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5 14:37:33

리볼트/등장 차량


1. 개요2. 루키
2.1. RC Bandit(RC 밴디트)2.2. Dust Mite(더스트 마이트)2.3. Phat Slug(팻 슬러그)2.4. Col. Moss(Colonel Moss)(커널 모스)2.5. Harvester(하비스터)2.6. Dr. Grudge(닥터 그루지)2.7. Volken Turbo(볼켄 터보)2.8. Sprinter XL(스프린터 XL)
3. 아마추어
3.1. RC San(RC 상)3.2. Candy Pebbles(캔디 페블스)3.3. Genghis Kar(징기스 카)3.4. Aquasonic(아쿠아소닉)3.5. Mouse(마우스)
4. 어드밴스드
4.1. Evil Weasel(이블 위즐)4.2. Panga TC(판가 투어링 카)4.3. R6 Turbo(R6 터보)4.4. NY 54(뉴욕54)4.5. Bertha Ballistics(벌사 발리스틱스)
5. 세미프로
5.1. Pest Control(페스트 컨트롤)5.2. Adeon(아데온)5.3. Pole Poz(폴 포즈)5.4. Zipper(지퍼)5.5. Rotor(로터)
6. 프로
6.1. Cougar(쿠거)6.2. Humma(휴마)6.3. Toyeca(토예카)6.4. AMW6.5. Panga(판가)
7. 드림캐스트PS1 전용
7.1. Bigvolt(빅볼트)7.2. Bossvolt(보스볼트)7.3. RC7.4. LA 547.5. Matra XL(마트라 XL)7.6. Shocker(쇼커)7.7. Splat(스플랫)7.8. Groovster(그루브스터)7.9. JG-77.10. RG17.11. RV Loco(RV 로코)7.12. SNW 357.13. Purp XL(퍼프 XL)7.14. Fulon X(퓰론 X)
8. 치트 전용
8.1. Trolley(트롤리)8.2. Clockwork(클락워크) 시리즈
8.2.1. Clockwork Wun(클락워크 원)8.2.2. Clockwork Too(클락워크 투)8.2.3. Clockwork Tree(클락워크 트리)8.2.4. Clockwork(클락워크)
8.3. Probe UFO(프로브 UFO)8.4. Mystery(미스터리)
9. 데모 버전 차량
9.1. Acclaim · CGW · IGN · PC Gamer9.2. Game Center · GameSpot · PC Accelerator · RIVA TNT29.3. MC RC

1. 개요

파일:RVCAR All_together.png

게임 리볼트에 등장하는 RC카 차량들에 대해서 서술하는 문서.

초반에는 루키급 차량 및 일부 트랙만 이용 가능하며 각 차마다 숨겨진 해금 조건들을 만족하면 하나하나 개방된다.

이 해금 조건들이란 것들을 보면,
  • 일반 레이스 모드에서 특정 그룹의 트랙에서 모두 1등을 할 것.(이 방법으로 해금하는 차들은 공통적으로 크고 무겁다.)
  • 챔피언십의 특정 컵에서 1등을 할 것.
  • 연습 모드에서 특정 그룹의 트랙에서 각 트랙마다 하나씩 숨겨진 별들을 모두 먹을 것.
  • (드림캐스트 한정) 타임 트라이얼의 특정 그룹 내 모든 트랙에서 챌린지 타임을 깰 것.[1]

즉, 모든 트랙에서 1등을 하고 모든 컵에서 다 우승, 그리고 모든 트랙의 모든 별을 먹으면 치트 차량을 제외한 모든 차들을 입수할 수 있는 것이다.

차량 등급은 루키 - 아마추어 - 어드밴스드 - 세미프로 - 프로 순으로 올라간다.

참고로 게임 내의 차량 선택 화면에서 보이는 스피드는 실제 최대 스피드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이 문서에서 나오는 RC카의 구동 방식은 1.2 패치 버전을 기준으로 했다. 정발판과의 차이점은 후륜구동과 전륜구동이 뒤바뀐 점이다.

2. 루키

루키 등급 차량들은 모두 처음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모두 전기 동력을 사용한다.

2.1. RC Bandit(RC 밴디트)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Rcbandit.jpg
구동: 4WD
동력: 전기
장난감 RC 하면 흔히 생각나는 외형을 한 차량. 의외로 이 게임에는 이렇게 버기카 형태를 한 차량이 이것과 Dust Mite, Evil Weasel 총 세 대 밖에 없다. 모든 등급과 견주어도 전체적인 능력치 밸런스가 가장 잘 잡혀 있으며, 데모에서 선택 가능한 차량 2종 중 하나이다.
개발 당시에는 Yakuza Pro EX라는 전혀 다른 이름과 데칼이었다. 디자이너는 James Wallace Duncan으로 후술할 Evil WeaselR6 Turbo 등의 디자인도 담당했다.

