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공성병기인 Ribault}}}에 대한 내용은 [[오르간 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오르간 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오르간 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헤이딜러가 운영하는 중고 전기차 판매 플랫폼}}}에 대한 내용은 [[헤이딜러]]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헤이딜러#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헤이딜러#|]]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공성병기인 Ribault: }}}[[오르간 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오르간 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오르간 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헤이딜러가 운영하는 중고 전기차 판매 플랫폼: }}}[[헤이딜러]]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헤이딜러#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헤이딜러#|]]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리볼트 Re-Volt[1] | |
<nopad> | |
개발 | 어클레임 스튜디오 런던 SUPERDAY.INC |
유통 | |
플랫폼 | Microsoft Windows | PlayStation | 닌텐도 64 | 드림캐스트 | 안드로이드 | iOS |
ESD | Steam |
장르 | 레이싱 |
출시 | PS1 / PC / N64 1999년 8월 18일 DC 1999년 12월 17일 iOS 2012년 10월 4일 android 2013년 4월 24일 Steam 2022년 7월 29일 |
한국어 지원 | 미지원 |
심의 등급 | |
해외 등급 |
1. 개요2. 역사3. 시놉시스4. 이식판
4.1. 조작키
5. BGM6. 플레이 모드7. 게임 모드8. 차량9. 아이템9.1. 폭탄(Bomb)9.2. 물풍선(Water Ballon)9.3. 전기 충격(Electro Pulse)9.4. 기름(Oil Slick)9.5. 쇠공(Ball Bearing)9.6. 건전지(Turbo Battery)9.7. 부비트랩(Clone Pickup)9.8. 파동탄(Shockwave)9.9. 폭죽(Firework)9.10. 폭죽다발(Fireworks)9.11. 별(Global Pulse)
10. 트랙11. 치트키(PC판)12. 관련 커뮤니티 • 동영상 채널 • 사이트13. 유저 컨텐츠 제작 방법14. 기타1. 개요
어클레임 엔터테인먼트의 어클레임 스튜디오 런던(프로브 소프트웨어)에서 만든 RC카 레이싱 게임. 1999년 8월 18일에 첫 발매하였다.2. 역사
20세기에 제작됐다고는 믿기 힘들 정도로 우수한 그래픽과 게임성을 가졌지만, IP를 취득했던 회사들을 잇따라 망하게 하고[2] 결국 스스로 어밴던웨어가 되어버린 비운의 게임.발매 당시 PC 말고도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64로도 동시 발매했으며, 이후에 드림캐스트로도 발매했다. 나중에는 리볼트 라이브라고 엑스박스로도 내놓으려고 했다. 원래 엑스박스 라이브 베타 테스트 당시 플레이 가능했던 게임 중 하나였고, 실제로 엑박 라이브 스타터 킷에서 번들로 포함될 예정이었지만 거의 개발이 다 된 상태에서 발매가 취소되었다. 게임보이 컬러로도 출시 예정이었지만 개발을 마친 시점에서는 이미 게임보이 어드벤스가 발매된 시점이라 그런지 발매가 취소되었다.[3] 이후 게임의 소스 코드는 Race Time이라는 비라이센스 번들 레이싱 게임에 재활용되었다.
2000년을 전후로 세계에서 리볼트 대회가 개최되는 등 선풍적인 인기가 있었다. 한국에서도 정식 발매한 아오조라 엔터테인먼트 주도 하에 게임 대회를 시범 개최하는 등 인기가 많았다.
이후 리볼트의 후속작격으로 RC Revenge[4]와 RC Revenge Pro가 각각 PS1, PS2용으로 출시되었다. 하지만 후속작임에도 불구하고 전작이었던 리볼트보다 퇴보한 게임성과 당시 게임기 성능의 한계로 인해 전형적인 90년대 아케이드 그래픽에다 한결 유치해진 분위기로 망했다.
휘청휘청하던 개발사 어클레임 엔터테인먼트는 후속작의 실패와 킬러 타이틀의 부재로 인해 2004년 7월 망해버렸고, 별다른 정품인증 수단이 없던 리볼트는 이미 어클레임이 망하기 훨씬 전인 2000년 무렵부터 어밴던웨어가 되어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웹하드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다. 그동안 리볼트의 지적재산권(IP)은 같은 어클레임 제작 게임인 Vexx, Extrme-G, 글래디에이터 등과 함께 쓰로우백 엔터테인먼트(Throwback Enterteinment)에 팔렸다.
그러다가 2011년 2월 23일에 주식회사 위고 인터랙티브(WeGo Interactive)라는 대한민국의 신생 회사에 팔렸다. 이 회사의 대표가 과거 리볼트를 국내에 수입했던 적이 있고 이후 회사가 망하자 리볼트의 IP를 얻기 위해 동분서주했다고 한다. ## 2012년 10월 3일 iOS로, 2013년 4월 8일 안드로이드로 Re-volt Classic이란 이름으로 모바일 이식되었다. 드림캐스트 버전으로 만들어졌으며 기존의 치트가 통하지 않는 대신에 이를 인앱 결제로 팔았다.[5] 앱을 구입해야 되는 방식이지만 무료 데모 버전도 있다. 하지만 무료 데모 버전 답게 맵 하나에 차량도 제한적이다. 이 버전의 모바일판은 좋은 평가를 받으며 히트하게 된다.
이후 리볼트 2가 나왔는데 사실상 기존 모바일 판의 개조 버전에 가깝다. F2P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기존 차량의 리페인팅/능력치 조정 말고도 독자적인 차량을 내놓기도 했다. 다만 위의 이식판과는 다른 조작감을 가지고 있을 뿐더러 원작을 이해하지 못한 컨텐츠 방향성 때문에 원작팬들에겐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이후 나온 리볼트 3은 아스팔트 아류작 같은 전형적인 안드로이드 레이싱 게임이 되어버렸으며, 2의 이용자 감소와 3의 실패로 인해 타격을 받은 위고 인터랙티브는 2017년을 전후하여 모든 리볼트 모바일 시리즈의 서비스를 종료했다.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등에서 더 이상 앱을 설치할 수 없으며 위고 인터랙티브의 홈페이지는 접속조차 불가능하다. 원 제작사 어클레임에 이어 (잠시 거쳐갔던 쓰로우백을 제외하면) 두 번째 제작사인 위고 인터랙티브(사업자번호 105-87-28963,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가 2019년 12월 12일로 폐업함(과세유형: 폐업자)에 따라 리볼트는 결국 다시 한번 기나긴 어밴던웨어의 길을 가게 되었다.
한편 PC 버전은 2013년 10월 3일 경에 H2 인터렉티브에서 GOG.com를 통해 발매했으나, 3개월여 만인 2014년 1월에 내렸다. 이는 커뮤니티 개조 버전(윈도우 비스타 이후 운영체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1.2 버전)을 허락도 없이 팔았던 게 이유다.
