강화(1회 한정)[18]

3.2.2. 부패의 숲

파일:1000041124.jpg
엘든 링 본편의 케일리드와 유사한 지변.

두려운 강적 보스가 다수 존재하며, 지변에 진입하는 것만으로도 붉은 부패가 축적되는 위험한 지형. 다만 엘든링 본편의 부패한 호수의 부패와 비교하면 확실히 덜 위험하다.[19] 작은 성채[20]에 가서 지도와 상호작용을 하면 숲의 은총의 위치를 알려준다. 다만 은총은 지도와 상호작용을 할 필요 없이 바로 스폰이 되는 것이라 고정된 스폰 장소들을 외워 뒀다가 진행 루트와 가까운곳으로 찾아가면 운이 좋을시 성채를 갈 필요 없이 즉시 획득도 가능하다. 혹은 지변 밖 일반 필드의 작은 성채가 가까이 있다면 바깥 성채의 지도 밝히기 범위 안에 있는 은총의 위치가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흑검의 권속 등 피하는 것이 추천되는 보스도 있지만, 빠르게 은총 획득 후 보스 러시를 해 레벨을 쌓는 것도 방법.

3.2.3. 산령

파일:1000041127.png
엘든 링 본편의 거인들의 산령과 유사한 지변.

평균적으로 통상 맵에서 가장 보상이 후한 편인 좌상단 지역을 차지하면서도 보상이 가장 형편없는데다 은총을 얻으러 가게 되는 꼭대기 부근에는 빙룡이 불러낸 눈보라가 상당히 아픈 동상을 축적하기에 가장 저평가받는 지변이다. 아래쪽의 비룡과 트롤, 까마귀, 아인 검성 등의 보스는 스펙이 높지 않아 잡기 쉽지만, 꼭대기 부근에는 매우 강력한 빙룡이 존재한다. 빙룡의 스펙이 엄청나게 높으므로 빙룡을 무시하고 설산 꼭대기의 버프를 먹은 뒤에 잡도록 하자. 빙룡은 전설 아이템을 확정으로 드랍한다.

산령 남쪽 유적 동쪽에 기사와 병사가 있는 작은 캠프가 있는데 이곳의 기사를 잡아도 보상을 드랍한다.

대부분의 필드 보스 보상에서 냉기 저항이 세번째 선택지로 등장하며 협곡 아래의 비룡에게서는 고정으로 플레이어의 모든 공격에 용 대상 특효를 부여하는 보상이 드랍된다.

비룡을 통해 확정으로 얻는 용 특효는 용족 보스인 칼리고와 에델레를 상대로 유용하며 특히 에델레는 잡기패턴을 용 특효 공격으로 끊을 수 있다.

빙룡은 파티가 처음 등반한 동쪽 혹은 서쪽 코스에 눈보라와 함께 등장하지만 이후 은총을 먹는 절벽에서 뛰어내리면 바로 갈 수 있는 중간 공터로 옮겨가며 간혹 버그나 어그로 문제로 중앙 위치를 옮기지 않을 경우 버프를 먹고 다시 등반했던 루트로 돌아가야 조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잘 들르지 않게되는 북쪽 루트도 존재하는데, 서쪽에서 입산하거나, 정상에서 올라가는 도중에 북쪽방향으로 떨어지면 산 가장자리를 넓게 따라가는 길이 있으며, 북쪽 가장자리엔 산령에서만 볼수있는 강적이 3종류 있다. 거대 까마귀들, 거대 개들이 산령의 다른 몹들과 달리 강적 버전으로 등장하며, 아인 검성또한 아인 무리들을 대동하여 우두머리 행세를 하듯 강적으로 등장한다.
  • 보상
    산령의 은총



    동상 축적과 동상 데미지를 반감하고 주위에서 동상 발생 시 공격력을 높인다

3.2.4. 숨겨진 도읍 노크라테오

파일:1000043260.jpg
엘든 링 본편의 영원한 도읍 녹스텔라와 유사한 지변.