2.2. Dust Mite(더스트 마이트)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Dustmite.jpg
구동: 4WD
동력: 전기
본 문서 상단의 패키지 이미지에서 가장 크게 보이는 차량. 이름이 집먼지진드기이다. RC Bandit와는 달리 휠 베이스가 짧고 가속력이나 최고 속도가 조금 떨어지지만 조작하기 쉽고 안정성이 좋아 초보자용으로 가장 적합한 차량이다. 나름 이 게임에서 가장 메인으로 밀던 차량이며 한때 공식 홈페이지 마스코트이기도 했다. 개발 당시에는 전혀 다른 외형이었으며, 유저가 컨셉 아트 등을 참고하여 모델을 제작한 것이 있다. #

2.3. Phat Slug(팻 슬러그)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Phatslug.jpg
구동: RWD
동력: 전기
루키 등급에서 가장 무거운 차량. 게임 전체를 놓고 봐도 이것보다 무거운 차량은 Bertha BallisticsRotor밖에 없다.[2] 게다가 루키 등급 차량들 중에서 혼자만 유난히 크기가 크다. 뚱뚱한 외형과는 대조적으로 최고속도는 그런대로 우수한 편이다.[3] 하지만 가속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4] 직선 코스 위주의 맵이 아니라면 실제 플레이에서 이런 장점을 체감하기 힘들며 지나치게 탄성이 높은 서스펜션 세팅과 갑자기 홱 하고 틀어지는 핸들링 때문에 불안한 주행성을 자랑한다. 하지만 이렇게 노린 듯한 성능에 비해 AI가 괜찮아서 경쟁을 하면 하위권 담당이 아닌 게 의외이다.

2.4. Col. Moss(Colonel Moss)(커널 모스)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Colmoss.jpg
구동: 4WD
동력: 전기
괜찮은 가속력에 최고 속도가 루키 등급에서 제일 높은 차량이지만 핸들링 반응이 둔해서 곡선이 많은 트랙에서는 다루기 까다롭다. 때문에 곡선이 많고 까다로운 공략을 필요로 하는 리볼트 트랙의 특성상 경쟁에서 쉽게 우위를 점하진 못한다.

2.5. Harvester(하비스터)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Harvester.jpg
구동: 4WD
동력: 전기
이름처럼 마치 농장 트랙터처럼 생긴 차량. 인게임에서 최고 속도가 가장 낮지만 그 밖의 성능은 매우 우수하며 특히 서스펜션의 세팅이 절묘해서 우수한 가속력과 더불어 쫀득한 주행성을 자랑하며 지형의 고저차가 심한 트랙에서 진가를 발휘하는 차량이다. AI도 우수한 편. 하지만 가벼운 무게와 유난히 큰 바퀴 때문에 몸싸움에 말려들면 쉽게 밀려난다.

2.6. Dr. Grudge(닥터 그루지)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Drgrudge.jpg
구동: 4WD
동력: 전기
루키 등급에서 가장 많은 인기를 누렸던 차량. 단점을 찾을 수 없는 차량으로 최고 속도와 초반 가속력이 좋고 핸들링 능력도 우수하기 때문에 동급 차량들 중에서는 가장 뛰어난 차량으로 평가받으며 AI도 상당히 잘 다룬다. Dr. Grudge라는 이름도 그렇고[5] 앰뷸런스가 모티브라는 걸 생각하면 나름 오싹하다.

2.7. Volken Turbo(볼켄 터보)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Volken.jpg
구동: FWD
동력: 전기
Dr.Grudge에 비해 무게가 늘어난 대신 가속도, 스피드 등의 주요 스펙이 떨어진다. 하지만 그 덕분에 안정감은 보다 탁월하여 무난하게 다루기는 더 편하다. 밸런스가 잘 잡힌 스펙답게 AI 성능은 매우 우수한 덕분에 보통은 중상위권에 들어온다.

이름 중 Volken은 아마도 Volkswagen에서 따온 것으로 추측된다.

2.8. Sprinter XL(스프린터 XL)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Sprinter.jpg
구동: 4WD
동력: 전기
매우 높은 가속력을 가진 차량. 그 수치가 게임 내에서 무려 두 번째로 높으며 이는 Toyeca와 동급(3.16m/s2)의 수치다.[6] 여느 레이싱 게임이 그렇듯 리볼트에서도 이는 큰 장점이며 최고 속도도 스프린터 컨셉 치고는 준수하다. 다만 코너 공략 시 미끄러지는 경향이 심하여 핸들링이 매우 불안정하다. 이 때문에 Supermarket 2의 냉동 창고 구간에서 지옥을 맛볼 수 있다. 또한 무게도 겨우 0.9kg밖에 되지 않아 몸싸움은 무조건 밀리고 R6 Turbo에 이어서 두 번째로 가벼워서 벽에 부딪히거나 폭죽, 폭탄을 맞을 경우 다른 차량보다 후폭풍이 거세다. 이런 탓에 조종에 숙달되어 있지 않으면 애먹을 수 있지만 조종이 익숙하다면 이론상 루키 등급 차량 중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차량이다.

데모에서 선택 가능한 차량 2종 중 하나이다.
모티브는 마쓰다 MX-5 1세대 모델.

3. 아마추어

아마추어 등급부터는 위에서 말한 방법을 써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부터 엔진 동력을 사용하는 차량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3.1. RC San(RC 상[7])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Rcsan.jpg
구동: 4WD
동력: 전기
해금방법: 브론즈 컵 챔피언십을 클리어한다.
욱일기 문양이 그려진 차량. 이름부터가 RCさん이다. 참고로 차체에 그려진 일본어는 ウルトラ이다. 가속력은 게임 내에서 무려 3위로 매우 높은데 최고 속도는 아마추어 등급에서 꼴찌로, 루키 등급 차량들과 비교해도 좋지 않은 수준이다. 또한 아이템 공격 및 몸싸움에 매우 취약한 데다 핸들링 특성도 다소 민감한 편이니 주의를 할 필요가 있지만, 전체적인 밸런스가 매우 안정적이기 때문에 컨트롤이 쉬워서 아마추어 등급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편이다.