그러나 2017년 OpenGL 포팅 프로젝트 RVGL이 궤도에 오르고, 오랫동안 IP가 붕 떠있던 탓에 각종 개조, 애드온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고 방대한 양의 추가 차량과 트랙이 제작되고 있어 커뮤니티 자체는 활기를 되찾았다. 2020년 시점에서도 애드온 맵과 차량이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으며, 리그 서버도 운영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도 한국 카페의 주도로 아시아 유저들을 위한 디스코드가 개설되는 등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게임의 명맥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2022년 4월 22일, GOG.com에서 뜬금없이 다시 판매를 재개했다. # 2013년에 GOG를 통해 유통을 시도했다가 내린 H2 인터렉티브가 재개했는데, SUPERDAY라는 곳에서 라이선스를 받았다. 리볼트의 지적재산권이 위고 인터랙티브에서 SUPERDAY로 이전된 것으로 보인다. 1.1 버전이며 더 많은 컨텐츠를 위해서는 RVGL 패치를 추천한다. 2022년 7월 29일에는 스팀에서도 판매를 시작했다. #
2.1. RVGL
|
다운로드
2015년부터 RVGL 팀에서 진행중인 리볼트의 OpenGL 포팅 프로젝트이다. 오리지널 리볼트와는 달리 최신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훨씬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한다. 지금 리볼트를 즐기고 싶다면 RVGL 버전을 즐기는 것을 추천한다.
RVGL에는 오리지널 리볼트를 기반으로 더 많은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3. 시놉시스
장난감 R/C 카가 반란을 일으킨다! 리볼트에서 28대의 무선 조종 자동차 중 하나를 독특한 환경에 설치된 레이스 트랙으로 이끌게 된다. 자동차는 실제 R/C 카의 크기이기 때문에 트랙 주변에서 발견되는 물체는 실물보다 크다. 연석은 거대한 벽이 되고, 장난감은 장애물이 된다. 자동차를 몰고, 통과하여, 결승선에 도달하기까지 모든 것이 공평하다.
수년 동안 토이 볼트사는 전 세계 어린이들을 위한 게임과 장난감을 생산해 왔다. 첫 제품 RC카를 출시한 지 몇 달 만에 그들은 사업의 정점에 올랐다. 그런데, 그 많은 RC카 제품들이 자아를 가지게 된 것 같다. 그들을 포로로 가두었던 선반에서 탈출하여 현실 세계로 들어가, 새롭게 찾은 자유를 즐기면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4개의 컵에서 펼쳐지는 박물관, 슈퍼마켓, 그리고 여러분의 동네처럼 보이는 환경을 포함한 13개의 다채로운 트랙을 확인해 보라.
H2 인터랙티브의 설명
수년 동안 토이 볼트사는 전 세계 어린이들을 위한 게임과 장난감을 생산해 왔다. 첫 제품 RC카를 출시한 지 몇 달 만에 그들은 사업의 정점에 올랐다. 그런데, 그 많은 RC카 제품들이 자아를 가지게 된 것 같다. 그들을 포로로 가두었던 선반에서 탈출하여 현실 세계로 들어가, 새롭게 찾은 자유를 즐기면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4개의 컵에서 펼쳐지는 박물관, 슈퍼마켓, 그리고 여러분의 동네처럼 보이는 환경을 포함한 13개의 다채로운 트랙을 확인해 보라.
H2 인터랙티브의 설명
요약하자면, 리볼트 RC카들은 특별한 기술 내지는 마법 때문에 자아를 가져 거리로 튀어나온 존재들이다. 설정상 이 RC카들은 대화도 할 수 있는 듯하다.
4. 이식판
플레이스테이션 |
|
PC |
|
닌텐도 64 |
|
드림캐스트 |
|
Xbox |
|
아케이드 |
|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차량 등급에 따른 속도차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스킨을 선택할 수 있었다.
- 모바일판
위에서도 언급되었지만 2011년 2월 23일에 위고 인터랙티브(WeGo Interactive)라는 한국 회사에 IP가 넘어간 후 2012년 10월 3일 iOS로, 2013년 4월 8일 안드로이드로 Re-volt Classic이란 이름으로 모바일 이식되었다. 드림캐스트 버전을 토대로 만들어졌으며 기존의 치트가 통하지 않는 대신에 이를 인앱 결제로 팔았다. 지금은 위의 RVGL을 설치하여 플레이 가능하다.
- 재출시판
위에서도 언급되었지만 2022년 4월 22일 GOG.com을 시작으로 7월 29일 스팀에 판매를 시작했다. 9년 전인 2013년 GOG.com에 판매를 시도했다가 중단한 H2 인터랙티브가 판매를 재개했다. 판매하고 있는 리볼트는 1.1 버전 기반이며 치트키들도 잘 동작한다. 가격도 매우 저렴하고 UHD 해상도도 지원하며, 리볼트 커뮤니티에서 배포되고 있는 모드들과 잘 호환된다. XInput을 지원하는 게임 컨트롤러도 지원하지만 게임 컨트롤러로 플레이하려는 경우 직접 설정하는 것이 좋다. 다만 1999년에 출시된 리볼트에서 해상도가 높아져 선명해진 것 뿐이라는 것이 흠.
4.1. 조작키
방향키: 가속/브레이크, 후진/회전좌측 CTRL: 아이템 사용
좌측 SHIFT: 경적
DELETE: 후방 보기
END: 차 뒤집기
HOME: 차량 위치 리셋
ESC: 게임 중 일시정지
F1: 카메라시점 변환
F2: 후방 카메라 ON/OFF
F3: 타인 카메라 ON/OFF
F4: F3 화면이 켜져있을 시 타인 지정 변경
5. BGM
사운드 트랙 리스트
BGM 파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립 버전으로는 들을 수 없으나 BGM을 따로 설치하거나 RVGL을 통해 설치할 경우 즐길 수 있다.
- Live Wires, Wheels of steel, Go West (Track 2 ~ Track 4)
- Toy world 1, Museum 1, Toys in the Hood 1, Botanical Garden, Toytanic 1&2
- Little Toy Carz, Little Toy Carz 2, Toys in the Hood, Recharge, Overdriver(Track 5 ~ Track 8[9])
- Supermarket 1&2, Toys in the Hood 2, Toy World 2, Rooftops, Museum 2
- Westvolt (Track 9)
- Ghost Town 1&2
6. 플레이 모드
리볼트 난이도 중 Arcade밖에 해보지 않은 플레이어들이 많은데 모드는 Junior RC부터 시작해서 Simulation까지 난이도순으로 정렬되어 있다.- Simulation
리볼트에서 가장 현실적인 모드. 레이싱이 현실화하기 시작한다. 레이싱에 실력 있는 플레이어라면 도전해 봐야할 모드. - Arcade
리볼트의 기본적인 모드이며, 여기서부터 물리 엔진이 발동된다. Console보다는 현실성이 높아지며, 신중하게 조작하지 않으면 더더욱 피로가 쌓인다. Arcade가 어렵다 싶으면 아래 모드로 해 보도록 하자. - Console
Junior RC와 달리 최대 RC카 속도가 나오기 시작한다. Console까지는 물리 엔진이 없으며 어느 정도 레이싱을 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모드. - Junior RC
리볼트의 가장 쉬운 모드. RC카 속도가 제한되어 있다. 레이싱에 미숙한 플레이어를 위해 기본적인 조작과 경주 스킬을 다루는 모드이다.