헤메는 축복과 달리 답파만 하면 아군 전체가 부활 버프를 얻을 수 있기에 클리어에 매우 유리해진다. 은총 이외에도 무기를 복제할 수 있어서 높은 등급의 무기를 같은 캐릭터를 쓰는 아군에게 공유해 주는 것도 가능. 최종보스인 아스테르는 전설 아이템을 확정으로 드랍하며, 오른쪽 루트로 진입하면 레어도가 높은 아이템 상자도 발견할 수 있다. 아스테르 보스 방 앞의 영묘 기사들 또한 저확률로 전설드랍까지 나온다.

의외의 함정(?)이 있는데, 입구 쪽 난간 너머에는 화구와 마찬가지로 본 게임 내 흔치 않게 낙사 판정이 있는 작은 낭떠러지가 있다. 진입 시에는 보통 빠지진 않지만, 답파 후 도읍에서 나올 때 자기장 등의 이유로 급하게 나오다 낙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니 주의. 길을 따라 정석으로 나오면 빠질 일은 없다.

다른 지변과 달리 노크라테오가 있다면 필드 중앙의 큰 성채가 등장하지 않아 2일차 시작과 동시에 노크라테오로 향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도읍 양쪽에 허공에 고정되어 운석을 쏘는 아스테르 유충이 각각 한 마리씩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시간문제상 그냥 통과하게 되지만 체력을 30%만 깎아도 2만에 가까운 룬을 주고 도망가게 되어있다. 특이사항으로 철의 눈으로 아츠기를 풀차지해서 맞추면 유충에게 강제 그로기가 걸려 추락하는데 이게 사망판정을 받아 데미지에 관계없이 2만룬을 얻을수 있다. 특히 유충이 있는곳인 잔해구간에는 루팅할수 있는 시체도 많아서 파밍할 틈도 챙기기 쉬워진다.
  • 보상
    숨겨진 도읍 노크라테오의 은총



    패배 시 단 한 번 자신의 힘으로 일어나고 일시적으로 자신을 강화한다

3.3. 기타

3.3.1. 필드 보스

방황하는 강적. 강함을 잘못 판단하면
두려운 상대가 된다.
말 그대로 필드에 있는 보스로, 일반적인 보라색 버전과 주변에 빨간 칠이 더 있는 두려운 강적이 구분된다. 특히 두려운 강적은 최소 7렙 이상에 언커먼 이상의 무기를 지녀야 할만하다.[21] 1일차땐 위치가 숨겨져 있다가 2일차때 두려운 강적의 위치가 드러난다. 일반 강적은 2일차에도 드러나지 않는다. 해당 보스들의 목록은 문서 참고.

일반 강적들은 대체로 난이도가 어렵지 않아 1일차에도 쉽게 잡을 수 있지만, 그렇다고 너무 낮은 레벨인 상태에서 무리하게 들이박으면 잡는데 성공해도 시간대비 손해를 보니 어느정도 레벨업은 하고 도전하는 곳이 좋다. 거점을 2곳 이상 탐험한 상태라면 충분하며, 세팅이 갖춰진 2일차에선 순식간에 갈려나가는 보스를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니크 등급의 보상을 드롭하며 때때로 레어 등급을 드롭하기도 한다.

두려운 강적은 2일차의 주 목표 중 하나로, 성채를 탐험한 뒤에 시간이 남을 경우 도전하거나 아예 성채를 포기하고 두려운 강적만 골라 처치하기도 한다. 이 시점에선 쓸만한 부가효과가 달린 장비들은 이미 어느정도 파밍한 상태이기에 다양한 부가 효과나 버프보다는 좋은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

3.3.2. 스카라베

파일:scarab-map-icon-nightreign-wiki-guide.webp
귀중한 것을 옮기는 존재.
죽이면 탈리스만을 얻을 수 있다.
깊은 밤 모드에서 간혹 변이체 스카라베가 등장하는데 이를 처치하면 탈리스만 2개를 얻을 수 있다.

3.3.3. 묻힌 보물

파일:buried-treature-map-icon-nightreign-wiki-guide.png
숨겨진 보물 상자.
누군가가 숨기려고 했던 희소품이 잠들어 있다.
근처 작은 성채의 지도를 얻으면 위치가 밝혀 진다. 레어급의 무기나 소모품을 확정으로 준다. 동선내에 있다면 한번 들려볼만 하다. 게임 내에서 조향병을 얻을수 있는 몇 안되는 수단중 하나다.