개발 당시에는 Dynamo San[8]이라는 이름에 데칼도 달랐다.

3.2. Candy Pebbles(캔디 페블스)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Candy.jpg
구동: RWD
동력: 전기
해금방법: 브론즈 컵 챔피언십을 클리어한다.
발랄한 핑크색 차량. 핸들링 성능이 매우 우수하고 가속력도 준수하며, 최고 속도는 아마추어 등급에서는 높은 편인 중상급 차량이다. 하지만 후륜구동 특성상 미끄러운 지형에서 쉽게 컨트롤을 잃으며, AI 성능이 좋지 않은 건지 중하위권을 차지하는 일이 잦다.

3.3. Genghis Kar(징기스 카)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Genghis.jpg
구동: 4WD
동력: 전기
해금방법: 연습 모드에서 모든 브론즈 컵 트랙들의 별을 얻는다.
아마추어 등급에서 가장 높은 최고 속도를 과시하는 차량. 하지만 괴상한 핸들링 성능과 괴악한 가속력[9]이 문제. 또 무게는 엄청 무거운 주제에 벽에 충돌하기만하면 대처 할 겨를도 없이 탁구공마냥 반대편으로 튕겨져나가는 데다가 배터리 아이템을 먹고 고속으로 코너링을 시도하면 차량이 뒤집힌다. 빈말로도 좋다고는 하기 힘들며, 예능용으로도 안 쓰는 것이 정신 건강에 이롭다. 그나마 장점이라면 의외로 아이템 공격에 잘 버틸 정도의 내구도를 가지고 있다는 정도.

이름은 예상이 가겠지만 칭기즈 칸에서 따왔으며, 개발 당시에는 Devil이라는 이름의 검은색 모델이었다. 유저가 컨셉 아트 등을 참고하여 모델을 제작한 것이 있다. #

3.4. Aquasonic(아쿠아소닉)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Aquasonic.jpg
구동: RWD
동력: 엔진
해금방법: 연습 모드에서 모든 브론즈 컵 트랙들의 별을 얻는다.
유저가 가장 처음으로 조우하는 엔진 구동 차량이며, 어디 하나 모자란 데 없이 무난하고 좋은 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후륜구동이라 미끄러운 지면에서 컨트롤이 어렵다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한편 상당히 개성적인 색상과 도장을 하고 있는 차량으로, Evilution이라는 말장난과 그 의미 그대로 점점 괴기스러워지는 물고기를 표현한 데칼과 밝은 옥색이 어우러져 보는 맛까지 챙긴 차량. 이렇게 무난한 성능에 멋진 외형까지 어우러져 RC San과 더불어 아마추어에서 인기 있는 차량이다.

여담으로 이 차량의 차체는 각종 데모 버전에서 다양한 데모용 차량에 활용되었다.

3.5. Mouse(마우스)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Mouse.jpg
구동: 4WD
동력: 전기
해금방법: 싱글 레이스 모드의 모든 브론즈 컵 트랙들에서 1등을 기록한다.
육중한 덩치와 무게를 자랑하는 몬스터트럭 형태의 차량. 루키 등급의 Phat Slug보다 덩치는 크지만 무게는 오히려 가볍다. 게다가 가속력도 Phat Slug와는 정반대로 상당히 높으며 최고 속도도 준수하다. 하지만 높은 무게 중심으로 인해 배터리를 먹고 고속에서 코너를 돌면 차량이 말 그대로 굴러버리며, 원체 핸들링이 둔해서 코너가 취약하기 때문에 AI도 잘 다루지 못하고 거의 하위권에 머무르는 등 생각보다 트롤링이 심한 차량이다.

4. 어드밴스드

가장 무거운 차량과 가장 가벼운 차량이 모두 이 등급에 포함되어 있다.

4.1. Evil Weasel(이블 위즐)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Evilweasel.jpg
구동: 4WD
동력: 전기
해금방법: 실버 컵 챔피언십을 클리어한다.
어드밴스드 등급에서 R6 Turbo와 함께 두 번째로 빠른 차량. 정확히는 3위지만 사실 R6 Turbo와의 차이는 극미한 수준(1kph)이다. 하지만 이 차량은 가속력과 핸들링이 하위 등급과 비교해도 그다지 좋지 못해서 재가속이 빈번하고 효율적인 코너 공략을 요구하는 상위 난이도의 트랙에선 더욱 입지가 좁아진다. AI의 경우는 그런대로 다루는 편이지만 어려운 맵일수록 태생적인 단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헤매는 편이다.