7. 게임 모드
레이싱 중 진행 안내방향은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데, 잘못된 방향이면 X표가 나타나면서 깜박인다. !표가 나타날 때는 갑작스러운 상황이나 트랙이 아래로 꺼지는 경우 등의 주의 안내표시이다.7.1. 싱글 레이스
기본적인 레이스 모드. 맵에 들어가면 WON RACE 란이 보이는데, 해당 트랙 게임에서 최종 1등을 달성했을 경우 Yes로 체크된다. 새로운 차량 해금 조건 중에 난이도 별로(Easy - Medium - Hard - Extreme) 트랙에서 모두 1등을 한번씩 하는 것이 있으며, 옵션으로 가서 트랙 바퀴 수와 출전 차량 수를 조정하여 빠르게 해치울 수 있다. 참고로 커스텀 차량의 AI 출전과 커스텀 트랙 사용은 여기서 가능하다.[10]Time Trial과는 다르게 기본 주행 모드에서 한번만 이기면 WON RACE는 여전히 Yes이며, 리버스나 미러 버전으로 돌려서 플레이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7.2. 컵 대회 (챔피언십)
컵은 브론즈-실버-골드-플래티넘 컵이 있으며 당연히 난이도는 브론즈부터 순서대로 점점 상승한다. 또한 컵 대회를 통해 차량들과 새로운 트랙들을 해금할 수 있다.컵 대회의 특징은 포디움에 들어야만 합격하여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며, 그러지 못하면 라운드 불합격으로 재시작해야 한다. 총 재시작 기회는 3번이며 3번을 날리면 그걸로 게임 오버된다. 또한 각 트랙마다 점수를 매겨 합계를 내는 방식이라 점수 누적을 잘 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승점은 다음과 같다.
- 1위 - 10점
- 2위 - 6점
- 3위 - 4점
하단의 순위부터는 AI 차량들에게만 적용되는 점수이다.
- 4위 - 3점
- 5위 - 2점
- 6위 - 1점
- 7위 이하 - 0점
그리고 종합 점수를 매겨 시상식을 하는데 종합 점수가 3위권, 즉 포디움 밖으로 밀려나거나 대회를 끝까지 못 마치고 게임 오버되는 경우에는[11] 차가 폭발하는 벌칙을 받는다. 다음 컵을 열려면 우승을 해야 하므로, 자신 있는 맵에서 확실히 이겨야 한다. 1위를 하고 있는데 2위와 승점 차가 (남은 맵 수 × 6) 이상이면 이 후 라운드를 모두 3위로 턱걸이 합격해도 컵 우승이 확정된다.
브론즈, 실버, 골드 컵은 총 4개의 트랙이 있으며 플래티넘만 5개의 트랙이 있다. 컵마다 나오는 차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재미를 위한다면 그 티어에 맞는 차량을 고르도록 하자.
7.2.1. 브론즈 컵
* 맵 진행 순서: Toys in the Hood 1(3바퀴) - Supermarket 2(4바퀴) - Museum 2(3바퀴) - Botanical Garden(5바퀴)
가장 기초적인 대회라고 볼 수 있다. 난이도는 쉬운 편이나, 비슷비슷한 루키 차량들로 어렵지 않은 트랙을 달리기 때문에 순간의 실수로 상위권에서 바로 하위권으로 내려가기 쉬워서 주의해야 한다. 이 점은 Botanical Garden에서 가장 크게 느껴지며, 경사로 구간에서 아이템 한번 잘못 걸렸다가 막혀서 추월당하는 경우가 잦다.
브론즈 컵에서 등장하는 AI 차량은 모두 루키 등급에 있는 8가지 기본 차량이며, 주로 Volken Turbo와 Dr.Grudge와 Harvester가 우월한 인공지능으로 상위권을 도맡기 때문에 견제를 잘해야 한다. 그리고 항상 하위권을 맴도는 차량은 Phat Slug, Sprinter XL이다. 다만 가끔 운이 좋아 상위권을 찍고 단상에 올라올 때도 있다. Sprinter XL의 경우는 성능은 좋은데 왜 하위권일까라는 의문이 있는데 막상 보면 차가 가볍고 몸빵이 너무 안좋아 공격 내성에 매우 취약하며, AI가 강한 핸들링을 버티지 못해 좀만 지형이 복잡해도 혼자 여기저기 박으며 알아서 자멸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특히 Supermarket 2의 냉동 창고에서는 심각하게 헤매는 등 승점 자판기가 된다.
드림캐스트 버전에서 추가된 Bigvolt의 경우 평범하게 중상위권을 차지한다.
7.2.2. 실버 컵
* 맵 진행 순서: Toy World 1(6바퀴) - Toys in the Hood 1(미러 버전, 4바퀴)[12]Rooftops 4바퀴.] - Ghost Town(4바퀴) - Toy World 2(4바퀴)
약간 난이도가 생긴 챔피언십이지만 Ghost Town 1을 제외하면 그나마 할만한 편이다. 여기서 등장하는 AI 차량은 아마추어 등급 차량 4대 + 어드밴스드 등급 차량 3대가 랜덤으로 뽑혀 등장한다.
상대 AI의 경우는 아마추어급 대장 Aquasonic과 어드밴스급 대장 Bertha Ballistics가 에이스이며, 특히 Bertha Ballistics가 상대로 등장할 경우 성능과 인공지능이 좋아 플레이어를 제외한다면 거의 1등을 하기 때문에 견제를 잘해야 한다. 물론 랜덤으로 둘 다 등장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거의 둘 중에 한 대는 등장하니 잘 견제하도록 하자.
다만 어쩌면 실버 컵이 브론즈 컵보다 쉬울 수도 있는데, 실버 컵의 등장 차량들이 브론즈 컵 등장 차량들보다 대개 인공지능 상태가 너무 안좋기 때문. 심지어 Aquasonic조차도 혼자 커브를 잘못 꺾고 쉬운 코스에서 뜬금없이 벽에 들이받는 이상한 뻘짓을 자주 하여 하위권을 차지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Evil Weasel의 경우 실버 컵에서는 상위권을 차지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주로 승점 자판기가 되는 차량은 Candy Pebbles, Genghis Kar이다. Candy Pebbles의 경우 스펙은 괜찮은데 이상하게 하위권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반면, Genghis Kar는 불안한 성능 때문에 AI가 제대로 조종을 못하는 케이스이다.
드림캐스트 버전에 추가된 콘솔 전용 차량들의 경우 대개 성능이 무난하고 AI도 특별히 모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승점을 엎치락뒤치락 가져가는 편이다.
7.2.3. 골드 컵
- 맵 진행 순서: Toys in the Hood 2(5바퀴) - Toy World 1(미러 버전, 8바퀴)[13]Rooftops의 미러 버전 5바퀴.] - Toytanic 1(5바퀴) - Museum 1(5바퀴)
본격적으로 난이도가 제대로 상승하는 챔피언십. 트랙마다 바퀴 수도 많아지며 클리어 시간이 오래 걸리기 시작한다. 골드 컵에서 등장하는 AI 차량은 어드밴스드 등급 차량 4대 + 세미프로 등급 차량 3대이다.
AI 차량들 중 Adeon이 우수한 성능 + 매우 좋은 AI를 탑재해 골드 컵에선 항상 최상위권이며, Zipper 역시 AI가 뛰어난데다 최고속도까지 높아서 한번 선두를 내주면 Adeon보다도 따라잡기 더 힘들 때가 있다. 특히 Zipper의 경우 리볼트 전체에서 가장 어려운 맵으로 손꼽히는 Museum 1에서 이상하리만큼 강세를 보인다. 실버 컵에서 대장 역할을 맡았던 Bertha Ballistics는 골드 컵에서도 여전히 강세를 보이며, 맵이 복잡한 만큼 특유의 안정성과 높은 무게가 더욱 빛을 발한다. 또한 랜덤으로 이들을 다 안 나오게 하는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은 이 3대장 차량들과 경쟁하거나 1~2대랑은 무조건 경쟁해야 한다.