4. 개인 목표

파일:mission-objective-map-icon-nightreign-wiki-guide.png
개인 추억 퀘스트 진행 중이라면 관련 이벤트 위치가 지도에 표시 된다. 개인목표는 추가능력 보상이 없고 해당되는 플레이어에게만 퀘스트 아이템만 드랍되지만 그 대신 강력한 보스급으로 룬을 많이 주므로 초반에 같이 가자고 핑이 찍히면 가급적 도와주자. 다만 등장하는 적들은 대부분 혼자서도 충분히 처리가 가능한 스펙으로 등장하기에, 파티의 동선과 너무 떨어져 있다면 알아서 처리하게 두는 것도 방법이다.

5. 보스

엘든 링 밤의 통치자보스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밤의 왕
파일:세 머리의 짐승 아이콘.png
파일:달려드는 턱 아이콘.png
파일:지성의 벌레 아이콘.png
파일:징조 아이콘.png
세 목 달린 짐승달려드는 턱지성의 벌레징조
파일:조율의 마물 아이콘.png
파일:어둠을 달리는 사냥꾼 아이콘.png
파일:안개의 틈새 아이콘.png
파일:밤을 본뜬 자 아이콘.png
조율의 마물어둠을 달리는 사냥꾼안개의 틈새밤을 본뜬 자

영원한 밤의 왕
{{{#!wiki style="margin: -15.9px -10.7px" 파일:영밤왕 달려드는 턱 아이콘.png 파일:영밤왕 어둠을 달리는 사냥꾼 아이콘.png 파일:영밤왕 지성의 벌레 아이콘.png
달려드는 턱 어둠을 달리는 사냥꾼 지성의 벌레 }}}
파일:영밤왕 징조 아이콘.png 파일:영밤왕 안개의 틈새 아이콘.png 파일:영밤왕 조율의 마물 아이콘.png 파일:영밤왕 세 목 달린 짐승 아이콘.png
징조 안개의 틈새 조율의 마물 세 목 달린 짐승

밤 보스
이름 없는 왕 공작의 프레이자 지네 데몬 고룡
방울 사냥꾼 대토룡 내리는 별의 짐승 성체 끔찍한 흉조
탐식의 드래곤 차가운 골짜기의 무희 벽지의 노장 전장의 노장
문드러진 나무령 접목의 군주 영웅의 가고일 왕족의 망령
죽음 의례의 새 용철 데몬 녹스의 용인병 지렁이 얼굴
도가니의 기사
& 황금 하마
밤의 기병(글레이브)
& 밤의 기병(철퇴)
용의 트리 가드
& 도읍 기병
트리 가드
& 도읍 기병
아인 여왕
& 아인 검성
신의 살갗의 귀인
& 신의 살갗의 사도
티비아의 배
& 죽음에 사는 자들

필드 보스
도가니의 기사 늙은 사자 황금 하마 미란다플라워
군주군 병사장 자미엘의 옛 영웅들 신의 살갗의 귀인 녹스의 전사들
신탁의 사도들 불 전차부대 도읍군 기사들 조향사
피의 귀족 불의 승병 가디언 골렘 결정인들
지렁이 얼굴 고룡 죽음 의례의 새 국서의 붉은 늑대
사자 혼종 흑검의 권속 용인병 룬베어
왕족의 망령 사냥개기사 구릉의 비룡 카리아 친위기사
암흑의 부산물 검은 칼날의 자객 파름 아즈라의 수인들 접목의 귀공자
적사자기사들 땅 잃은 기사들 용암토룡 돌 피부의 왕들
미친 불 트롤 흉조의 아이 납치하는 소녀 인형(진자 낫) 백금의 사람들
용의 트리 가드 혼종 무리 자미엘의 옛 영웅 선조령
밤 기병 전쟁마술사들 방울 사냥꾼 백금의 사수들
황금 나무의 화신 신의 살갗의 사도 영웅의 가고일 전장의 노장
영묘 기사 타락한 조향사 문드러진 나무령 환수의 파수견들
트리 가드 아인 여왕 비룡 불 주교들
내리는 별의 짐승 땅 잃은 기사 내리는 별의 짐승 성체 벽지의 노장
설원 트롤들 목 없는 트롤 묘지기 투사 큰 갈까마귀들
산령의 빙룡 아인 검성
}}}}}} ||

6. 배경

7. 기타

파일:20250525.jpg
  • 엘든 링 밤의 통치자의 출시 전 트레일러에서 등장한 지도를 보면 림그레이브의 지도와 매우 비슷한 모습을 띄고 있다. 림벨드의 지도도 림그레이브와 어느정도 유사하지만 저 지도보다는 차이가 크다.