여담으로 게임 소스 코드에서 Zebra라는 차량이 발견되었는데, 모델 등의 유사점으로 보아 아마도 이 차량의 프로토타입일 가능성이 크다. 유저가 컨셉 아트 등을 참고하여 모델을 제작한 것이 있다. # 컨셉 아트 시절에는 시대를 풍미한 명차인 교쇼 인페르노 MP-5를 강하게 의식한 디자인의 엔진 버기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4.2. Panga TC(판가 투어링 카)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Panga.jpg
구동: RWD
동력: 엔진
해금방법: 실버 컵 챔피언십을 클리어한다.
프로 등급인 Panga의 판다곰 데칼이 곳곳에 붙여진 차량. 유일한 슈팅 브레이크 형태의 차량이다. 어드밴스드 등급 중 최고 속도가 가장 빠른 차량이며 가속력도 준수하다. 핸들링 또한 준수한 편이지만 감속을 하며 핸들링을 하면 차량이 확 꺾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아마추어 등급의 Mouse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아이템을 먹고 고속에서 코너링을 시도할 시 차가 구른다. 이런 코너에서의 취약점이 다수 존재하는 한계로 인해 일단은 준수한 성능임에도 불구하고 AI가 기록하는 순위의 기복이 심하다.

4.3. R6 Turbo(R6 터보)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R6turbo.jpg
구동: FWD
동력: 엔진
해금방법: 연습 모드에서 모든 실버 컵 트랙들의 별을 얻는다.
경차 같은 외형을 가진 차량. 이름을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르노 5 터보에서 컨셉을 따왔다는 느낌이 폴폴 풍기는 한편[10] 거의 다 비슷비슷하게 생긴 엔진 구동 차량들 가운데서 이질적인 외형을 가진 두 대 중 하나이다.[11] 어드밴스드 등급에서 두 번째로 빠른 최고 속도를 지녔으며, 이 게임에서 정상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차량 중 가장 가볍다. 이 때문에 준수한 최고 속도와 핸들링, 그리고 가속도를 모두 가졌음에도 그놈의 가벼운 무게 때문에 [12] 아이템 공격에라도 맞으면 이리저리 날아다닌다.

여담으로 뒤쪽에 큼지막한 모터를 달고 있음에도 동력은 엔진이라는 괴상한 설정이며, 원래 후륜구동이었으나 1.2 패치 이후로 전륜구동으로 변경되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후방에 모터를 달고 있다.

4.4. NY 54(뉴욕54)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Ny54.jpg
구동: RWD
동력: 엔진
해금방법: 연습 모드에서 모든 실버 컵 트랙들의 별을 얻는다.
귀여운 표정의 잭앤질[13]이 그려진 독특한 데칼이 특징인 차량. 안정성이 높고 초보자가 다루기 쉽지만 가속력이 무려 뒤에서 두 번째일 정도로 처참해서[14] 장점이 꽤 묻히며, 후륜이라 미끄러운 빙판 지형 등에서도 잘 헤맨다. 그래도 그 특유의 안정성 덕분인지 미끄러운 장판만 없으면 AI도 중위권 수성은 잘 하는 편이다.

여담으로 개발 당시에는 Loaded Chique라는 전혀 다른 데칼을 한 차량이었다. 디자인을 자세히 보면 어딘가 익숙한 이구아나가 보일 텐데, 다름 아닌 로딩 화면에서 보이던 그 녀석이다.[15] 이 잔재는 차량 폴더인 tc5에 있는 caror라는 그림 파일에서 지금도 확인할 수 있다.

4.5. Bertha Ballistics(벌사 발리스틱스)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Bertha.jpg
구동: 4WD
동력: 전기
해금방법: 싱글 레이스 모드의 모든 실버 컵 트랙들에서 1등을 기록한다.
험비를 연상케 하는 군용 전술차량의 외형을 한 차량. Rotor와 더불어 이 게임에 등장하는 차량들 중 가장 무겁다. 둔하고 느릴 것이라는 느낌과 달리 매우 우수한 성능을 자랑하는 차량으로, 육중한 무게 덕분에 외부의 갖은 충격도 우습다는 듯이 넘기는 데다가 동급 차량들 중 가장 낮은 최고 속도를 보유한 것이 무색하게 이를 훌륭한 가속력으로 만회하며, 절묘한 서스펜션 세팅에 더불어 심지어 4륜 조향까지 가지고 있어 까다로운 코너도 물 흐르듯 순식간에 주파해낸다. 덕분에 AI까지 우수해서 특유의 동그란 헤드라이트를 필두로 점점 코너에서 좁혀오는 본 차량의 추격 시의 압박감이 상당할 것이다. 심지어 이 차량을 능숙하게 잘만 쓴다면 골드 컵보다는 플레티넘 컵이 더 쉬울지도 모른다. 이런 좋은 성능을 믿고 Toyeca만큼은 아니지만 멀티에서 가끔 이 차량을 사용하는 유저도 등장한다. 다만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몰려있는지 높은 곳에서 점프를 하면 앞쪽으로 고꾸라지는 경우가 종종 있으니 주의.

여담으로 움직이는 레이더 같은 걸로 인해 커스텀 차량을 만들 시 이 녀석의 데이터로 이용해서 만드는 유저도 종종 있다. 그리고 군용차여서 그런지 차량 폴더 이름도 sgt이다.