그 이외의 차량 중 어드밴스드 등급인 Evil Weasel 역시 3~5위 정도 수준이기 때문에 약간의 주의는 필요하다. 나머지 차량들은 처절하게 양학을 당한다. 물론 여기까지 기술한 건 초보자의 입장에서 서술한 것이며 플레이어가 실력이 있다면 맵이 어려운 탓에 브론즈, 실버 컵이랑 달리 엄청난 격차를 낼 수 있다. 반면에 승점 자판기 역할을 하는 차량은 세미프로 등급 Pest control, Pole Poz, 어드밴스드 등급 Panga TC, NY54이다.
드림캐스트 버전에 추가된 콘솔 전용 차량들의 경우 에이스 Adeon의 개조 차량인 JG-7이 상당한 강세를 보이지만, RV Loco는 그 괴악한 성능 때문에 꼴찌를 도맡아 한다.
7.2.4. 플래티넘 컵
* 맵 진행 순서: Supermarket 1(6바퀴) - Ghost Town 2(6바퀴) - Toy World 1(미러+리버스, 10바퀴)[14]Rooftops 미러 + 리버스 버전 10바퀴.] - Museum 1(미러 버전, 6바퀴) - Toytanic 2(6바퀴)
본 게임의 최종 컵으로, 정말 어렵고 경쟁 차량 또한 좋은 차량들이어서 매우 치열하다. 트랙은 다른 컵들과 다르게 5가지가 있으며 Toy World 1을 제외하고 모두 난이도가 있다. 또한 Toy World 1은 혼자 10바퀴를 자랑해 지루함을 더한다. 대신 맵이 쉽고 AI가 은근 혼자 뻘짓을 하는 트랙이라 다른 트랙들보다 10점을 따기 쉽다. 하지만 네 번째 트랙인 Museum 1이 무려 미러 버전으로 등장하여 플레이어를 굉장히 혼란스럽게 만들 것이다. 최종 트랙인 Toytanic 2는 사실상 속도전이라 프로 등급의 차량이 아니라면 속도 싸움에서 매우 불리하기 때문에 아이템을 시기에 따라 적절히 써야 한다. AI 차량은 플레이어를 제외한 어드밴스드 등급 차량 1대 + 세미프로 등급 차량 3대 + 프로 등급 차량 3대로 편성되어 등장한다.
AI 차량 중 에이스는 당연 Humma이며 타 AI나 플레이어의 방해 등의 변수가 없다면 실수를 아예 하지도 않아 어느 맵에서도 무조건 1등에 가깝게 한다. 이렇게 본다면 Humma는 무적의 난적처럼 보이겠지만, 가끔 AI가 꼬여 혼자서 독보적으로 꼴등을 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차에서 뿜어져 나오는 포스와 대부분의 실적을 본다면 어떻게든 이 차의 등장을 틀어막는 편이 마음 편하겠지만. 또한 Toyeca 역시 인공지능만 봤을 때 Humma나 Adeon에 비해 약간 딸리지만, 차량 성능도 커버되고 인공지능 또한 무난한 편이라 역시 최상위권을 경쟁한다. Cougar 역시 중상위권이나 커브력 문제로 곡선맵에서는 약세인 대신 마찰력이 정말 좋고 최고 속도가 매우 빨라 비포장 도로 계열 맵인 Ghost Town 2에서 극강의 모습을 보이고 직선 계열인 Toytanic 2에서도 강세를 보인다. 세미프로급 차량 역시 등장해서 플레이어가 여기서 차를 해금하지 않고 순서대로 진행했다면 Adeon을 선택하면 되지만, 경쟁차로 이 녀석이 등장한다면 인공지능이 Toyeca보다 좋아 상위권에서 경쟁한다. Zipper는 좋은 성능에 비해 인공지능이 딸려 프로급에 밀려서 중위권을 쳐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앞서 언급했듯 Museum 1에서는 상당한 강세를 보인다. Bertha Ballistics의 경우 어드밴스드 등급 차량이면서 인공지능이 좋아 플래티넘에서도 중위권 이상을 무난히 차지하며 최상위권도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스피드 싸움 맵이 아닌 곡선 계열 맵에서 강세를 보인다. 반면 프로급 차량인 AMW는 인공지능이 나쁜 편이라 중하위권이나, Toytanic 2에서는 꽤나 강적으로 돌변한다.
AI 차량은 랜덤으로 배정되기 때문에 대개 이들 중 하나, 둘은 빠져서 나오는게 보통이지만 재수 없다면 종종 Humma, Toyeca, Cougar, Adeon, Zipper, Bertha Ballistics 전원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헬게이트가 열리니 주의하자. 다만 이때 플레이어가 점수 격차를 조금만 벌려도 컴퓨터들끼리 개싸움을 벌여 손쉽게 합산 점수 1등을 쟁취할 수도 있다. 그 외의 AI 차량들은 항상 양학을 당한다. 그렇다고 프로급 차량을 빼기 위해 계속 재시작하지는 않는 게 낫다. 왜냐하면 Humma와 Toyeca 둘 다 안 나오는 경우는 아예 없기 때문이다.
AI 실력 순서는 보통 Humma>>Toyeca=Adeon>Cougar>Zipper=Bertha Ballistics>>AMW>Evil Weasel 순이고, 나머지 차량은 크게 신경 쓸 것도 없다. 나머지 등장 차량 중 세미프로급인 Pest control은 Supermarket 1에서만 가끔 3~5위권에 진입하지만 대부분 모든 맵에서 꼴찌 1순위 차량이며 또 다른 세미프로급인 Pole Poz 역시 커브가 심각하게 구려 직선 맵인 Toytanic 2 이외에는 전혀 힘을 못 쓴다. 만약 플레이어가 초보자이면서 차량 해금을 순서대로 진행해 세미프로 중 가장 좋은 Adeon이나 Zipper로 선택한다면 프로 등급 차량 4대 중 하나는 무조건 안 나오기 때문에 Humma를 봉인시켜 난이도를 대폭 하향시킬 수 있다. 아니면 Toyeca를 빠르게 뽑아서 참가할 수도 있는데, 우선 싱글 레이스에서 플래티넘 컵에 해당하는 맵들에서 1등을 따놓고, 이때 해금되는 Panga 차량을 꺼내서 연습 모드의 별을 모으는 것이다. 번거롭기는 해도 Toyeca를 미리 해금할 수 있다면 플래티넘 컵도 그렇게 두렵지 않을 것이다. 드림캐스트 버전의 경우, 타임 트라이얼을 통해 Purp XL이나 SNW 35도 플래티넘 컵 이전에 딸 수 있으니 참고.