[1] 길 자체는 기본적으로 고정이지만,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는 조금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2] 미친 불의 성인, 바이크의 전투창[3] 개와 까마귀는 엘든 링의 케일리드 지역에서 등장했던 검정색 타입들이 소환되며 붉은 빛의 케일리드와 달리 검은 구체 아래의 어두운 곳에서 등장하기 때문에 본편보다도 훨씬 검게 보인다.[4] 10000룬.[5] 1일차 15,000룬, 2일차 35,000룬.[6] 이때는 이미 룬을 지불했기 때문에 거래 시 별다른 대가를 요구하지 않는다.[7] 등장하는 구조물, 즉 교회나 성채의 위치 등은 매판마다 달라진다.[8] 일반 상인들은 어디로 가든 서로 템 테이블을 공유하기에 한곳에서 구매했다면 다른 지역도 그 아이템의 재고는 없는거로 나온다. 마을 상인만 별도의 템 테이블을 가지고 있기에 다른 상인들의 구매 현황에 영향받지 않는다.[9] 참고로 이 기사는 플레이어와는 달리 낙댐을 받는다. 밀쳐서 떨어뜨리기만 해도 반피에서 즉사까지 노려볼 수 있으니 참고.[10] 트롤, 호박머리 광병, 고드릭 기사(창)[11] 본래는 1층의 왼쪽과 오른쪽에 석상이 하나씩 세워져있다.[12] 지팡이만 3개 주는 경우도 있다.[13] 건물 왼쪽에 툭 튀어 나와있는 벽[14] 실루리아 창을 든 도가니 기사, 붉은 눈의 땅 잃은 기사, 모든 트롤로 모든 경우 보상을 주는 몹은 4마리이다.[15] 지하에 등장할 수 있는 보스들 중 유일하게 두려운 강적이며 검을 날려보내 휘두르는 범위가 지하 보스룸 전체를 커버하기에 파밍이 어느정도 완료되었더라도 전멸할 위험이 높다.[16] 보물상자는 커먼에서 언커먼 정도의 아이템이 드랍되는 일반 나무 상자와 달리 언커먼에서 레어 사이의 보상이 드랍되는 상자로 더 크고 각진 외형을 하고 있다.[17] 파티원 중 동상 상태이상이 달린 무기를 사용하는 캐릭터가 없다면 사실상 의미가 없다. 그나마 밤의 왕이 밤의 안개 칼리고라면 조금 유용한 정도.[18] 기존 무기의 레어도는 무관하다. 커먼 등급의 장비도 레전드급으로 바로 승격된다.[19] 부패 축적 속도가 그리 빠르지 않고 도트딜도 그리 강하지 않다. 필드 곳곳에 부패 상태와 게이지를 해제시켜주는 식물도 존재한다.[20] 부패의 숲 내에서 유일하게 이곳은 부패가 축적되지 않는다.[21] 특히 강한 필드 보스들로 방울 사냥꾼, 흑검의 권속, 영웅의 가고일, 용의 트리가드, 카리아 친위기사, 죽음 의례의 새가 꼽힌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엘든 링 밤의 통치자|엘든 링 밤의 통치자]]}}}{{{#!if external != "o"
[[엘든 링 밤의 통치자]]}}}}}}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엘든 링 밤의 통치자?uuid=997197fb-8a4f-4193-b1a8-bb998d867779|r44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엘든 링 밤의 통치자?uuid=997197fb-8a4f-4193-b1a8-bb998d867779#s-5.1|5.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엘든 링 밤의 통치자?from=44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엘든 링 밤의 통치자|엘든 링 밤의 통치자]]}}}{{{#!if external != "o"
[[엘든 링 밤의 통치자]]}}}}}}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엘든 링 밤의 통치자?uuid=997197fb-8a4f-4193-b1a8-bb998d867779|r44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엘든 링 밤의 통치자?uuid=997197fb-8a4f-4193-b1a8-bb998d867779#s-5.1|5.1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엘든 링 밤의 통치자?from=44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