5. 세미프로

5.1. Pest Control(페스트 컨트롤)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Pestcontrol.jpg
구동: RWD
동력: 엔진
해금방법: 골드 컵 챔피언십을 클리어한다.
이름답게 살충 관련 데칼을 한 차량. 세미프로 등급이면서도 최고 속도가 이 게임 전체에서 3위에 달한다.[16] 하지만 가속력이 굉장히 낮고,[17] 무엇보다도 핸들링 시 쉽게 리어가 힘을 잃고 고꾸라진다. 그런데 후진 시 가속은 엄청나게 빠르다. 이렇게 세팅이 의도적으로 이상하게 되어 있는 개그 차량이라 툭하면 코너에서 컨트롤을 잃고 미끄러지기 때문에 다루기 매우 힘들다. 골드 컵을 깨면 함께 해금되는 Adeon과는 여러 부분에서 정반대의 위치에 있는, 중후한 머슬 쿠페의 모습을 한 외형값 전혀 못하는 웃긴 차량. 이 차량을 쓰는 방법을 안다 하더라도 1등하기 힘들다. 이는 AI라고 별반 다르지 않으며, 어떻게든 한 바퀴 한 바퀴를 돌아보려고 발악하는 이 AI를 구경하는 것도 하나의 재미다.
여담으로 개발 당시에는 데칼이 미묘하게 달랐는데, 이 데칼은 닌텐도 64 버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5.2. Adeon(아데온)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Adeon.jpg
구동: 4WD
동력: 엔진
해금방법: 골드 컵 챔피언십을 클리어한다.
세미프로 등급에서 최고 속도가 가장 낮은 차량. 어드밴스드 등급 차량들과 비교해도 최고 속도가 낮다. 그 대신 가속력과 핸들링 능력은 프로 등급에 견주어도 되는 오버스펙 차량으로, 리볼트를 처음하는 사람도 이 차를 모는 데는 바로 적응할 정도로 조작이 매우 쉬우며 실제로 프로 등급 차량들과 경쟁시켜도 전혀 밀리지 않고 오히려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생각보다 무게도 있고 안정성도 높아 외력에도 잘 버티는 차량. 어쨌든 성능을 따져 차량을 선택한다면 세미프로 등급 중에서는 대개 이 차량 혹은 라이벌로 취급되는 Zipper를 선택하게 된다. AI가 플레이할 때도 항상 상위권을 유지하며, 심심하면 1위를 하는 모습을 볼 정도다.

여담으로 개발 당시에는 후드에 새겨진 알파벳 a가 대문자였는데, 차량 폴더 이름이 Poopoo였다.# 한국에서는 디자인이 르노삼성 SM5 1세대/닛산 세피로같다는 말이 많지만 헤드램프랑 테일램프 디자인으로 볼 때 B4 파사트 또는 토요타 체이서 6세대 모델를 베이스로 한 듯하다.

5.3. Pole Poz(폴 포즈)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Polepoz.jpg
구동: 4WD
동력: 전기
해금방법: 연습 모드에서 모든 골드 컵 트랙들의 별을 얻는다.
넓게 벌어져 있는 작은 바퀴가 특징적인 차량. 높은 등급에 비해 좀 싸구려 같아 보인다는 평이 있으며 Rotor와 함께 인게임 상 모터 구동 차량의 마지노선이다. 최고 속도가 높고 가속도 우수하지만 코너 공략이란 게 의미가 없나 싶을 정도로 핸들링 반응이 매우 둔하다. 이 때문에 AI가 쓰면 거의 하위권을 차지하지만, 플레이어의 경우에는 익숙해지다 보면 아예 못 쓸 정도는 아니라고 평가를 받는다.

이름의 유래는 레이싱 용어인 폴 포지션으로 추측된다.[18]

5.4. Zipper(지퍼)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Zipper.jpg
구동: 4WD
동력: 엔진
해금방법: 연습 모드에서 모든 골드 컵 트랙들의 별을 얻는다.
검은 도색에 매끈하고 낮게 깔리는 쿠페의 외형을 가진 차량. 이름처럼 곳곳에 멋스런 지퍼 데칼이 마스킹되어 있다. 최고 속도가 높고 준수한 가속력에 괜찮은 핸들링으로 Adeon과 마찬가지로 프로 등급 차량들과의 경쟁도 할 만하다. 능력치를 보면 Adeon에서 가속력을 내린 만큼 최고 속도를 올린 성능이지만 급격한 핸들링을 시도할 때도 유저의 컨트롤을 그대로 따라와주는 Adeon과는 달리 컨트롤을 잃고 헛도는 경우가 매우 잦다. 이 점은 높은 지형에서 착지할 때 크게 느껴진다. 그래서 항상 상위권을 차지하는 Adeon에 비해 AI가 컨트롤을 제어하지 못하고 하위권에서 노는 경우가 꽤 있다.

여담이지만 리볼트가 영국에서 만들어진 영향인지[19] 곳곳에 유니언 잭 데칼이 있고 심지어 휠에도 유니언 잭이 들어가 있다.

5.5. Rotor(로터)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Rotor.jpg
구동: 4WD
동력: 전기
해금방법: 싱글 레이스 모드의 모든 골드 컵 트랙들에서 1등을 기록한다.
차체에 비해 매우 우람한 바퀴가 인상적인 차량. 뒤집혀도 그냥 그대로 달릴 수 있는 유일한 녀석이다. 이를 노렸는지, Rotor 라는 이름을 거꾸로 뒤집어도 Rotor로 같다. 다만 뒤집힌 상태로 달리면 스피드가 살짝 느려지는 대신 핸들링 안정성이 살짝 증가한다.[20] 뒤집혀도 외형이 거의 분간이 되지 않는 형태로 만들어져 있는데, 안테나가 아래쪽으로 깔려 있으면 뒤집힌 상태이다.[21] 물론 유저의 편의를 위해 뒤집힌 상태라고 해서 좌우 조작까지 반대로 되지는 않는다. Bertha Ballistics와 함께 이 게임에서 가장 무거운 차량이며, 최고 속도는 무려 40mph로 프로 등급 차량들과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대신 가속력이 처지는 데다가 코너를 돌 시에 뒤집히는 경우가 상당히 잦다. 결론적으로 녀석의 더럽게 큰 바퀴 때문에 장점을 다 말아먹는 녀석.