드림캐스트 버전에 추가된 콘솔 전용 차량들의 경우 단연 SNW 35가 최상위권을 거의 독차지하며, Purp XL 또한 Toyeca의 개조 차량답게 강세를 보인다. 하지만 Fulon X는 꼴찌를 하지 않는 게 이상할 정도로 처참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7.3. 멀티플레이
- 싱글 레이스
- 배틀 태그
멀티플레이에만 있는 게임 모드로 일종의 술래잡기라고 보면 된다. 레이싱 코스가 아닌 기존 트랙을 적당히 조합한 사각의 공간 안에서 별을 먼저 찾아 먹고, 그 별을 얼마 이상 가지고 있으면 승리자가 되는 방식의 게임이다. 이때 다른 유저가 별을 먹은 유저에게 근접하면 그 근접한 자에게 별이 옮겨가기 때문에, 게임의 양상은 별을 먹은 사람은 끊임없이 도망치고, 나머지는 끊임없이 추격하는 양상이 된다. 이 배틀 태그에서는 리포지션 기능이 백플립[15]으로 바뀌는데, 이게 재빨리 입력하면 2연속 플립이 되면서 비거리가 엄청 늘어나게 되고, Toys in the hood 맵의 나무담장 정도는 가뿐하게 넘을 정도가 되어서 고수들은 주행 중 상시로 벽을 넘나드는 마법 같은 게임을 펼치기도 한다.
7.4. 타임 트라이얼
일정 시간 내에 트랙을 돌아야 하는 챌린지 모드. 만약 자신의 앞선 기록이 있다면 그 기록된 차량이 반투명한 유령 차량으로 등장하여 먼저 주행을 한다. 생각보다 챌린지 타임이 빡빡하기 때문에 만만하게 봐서는 안 되는 모드이기도 하다. 특히 Museum 1처럼 길이 복잡하고 박을 곳이 많은 트랙은 시간이 넉넉해도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싱글 플레이 기준 리버스/미러 코스를 뚫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 이 타임 트라이얼의 챌린지 타임을 클리어하는 것으로, 이식판 한정으로 콘솔 전용 차량을 해금하는 데도 필요한 게임 모드이다.
7.5. 연습 모드
말 그대로 혼자서 트랙을 돌며 연습을 해보는 모드이다. 또한 트랙마다 숨겨진 별을 먹어서 새로운 차량을 해금할 수도 있다.7.6. 스턴트 아레나
360도 회전 코스나 스케이트보드장 등 각종 스턴트 주행을 해볼 수 있는 모드이며, 이 트랙 곳곳에 포진하고 있는 별 20개를 모두 획득하면 후술할 태엽차 폭주 모드를 해금할 수 있다. 다만 별들이 죄다 먹기 상당히 힘든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꽤 고전할 수 있다. 보통 Panga나 콘솔 차량인 SNW 35으로 모두 해치울 수 있긴 하다.
닌텐도 64버전에선 그냥 파고들기 용도를 제외하면 보상따윈 없다.
7.7. 태엽차 폭주
위의 스턴트 아레나에서 별 20개를 모두 획득 시 해금되는 모드이다. 태엽으로 돌아가는 차량인 Clockwork가 30대[16] 출전하는 레이스로, 차체 자체가 가볍고 빠르기 때문에 아이템 영향에도 매우 취약하고 조종도 꽤나 애먹는데, 이건 AI도 똑같기 때문에 레이스가 아닌 개판 5분 전 상황을 즐길 수 있는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이 Clockwork의 차량 폴더 이름은 wincar4인데, 이를 이용해서 다른 차량 폴더 이름을 wincar4로 수정하면 그 차량이 이 태엽차 폭주 모드에 사용된다.
여담으로 AI들의 이름 중 일부는 제작진의 별명인 것으로 보인다.[17]
8. 차량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볼트/등장 차량#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볼트/등장 차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아이템
단순히 달리는 것 외에도 아이템을 이용하여 공격 및 방어가 가능하다. 아이템은 번개 모양을 하고 있고 먹으면 아래의 것들 중 하나를 랜덤으로 얻는다. 아이템 슬롯은 단 하나뿐이다.리볼트에서 아이템은 Pickup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아이템의 원문 명칭은 미발매된 엑스박스판과 리볼트 위키의 명칭을 따른다.
9.1. 폭탄(Bomb)
걸리면 얄짤없이 자동으로 발동된다.[18] 한마디로 함정카드. 폭탄에 걸리면 자신의 차량이 검은색으로 변하고 말 그대로 달리는 시한폭탄이 된다. 안테나 부분이 심지가 되어 타들어가다가 심지가 다 타들어가면 차에 주황색 빛이 일렁거리다 폭발한다.[19] 다른 차량과 부딪히면 폭탄이 그 차량에게로 옮겨가는데, 시간은 그대로라서 늦게 전달 받을수록 위험하다.[20]
다만 이렇게 무시무시해보여도 위력은 그냥 폭죽보다 조금 더한 정도일 뿐이라 적절한 컨트롤을 통해 피해를 줄이거나 안 뒤집힐 수도 있다. 참고로 폭탄이 발동된 상태에서 또 폭탄이 걸려도 중첩되지 않으며, 후술할 부비트랩을 밟아 폭발해도 해제된다. 이를 이용해 폭탄이 걸린 상태에서 주변에 옮겨붙을 적이 없을 때 최후의 수단으로 직선 구간이나 개활지에 설치된 부비트랩을 고의로 들이받아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도 있다.
AI는 이 폭탄에 걸리면 옆 차량에게로 돌진한다. 정확히는 다른 차량이 옆에 오면 그쪽으로 방향을 휙 트는 움직임을 보인다. 앞이나 뒷차량에게는 반응하지 않는다. 그래서 폭탄이 걸린 AI차량 옆에서 잘 알짱거리면 AI가 알아서 벽에 박게 할 수 있다. AI가 이렇게 반응하는 단계는 심지가 타들어갈 때부터 폭발한 뒤 마지막에 연기가 풀풀 나는 순간까지다(사실상 끝까지).
AI는 이 폭탄에 걸리면 옆 차량에게로 돌진한다. 정확히는 다른 차량이 옆에 오면 그쪽으로 방향을 휙 트는 움직임을 보인다. 앞이나 뒷차량에게는 반응하지 않는다. 그래서 폭탄이 걸린 AI차량 옆에서 잘 알짱거리면 AI가 알아서 벽에 박게 할 수 있다. AI가 이렇게 반응하는 단계는 심지가 타들어갈 때부터 폭발한 뒤 마지막에 연기가 풀풀 나는 순간까지다(사실상 끝까지).
9.2. 물풍선(Water Ballon)
논타겟팅에 3발까지 날리는 게 가능하며 넓은 범위에 충격을 준다. 발사자도 맞을 수 있으니 너무 가까운 상대 차량을 조준할 때 주의. 위력은 좋지만[21] 폭죽처럼 타겟팅 표시가 없어서 대략 10미터 이상 거리에서는 불발인 경우가 태반이니 주의할 것. 비스듬하게 벽에 맞추면 굴절하여 날아가기도 한다. 여담으로 물속에서 이 아이템을 쓰면 그냥 둥둥 떠있다. 물론 가까이서 건드리면 터진다.
9.3. 전기 충격(Electro Pulse)
차량에 푸른빛 전기가 흐르며 가까운 거리의 차량을 감전시켜 가속 및 조작을 잠시 멈추게 한다. 어두운 곳에서 쓰면 라이트 효과가 일어난다. 건전지랑 함께 쓴다면 금상첨화. 일단 전기충격을 받은 차는 몇 초 간 내성이 생겨서 전기 충격을 바로 다시 주더라도 곧바로 멈추지는 않는다. 후방에서 추월을 시도하는 적들을 제압할 때나 전방의 적을 추월할 때 모두 유용한 강력한 아이템이다.
AI는 전기 충격을 당한 동안은 아이템을 쓰지 못한다. 그래서 AI가 폭죽같은 강한 무기를 지니고 있었더라도 쉽게 따돌릴 수 있다.
AI는 전기 충격을 당한 동안은 아이템을 쓰지 못한다. 그래서 AI가 폭죽같은 강한 무기를 지니고 있었더라도 쉽게 따돌릴 수 있다.
9.4. 기름(Oil Slick)
차 뒤쪽 바닥으로 검은 액체를 뿌린다. 이걸 밟으면 그냥 미끄러지는 것이 아니라 바퀴의 마찰력 자체를 줄여서 가속 또한 어려워지므로 커브길뿐만 아니라 오르막길에서 써도 매우 효과적이다. 차량과 맵에 따라 아예 언덕을 못 오르게 할 수도 있다. 커브길 및 경사로 진입부, 슈퍼마켓 2의 냉동창고처럼 미끄러운 곳, 그리고 좁은 통로 등에 쓰면 효과적이나 이는 AI도 알고 있어 이런 짜증나는 배치를 자주 보게 될 것이다. 특히 Toy world 1에서의 높고 좁은 길, 피아노 구간에 하나씩 깔고 지나가기에 밟고 경로를 이탈하기 매우 쉽다. 판정이 각 바퀴마다 들어가기 때문에 일부분만 밟으면 차가 홱 돌아버려서 오히려 더 치명적일 수 있다. 사용하고 가만히 있으면 본인에게도 피해가 가니 주의할 것. 깔아둔 기름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며, 바퀴에 묻은 기름은 지면과 일정 거리 마찰하면 지워진다.[22]
AI는 항상 정해진 길로만 다니기 때문에,[23] AI가 트랙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고 있다면 알맞은 곳에 잘 뿌릴 수 있다.
AI는 항상 정해진 길로만 다니기 때문에,[23] AI가 트랙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고 있다면 알맞은 곳에 잘 뿌릴 수 있다.
9.5. 쇠공(Ball Bearing)
차의 뒷부분에서 차보다 더 큰 쇠공이 풍선처럼 부풀어오르며 튀어나온다. 터널처럼 좁은 곳에서 쓰면 유용하며, 후방카메라를 보면서 뒤에서 추월하려는 적에게 쏴맞춰서 추격을 뿌리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무게가 상당해서 제대로 맞추면 상대는 급정지할 수밖에 없다. 설치자의 차량 속도를 전달받으므로 몇몇 코스에서는 미리 깔아둬야 길목에 제대로 안착시킬 수 있다. 굴러가는 아이템의 특성상 기름이나 부비트랩과는 달리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어려운데다가 조금이라도 넓은 필드에서는 효용성이 거의 없어 그냥 대충 써버리고 새 아이템을 얻는 편이 낫기 때문에 유저들에게는 폭탄 다음가는 꽝 취급을 받는다. 기름처럼 시간이 지나면 쪼그라들며 사라진다.
9.6. 건전지(Turbo Battery)
차가 주황색으로 빛나며 최고 속도와 가속력이 매우 빨라진다. 즉 흔히 말하는 '부스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너무 빨라져서 코너를 돌 때 거리 계산을 잘해야 하며, 차량에 따라서 건전지 사용 후 코너링 시 그대로 뒤집히는 차량도 있다. 또한 기본 차량에 비해 능력치가 높고 각종 수치가 정밀하게 설정되어 있는 유저 커스텀 차량에서는 오히려 코너링과 접지력을 떨어트리는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마냥 좋지만은 않다. 참고로 전기 충격에 당했을 때 건전지를 사용하면 감전 상태를 지워버리는 숨겨진 능력이 있다. 하지만 상태를 지워버림과 동시에 건전지도 소모되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좋다.[24] 치트를 이용해 중복적으로 여러 개 사용하면 그만큼 빨라진다
AI는 전기 충격을 받은 동안은 아이템을 쓰지 못하기 때문에, 건전지를 갖고 있었더라도 숨겨진 능력을 쓰지 못한다.
AI는 전기 충격을 받은 동안은 아이템을 쓰지 못하기 때문에, 건전지를 갖고 있었더라도 숨겨진 능력을 쓰지 못한다.
9.7. 부비트랩(Clone Pickup)
소위 가짜 아이템박스. 이 아이템을 쓰면 번개 모양 아이템과 똑같은 모습의 트랩이 나오는데, 설치된 이 트랩을 차량이 먹을 시 그 자리에서 폭발한다. 맵을 숙지해서 아이템 위치를 기억해두면 피할 수 있다. 효과적인 사용 방법으로는 바로 뒤에 다른 차량이 있을 때 쓰거나 아이템이 리스폰되는 지역에 겹치게 놓거나[25] 하면 된다. 물론 그냥 좁은 통로에 놔두는 게 제일 좋다. 참고로 AI는 딱히 아이템을 먹으려들거나 하지 않고 항상 가는 길로만 가려 하기 때문에 이 점을 유의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9.8. 파동탄(Shockwave)
파동탄 구체를 전방에 발사해 파동탄 근처의 차량들을 죄다 뒤집어버린다. 사정거리와 위력이 상당하고 잠시 앞쪽의 길을 밝혀주기도 한다. 다만 파동탄 진행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피해를 주기 때문에 직선 코스에서 달리는 상대를 맞춰봐야 공중에서 돌다가 다시 제자리로 착지 할 수 있으며[26] 제대로 쓰려면 측면이나 커브를 돌고 있는 상대를 공략해야 한다. 사정거리가 상당히 길고[27] 어느 정도 각도의 벽이라면 벽을 따라 굴절되기까지 하지만, 각도가 없을 시엔 그냥 바로 사라져버린다. 가끔 당구공마냥 반사되어서 자신에게 돌아오는 경우가 있는데, 다행히도 자기자신에게는 효과가 전혀 없으므로 안심해도 된다.
파동탄은 쓰는 차량의 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를 가진다. 플레이어가 충분히 빠른 속도로 달리고 있을 때 사용하면 쏘자마자 뒤로 처진다. 부딪쳐도 없어지지 않을 정도로 적절하게 꺾인 각도의 벽을 만나면 그 각도만큼 속력이 줄어든다. 아주 가끔 비좁고 복잡한 맵 등에서는 벽에 여러번 부딪혀서 거의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파동탄도 볼 수 있다. 금방 사라지기 때문에 거의 멈춘 파동탄은 정말, 매우 보기 힘들다.
9.9. 폭죽(Firework)
발사하기 전 대상 차량에 타겟팅 표시가 뜨는데 녹색 타겟팅 표시가 플레이어가 조준하는 표시이다. 빨간 타겟팅 표시는 AI 또는 상대방 유저가 조준하는 타겟팅 표시다. 발사 시 무조건 명중하지는 않으며 어느 정도 유도되면서 날아가는 것일 뿐이라 조준하기는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직선길보다 커브길, 고저차가 심한 길에서 빗맞을 확률이 높아 위치 선정을 잘해야 하며,[28] 스플래시 데미지가 있어 뭉쳐있는 상대에게 쏘면 여러대에게 효과를 줄 수 있다. 그만큼 발사자도 자기 폭죽에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20미터 밖의 거리에서는 보통 타겟팅 표시가 생기지 않지만 직선 코스의 경우 20미터 밖의 거리에서 감으로도 맞추는 것이 가능하긴 하다. 물론 시야에 차가 보이는 정도에 한해서다.