여담으로 AI는 이 차량을 사용할 수 없는데 아마도 AI가 도저히 컨트롤하기 힘든 모델링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6. 프로

프로 등급 차량들은 모두 엔진 동력을 사용한다.

6.1. Cougar(쿠거)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Cougar.jpg
구동: FWD
동력: 엔진
해금방법: 플래티넘 컵 챔피언십을 클리어한다.
게임 내 최고 수준의 최고 속도를 보유하고 있는 차량. 이 덕분에 직선로가 많은 코스에서 강점을 보이며, HummaToyeca 수준에는 한참 못미치지만 준수한 가속력 또한 갖추었다. 타 프로 등급 차량과 비교할 때 이 차량만의 강점을 꼽자면 극강의 안정성을 들 수 있는데, 조향각이 작고 반박자 늦게 따라오는 둔탁한 핸들링 특성을 갖췄지만 무게 중심이 굉장히 낮고 그립이 뛰어나기 때문에 어느 상황에서나 부담이 없는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다. 이런 특징 덕에 코너에서 다소 약점이 있음에도 초보 유저가 몰아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AI 역시 상위권 수성을 잘한다. 단점을 꼽자면 앞서 말했듯 핸들링이 둔하고 가속력이 떨어지는 최고 속도 위주의 세팅이기 때문에 재가속이 빈번하고 까다로운 코너 공략을 요구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트랙이 강세인 리볼트의 트랙 디자인 특성상 다소 한계가 명확하다는 점이다.

이름의 유래는 아마도 영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재규어일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외형도 재규어 XJ220과 비슷하다.

6.2. Humma(휴마)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Humma.jpg
구동: 4WD
동력: 엔진
해금방법: 플래티넘 컵 챔피언십을 클리어한다.
가속력과 핸들링 면에서 따라올 자가 없는 차량. 프로 등급에서 최고 속도가 39mph로 가장 낮지만 튀어나간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압도적인 가속력과 재빠른 핸들링이 이를 커버해주기 때문에 세미프로 등급의 Adeon과 마찬가지로 낮은 최고 속도를 뛰어난 가속력과 민첩한 차량 거동으로 해결하는 스타일. 의외로 무게가 가벼운 차량은 아니라서 미사일, 폭탄 등에 잘 뒤집히지 않는 등 몸빵이 뛰어나지만, 코너링이 안정적인 Adeon과는 달리 핸들링 감도가 매우 민감하기로 유명하다.

이로 인해 리볼트 내에서도 조종이 가장 까다로운 편에 속하며, 찰나의 방향 입력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매우 세밀하게 강약을 조절해가며 컨트롤해야 한다. 조금이라도 실수하는 순간 바로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오는 어려운 차량이지만 그만큼 숙달된 플레이어가 잡을 경우 나오는 성능은 리볼트 최고라고 봐도 무방하다. 특히 이 핸들링 특성을 이해한 유저가 잡은 Humma는 다루기 용이한 Toyeca를 선택한 유저라도 이기기 힘들다. 순식간에 코너에서 멀어져가는 모습을 보면 그야말로 감탄이 나오는 수준. 가속이 자주 일어나고 어려운 코너가 많은 리볼트 트랙의 특성상 압도적으로 진가가 발휘된다. 특히 정확히 계산된 코너링을 구사하는 AI의 Humma는 늘상 플레이어의 둘도 없는 라이벌. 사실상 리볼트 챔피언컵의 찐 최종보스 취급이다. 사실상 생김새도 최종보스 처럼 생겼다. 이 차량을 마스터하고 싶다면 다음 영상을 참고하자.#

여담으로 아우디 100/A6가 모티브라는 추측이 있으며, 이 차량의 차체는 각종 데모 버전에서 다양한 데모용 차량에 활용되었는데 그중에는 데칼만 동일하고 동력이나 스펙 등을 루키급으로 조정한 Acclaim이라는 차량도 있었다.# 또한 차량 폴더의 이름은 sugo인데, 정황상 일본에 위치한 서킷의 이름일 가능성이 크다.# 모바일 이식작에서는 어클레임 상표가 지워졌다.

6.3. Toyeca(토예카)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Toyeca.jpg
구동: 4WD
동력: 엔진
해금방법: 연습 모드에서 모든 플래티넘 컵 트랙들의 별을 얻는다.
프로급에서 완성도가 가장 높은 차량. 편안한 조작감, 우수한 최고 속도, 시원시원한 가속력, 준수한 핸들링까지 모든 방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동급의 다른 차량들이 저마다 난해한 특성을 지닌 반면 각자의 방면에서 최고의 성능을 제공한다면, 이 차량의 경우는 초보와 고수를 가리지 않는 꽉 찬 육각형의 능력치를 가진 차량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난히 이 차량의 인기가 많았으며, 이 인기는 현재진행형이다. 최신 환경에 맞추어 제작된 RVGL의 출시와 더불어 준수한 퀄리티를 자랑하는 유저 커스텀 차량들이 대거 제작되어 온라인에서 모습을 드러냄에도 불구하고, 프로 등급에서 이 차량의 셀렉트율은 여전히 넘사벽을 자랑한다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차량의 모티브는 포르쉐 959의 레이스카 961이며, 이름의 유래는 아마도 Toy Car의 말장난일 가능성이 크다.