9.10. 폭죽다발(Fireworks)
위의 폭죽을 3개 얻는다. 물풍선처럼 연사가 가능하며 아이템을 얻는다고 재충전되거나 하지는 않는다. 아이템획득 후 배열 순서상 이 다음 아이템이 폭탄이기 때문에 폭죽다발인 줄 알았는데 폭탄이 걸려서 피눈물을 흘린 유저들이 한둘이 아닐 것이다.
폭죽은 파동탄과 달리 쓰는 차량의 속도에 영향 받는다. 만일 플레이어가 충분히 빠른 속도로 후진하고 있하 때 사용하면 폭죽이 문워크를 하게 된다.
9.11. 별(Global Pulse)
인게임 최강의 아이템이며, 레어템답게 능력도 사기다. 아이템 사용자를 제외한 전 차량에 효과를 미치며, 위에서 말한 전기 충격의 효과를 모든 상대 차량들에게 즉각 발생시킨다. 발동시 번개가 치는 사운드와 함께 파란 점멸 이펙트가 발생한다. 레이싱 하위권 순위로 달릴 때 아이템 획득시 낮은 확률로 출현하며,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면 아예 나오지 않는다. 또한 AI는 이 아이템을 획득하거나 사용할 수 없다. 맵마다 특정 위치에 무조건 이 아이템을 습득할 수 있는 별 모양 아이템이 있다.[29][30] 스턴트 모드와 연습 모드에서는 별을 모으는 것이 목표로서, 스턴트 모드에서 모든 별을 먹으면 태엽 차량 물량 레이스 모드인 "Clockwork Carnage"[31]를 열 수 있고, 각 코스의 연습 모드에서 별을 습득하면 일부 차량들을 해금할 수 있다. 참고로 토이타닉 1 트랙을 선택하면 유저에게 별이 주어진 채로 시작하는 버그가 있었다.[32]
10. 트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볼트/트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볼트/트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치트키(PC판)
플레이어의 닉네임을 쓰는 곳에서 각종 치트키를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치트키가 성공하면 뿌.뿌.뿌.뿌. 하는 나팔경적 소리가 들리며, 모든 치트키는 게임을 재시작하면 리셋되어 있다.CARNIVAL - 모든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TRACKER - 모든 트랙을 고를 수 있다.
SADIST - 아이템이 없어도 오른쪽 Shift키를 눌러 아이템을 고를 수 있다. 맵 기믹인 비치볼 또한 고를 수도 있다(…)[33]
CHANGELING - 레이스 중에 Page UP, Page Down 키를 이용하여 차량 교체를 할 수 있다.
TVTIME - F5, F6 키로 카메라 시점을 전환할 수 있다.
DRINKME - 모든 차들을 미니카 사이즈로 축소시킨다.
MAKEITGOOD - Edit 모드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URCO - Probe UFO 선택이 가능해진다.
JOKER - 상대방 차량들을 전부 같은 차량으로 변경시킨다.
12. 관련 커뮤니티 • 동영상 채널 • 사이트
- 사이트
- Re-volt zone: 리볼트 애드온 자료실. 업로드 기준이 있어[34] 너무 저품질인 애드온은 찾기 힘들다.
- Re-volt I/O: 컨텐츠 제공, 멀티플레이 기록 사이트. 아래의 디스코드 서버에 수록 신청을 할 수 있다. 비정기적으로 RVIO에서 신청된 컨텐츠를 심사 후 팩에 수록한다.
- 동영상 채널
- PAPERMAN RV[35]: 구독자 1만명대로 리볼트 채널 중 가장 큰 쪽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채널. 차량 애드온 제작자로 자작 차량이나 다른 사람이 만든 차량을 리뷰하기도 한다.
- 커뮤니티
- 리볼트 매니아들의 카페: 국내 유일의 리볼트 카페. 요즘은 아래 디스코드 서버에 밀려 활동이 적다.
- 디스코드AsiaReVolt: 한국 유저가 만든 동아시아 담당 디스코드 서버. 실제RC카도 다룬다. 한국인 유저들 뿐만 아니라, 아래 서버에서 넘어온 외국인도 많다. [디스코드서버]
- Re-Volt[디스코드서버]: Revolt-I/O 공식 디스코드 서버. 이곳에서 I/O 팩 수록 투표를 할 수 있다.
13. 유저 컨텐츠 제작 방법
차량과 맵을 직접 만드는 방법을 안내하는 문서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유저 컨텐츠 제작 방법을 참고.14. 기타
싱글 모드에서 자신이 1등이 아니라면 AI 차량이 유저보다 항상 느리게 달리기 때문에 따라잡을 수 있다.[38] 그러나 유저가 1등이라면 나머지 AI 차량이 유저와 거리가 바짝 붙을 때까지 유저보다 약간 더 빨리 달리기 때문에(유저의 최고 속도보다 더 빠르다.) 단순한 트랙이라면 2등과 거리차를 벌리기 쉽지 않다. 2등과 거리차를 크게 벌려서 이기고 싶다면 쉬운 트랙보다 어려운 트랙을 선택하여 플레이하자.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시대를 생각하면 놀라울 정도의 최적화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AA 지원에 고해상도 지원에 적절한 광원 반사 효과와 상당한 물리 엔진까지 선보이고 있다.그래서 당시 리볼트를 즐겼던 이들이 옛추억에 다시 리볼트를 플레이해보고 놀라는 경우가 많다. CONSOLE 모드까지는 차량 모양에 관계없이 박스에 부딪치는듯한 모습이지만 SIMULATION 모드에서는 바퀴가 드러난 차량들은 서로 바퀴끼리 뒤엉키기까지 한다. 다만 바퀴가 회전하는건 물리엔진에 반영이 안 되는 모양. 앞차의 바퀴가 크고 뒷차의 바퀴가 작을 때, 뒷차의 바퀴가 앞차의 바퀴를 밀어붙이면 두 대 모두 달리고 있는 상태인데도 뒷차가 앞차 밑으로 파고들어간다. 뒷차의 바퀴가 앞 차 바퀴를 타고 올라가야 정상.
사람이 타는 차량이 아닌 소형 RC카를 이용한 게임이라서 기존의 레이싱 게임과는 또 다른 재미가 있고 네트워크 플레이도 지원해서 나름대로 꽤 히트쳤다. 레이싱 배경은 현실의 집, 박물관, 가게, 배, 거리, 식물원 등등으로 상당히 익숙한 풍경이지만 바닥에 바짝 붙어서 달리는 RC카의 위치에서 세상을 바라보게 되면서 모든것이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온다. 소형 RC카를 조종한다는 컨셉에 걸맞게 평상시엔 별 방해가 되지 않을 농구공, 나무 판자나 평상시에 타고 다니는 진짜 자동차들이 모두 장애물이 되어버린다. 트랙을 미러 모드(좌우반전) 혹은 리버스 모드(역주행)로도 달려볼 수 있다. 두 개를 동시에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 정방향에서는 점프 구간 등으로 인해 되돌아갈 수 없는 길이 꽤 있는데, 카트라이더처럼 기존의 트랙을 뜯어고쳐서 리버스 트랙을 만들지 않고 애초에 그런 길을 모두 우회할 수 있는 길을 고려하여 설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발매시기가 영 좋지 않아 와레즈의 희생양이 되어 큰 피해를 본 게임 중 하나로 유명하다. 때문에 특정 연령대에서는 거의 모두가 이 게임을 해봤거나 알고 있다. 립버전이라 불리는 이것저것 다 빼버린 파일이 50MB라는 착한 용량이었기 정말 와레즈라 이름 붙은 곳에는 이 게임이 필수요소 수준으로 등록되어 있었을 정도. 그래서 중고등학교 컴퓨터실에 흔하게 깔려있는 게임이기도 했다. 물론 CD 버전에 포함되어 있는 흥겨운 BGM이 빠졌다보니 다소 밋밋한 감이 크며 CD 버전에 비해서도 은근히 AI 성능이 떨어져있다.