6.4. AMW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Amw.jpg
구동: RWD
동력: 엔진
해금방법: 연습 모드에서 모든 플래티넘 컵 트랙들의 별을 얻는다.
프로등급에 맞는 도색과 잘빠진 차체를 가졌지만 현실은 멋진 외형으로 유저를 낚는 함정픽이다.
이 차량의 장점은 게임 내에서 세 번째로 높은 최고 속도를 지녔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직선 트랙에서 시원하게 치고 나올 수 있으며, 후륜구동 방식 치고는 타이어 그립이 꽤 괜찮다는 점도 특기할만하다.
하지만 겨우 1kg 남짓하는 무게가 발목을 잡는다. 이 무게 때문에 이 차량의 안정성은 독보적으로 낮으며, 레이스 중 어쩔 수 없이 생기는 조금의 충돌이나 폭죽 등의 아이템에 대한 내성이 전혀 없다는 것은 몸싸움과 아이템전이 기본 소양인 이 게임에서 치명적인 단점이 아닐 수 없다. 굳이 아이템이 아니더라도 감속 시에 가해지는 힘을 감당하지 못해 휘청거리거나, 점프 후 착지 시 생기는 충격을 감당을 못하고 경련하며 고꾸라지는 모습을 보면 실소가 나올 지경.
그런 주제에 가속력도 낮다. 인게임 능력치 표기에는 쿠거보다 소폭 높은 가속력을 지녔다고 되어있지만, 실상 가속 초반에 구동 손실이 너무 심해서 Cougar보다 느림은 물론이고 하위 티어와 비교해도 처지는 부끄러운 가속력을 자랑한다.

허나 가장 큰 문제는 코너 공략이다. 이 차는 조향각이 극도로 작아서 선회반경이 굉장히 크다. 때문에 간단한 코너에서도 속도를 크게 낮춰야만 하는데, 이렇게 코너에서 속도 손실이 심한데도 불구하고 상기한 낮은 가속력으로 인해 코너 탈출 시 속도가 도통 안붙어서 후방 차량의 추격을 떨쳐내기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특징들 때문에 유저로 하여금 Humma와는 다른 의미로 숙련도를 시험하게 만든다. 또한 갑작스레 타이어가 그립을 잃고 차량이 확 돌아버리는 현상이 있는데, 이게 지형을 가리지 않고 랜덤하게 발생하는 오류 비슷한 현상이라서 유저가 어떻게 예측하고 말고의 레벨이 아니라서 그야말로 리볼트의 '매운 맛'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완벽한 Cougar의 하위호환. 가속력도 처지고, 핸들링도 처지며, 안정성은 비교가 부끄러운 수준에, 유일한 장점인 최고 속도도 처진다.
이 차량으로 이기려면 승산이 전혀 없는 몸싸움을 피해 하위 등급보다도 낮은 가속력으로 초반에 일찌감치 치고 나가서 거리를 크게 벌려놓는다는 모순을 극복해야 한다. 무게가 낮아 몸싸움도 불가능한 주제에 가속력까지 낮아 안정적인 중위권 수성도 어렵고 만약 선두를 차지하더라도 코너에서 금세 따라잡히는 불쌍한 차량. 프로 등급이면서도 허구한 날 Adeon, Zipper보다 하위에 있는 건 우연이 아니다. 그나마 높은 최고속도 덕분에 브론즈 컵 트랙들이나 Toytanic 1, 2처럼 직선 위주의 트랙에서는 프로 값을 하지만, Museum 1이나 Supermarket 1과 같은 고난도의 맵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한다.

이름의 유래는 아마도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인 BMW일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외형도 BMW E36의 경주용 차량 버전과 비슷하다.

6.5. Panga(판가)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Bear.jpg
구동: 4WD
동력: 엔진
해금방법: 싱글 레이스 모드의 모든 플래티넘 컵 트랙들에서 1등을 기록한다.
인상을 잔뜩 쓰고 있는 얼굴을 한 판다의 형상을 하고 있는 매우 파격적인 외형의 차량. 덩치가 정말 무식하게 크고 바퀴마다 음양 데칼이 새겨져 있다. 다른 등급의 한 덩치 한다는 차량들이 우습게 보일 정도. 그리고 방향을 틀 때 그 방향으로 판다의 얼굴도 연동되어 돌아간다. 여러모로 실제로 상품화가 되었어도 좋았을 녀석. 모든 능력치가 ???로 표시되어 있는데, 실제로 써보면 좁은 조향각에 의해 더럽게 답답한 코너링을 제외하고 모든 면에서 우수한 능력을 보여주는 차량으로 데이터를 열어보면 외형만큼이나 파격적인 성능을 달고 있다. 이 게임 전체에서 Cougar와 함께 가장 높은 최고 속도를 자랑하며, 덩치에 안 맞게 가속력도 높다. 덩치가 큰 만큼 무게가 무거워야 함에도 불구하고 게임상의 허용으로 Bertha BallisticsRotor보다도 가볍고 루키 등급의 Phat Slug와 무게가 같다. 다만 머리쪽으로 무게 중심이 쏠려있는 것인지 점프할 때 차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며, 이 때문에 점프대로 높이 점프했을 때 차가 앞쪽으로 굴러 뒤집히는 일도 자주 일어난다. 또한 안테나가 없어 폭탄에 걸렸을 때 폭발까지 남은 시간을 알 수가 없다. 결국 스펙 자체는 좋아도 차량이 워낙 부피가 크기 때문에 어디 장애물이나 벽에 들이받는 일이 잦고 빡빡한 핸들링 때문에 실전에 적극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그 가속력과 크기를 살려서 연습 모드의 별 먹기 등에 써먹는 게 낫다. 판정 자체가 매우 크고 최고 속도와 가속도가 빨라 어디든지 별에 닿는 것이 가능하고 벽타기도 어느 정도 되는 편이기 때문.