BBQ치킨에서 순살 크래커 치킨을 첫 출시했을 때 사은품으로 줬던 CD 게임이기도 하다.
넥슨 카트라이더가 이 게임을 표절했다는 혹자의 주장도 있었다.[39] 하지만 표절이라기보다는 모티브에 가깝다고 봐야 한다.
인터넷을 뒤지다보면 타인이 새로 제작한 차량과 트랙도 게임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말도 안되는 슈퍼카 또한 많아서 그런 걸 멀티에서 쓰면 욕을 먹는다. 마찰, 관성 공기저항 같은 부분도 차량에 귀속되어 있기 때문에, 관성이고 나발이고 개무시하고 100km/h로 달리면서 90도 턴이 되는 괴물차가 부지기수. 사실 이것은 cars 폴더의 차의 parameters의 능력치만 바꿔주면 될 정도로 쉽게 조작이 가능하다.
이 문제는 RVGL 버전에서 해결되었다. RVGL에서는 차량parameters.txt을 조작했을 경우 CHT로 표시되며, 차량과 맵을 조작한 사람의 접속을 차단하는 치트방지 기능이 추가되었다. 그 외에도 인터넷에는 개인이 제작한 트랙도 많은데 대부분은 그냥 트랙 에디터를 적절히 짜깁기한 수준이지만 원작초월급 퀄리티를 보여주는 트랙도 많으니 기회가 된다면 찾아보는 것도 좋다.
유럽인 유저의 비중이 높다. 그 예로 Re-volt world에서 나라를 주제로 창작하는 콘테스트를 한 적이 있었는데 차량의 절반이 유럽 국가를 모티브로 했다.[40]
이러한 리볼트의 "일상 환경 속에서 RC카로 레이싱을 펼친다" 라는 감성의 게임은 리볼트가 유일하다시피했는데 25년 들어 이러한 리볼트의 감성을 계승하려는듯한 게임들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리차지'(Recharge)가 있으며 2025년 7월 29일 앞서 해보기 출시를 했다.#
[1] 봉기를 의미하는 영어단어.[2] 어클레임이 망한건 리볼트 때문만은 아니지만, 위고 인터랙티브가 망한 건 리볼트 IP를 활용한 무리한 사업 확장과 리볼트 2, 3의 악평 때문이 맞다.[3] 이쪽은 본가가 아닌 디지털 크리에이션 스튜디오에서 외주제작 하였다.[4] 데모 버전의 이름은 아예 리볼트 2이다.[5] 치트로만 나올 수 있는 차량이 있기 때문에 전차량을 보유하려면 울며 겨자먹기로 사야한다.[6] 트랙에디터로 만든 커스텀 트랙도 이 방법이 먹힌다. 다만 트랙마다 이 짓을 반복해야한다.[7] 플레이스테이션에 나온 12종에 Bigvolt와 Bossvolt 2종을 새로 추가했는데 둘다 성능이 영 좋지 않아 이 점은 혹평이다.[8] Toyeca, Phat Slug, Candy Pebbles[9] 47분짜리 BGM 일람 영상에서는 하나의 BGM 트랙이 누락되어 있다.[10] 다만 1.2 패치 이후로 타 모드에서도 가능해졌다.[11] 최종 등수는 1라운드 탈락은 8위, 1라운드는 통과했고 4~8위였다면 그대로, 포디엄 사수 중 게임 오버되었다면 4위.[12] 드림캐스트 버전의 경우[13] 드림캐스트 버전의 경우[14] 드림캐스트 버전의 경우[15] 차가 백덤블링을 한다.[16] 드림캐스트 및 모바일용은 20대.[17] 예를 들면 CT Baynes(Nick Baynes)나 Goombah(Joe Groombridge)가 있다.[18] 단, 치트키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발동되지 않는다.[19] 심지의 길이에 따른 차이는 없다.[20] 주황빛이 나타나는 순간부터는 남한테 옮길 수 없다.[21] 제대로 맞으면 차량이 공중으로 날아가버리기도 한다.[22] 따라서 기름을 밟았을 때 직선 주행만 하면 쉽사리 효과가 풀리지 않는다.[23] 이 길은 레이싱 중에는 볼 수 없고, MAKEITGOOD 치트를 키고 난 뒤 들어갈 수 있는 AI Nodes 에딧 모드에서 볼 수 있다.[24] 예를 들면 결승점이 멀지 않은 경우.[25] 상대가 AI면 모를까 사람이라면 정확하게 겹쳐놓치 않는 한 겹쳐진 티가 나니 쉽게 피해가지만, 그만큼 상대의 아이템 획득 기회를 한번 막아버리니 효과가 없진 않다. 가장 좋은 건 자기 앞에 가는 차가 아이템을 먹는 순간 그 빈 자리에 놔두는 것.[26] 물론 당하는 상대는 체공 시간만큼 속도가 줄어드니 완전 노리스크는 아니다.[27] 직선거리에서 제대로만 쏘면 40~50미터 정도 떨어진 차들도 맞출 수 있다.[28] 물론 커브길에서 명중에 성공하면 진로를 아예 틀어버리기 때문에 그만큼 효과도 좋다.[29] 판마다 1회만 획득가능하고, 한번 획득하면 시간이 지나도 리젠되지 않는다.[30] 특정 모드가 아닌 일반 레이싱은 어지간하면 그냥 안 먹고 가는게 더 낫다. 먹는 장소가 가기 어렵고 약간 더 시간이 걸리는 공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 AI도 이 아이템을 통해 별을 획득하는 것은 가능하기 때문에 간혹 엉뚱한 곳에서 헤매고 있는 하위권 AI가 이 별을 획득한 후 써버리는 경우도 존재한다.[31] 태엽차 총 30대가 경기를 벌이는 게임모드[32] 이 버그는 순정 PC판에서만 존재하며 1.10v 패치에서 해결되었다.[33] 기믹이라서 소환하면 없어지지 않는다.[34] 압축 파일을 양식에 맞추지 않으면 업로드 시도도 되지 않고, 리페인트 애드온의 경우 성능, 디자인 등의 변화가 너무 적으면 거절되며, 코로나 19의 영향인지 전염병 관련 소재를 사용해도 업로드 불가능하다.[35] 나무위키 유튜버 등재 기준을 만족하긴 하지만 아직 문서는 없다.[디스코드서버] 디스코드 서버들은 Revolt I/O 홈페이지에 링크가 있다.[디스코드서버] [38] 이전엔 태엽차 폭주 모드에서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여겨졌으나 현재는 실험으로 모든 싱글 모드에 해당되는 것으로 알려졌다.[39] 그 혹자왈, 카트라이더 = 마리오 카트 시리즈+리볼트+레고 레이서라고 한다. 카트라이더 문서 참조.[40] 아시아 3대(대한민국 2대, 일본) / 북아메리카 2대(미국, 멕시코) 남아메리카 1대 (아르헨티나) / 유럽 6대(스웨덴 2대, 영국, 노르웨이, 이탈리아, 러시아 or 도네츠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