여담으로 Rotor와 마찬가지로 AI는 랜덤 모드를 제외하면 이 차량을 사용할 수 없는데, 아무래도 이 녀석도 개그용 차량이며 AI가 몰기 시작하면 큰 부피와 작은 조향각으로 인해 어디 처박혀서 길막하는 등의 트롤링이 이만저만이 아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7. 드림캐스트PS1 전용

파일:RV Dc_cars_spread.png

드림캐스트 및 PS1로 발매된 버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차량. 기존 차량을 베이스로 하여 성능과 외형을 바꾼 차량들이다. 타임 트라이얼을 해서 기록을 깨면 얻을 수 있다.[22]

아무래도 키보드보다 세밀한 플레이를 하기 힘든 컨트롤러를 염두에 둔 탓인지 PC 버전 차량들에 비해 안정성[23]이 좋은 차량이 많다.

7.1. Bigvolt(빅볼트)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Bigvolt.jpg
구동: 4WD
동력: 전기
등급: 루키
타미야의 '클로드 버스터' 라는 올드 몬스터 트럭에게서 모티브를 얻은 듯한 거대한 바퀴를 가진 몬스터 트럭 형태의 차량. 가속도와 핸들링, 최고 속도 등 꿀리는 부분이 없어서 전체적으로 성능은 괜찮은 편. 또한 차량이 상당히 크고 무거워서[24] 아이템 공격에도 덜 흔들린다. 하지만 우직한 외형과 달리 은근히 핸들링에 민감한 구석이 있고 서스펜션이 다소 튀어서 언덕길 등 울퉁불퉁한 길에 취약하다.

여담으로 Bossvolt와 함께 드림캐스트에만 새로 추가된 차량이기도 하다.

7.2. Bossvolt(보스볼트)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ossvolt.jpg
구동: 4WD
동력: 전기
등급: 어드밴스드
해금방법: 실버 컵 챔피언십을 클리어한다.
미국식 레이싱 트럭 형태의 차량. 무게가 무려 3.5kg로 게임 내에서 가장 무겁다. 이 덕분에 금강불괴급의 방어력을 자랑하며, 안정성이 높다. 적당한 가속력과 최고 속도를 보유하고 있어 설마 이 녀석 넘사벽일까 싶기도 하겠지만, 핸들링이 한 박자 느려서 코너만 만나면 꽤 답답하다. 그리고 배터리를 먹고 고속에서 조향을 시도할 시 폭에 비해 무게중심이 높아서 그런지 옆으로 고꾸라진다.

여담으로 Bigvolt와 함께 드림캐스트에만 새로 추가된 차량이기도 하다.

7.3. RC[25]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Rc.jpg
구동: FWD
동력: 전기
등급: 아마추어
해금방법: 타임 트라이얼의 브론즈 컵 트랙 챌린지 타임을 전부 클리어한다.
Volken Turbo를 베이스로 한 차량. 원본보다 가속력이 살짝 높고 핸들링이 더욱 강해졌다. 다만 최고 속도가 그대로여서 아마추어치고는 심하게 낮은 30mph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본처럼 뛰어난 AI로 승부를 보는 차량이라 그런지 AI가 이 차량을 몰면 다른 아마추어 등급 차량과 더불어 능숙하게 플레이어를 위협해오니 경계하는 것이 좋다.

여담으로 PS1 버전은 데칼이 살짝 다르고 AI도 드림캐스트판보다 훨씬 떨어진다.

7.4. LA 54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La54.jpg
구동: 4WD
동력: 전기
등급: 아마추어
해금방법: 타임 트라이얼의 브론즈 컵 트랙 챌린지 타임을 전부 클리어한다.
Sprinter XL을 베이스로 한 차량. 시원한 가속력만이 장점이었던 원본과는 달리 무게를 증가시켜 가속도를 평균적인 수준으로 낮추는 대신 그만큼 최고속도를 증가시켰으며 결과적으로 불안했던 핸들링이 개선되어 코너가 많은 트랙에서도 별 문제없이 주행하는 등 우수한 차량이 되었다. 특히 4륜인데도 빙판길에서 무너지는 원본 차량과는 달리 빙판길 대처 능력도 꽤 좋다. 그 때문인지 AI가 이 차를 몰면 항상 상위권을 유지한다.

7.5. Matra XL(마트라 XL)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txl.jpg
구동: RWD
동력: 엔진
등급: 아마추어
해금방법: 타임 트라이얼의 브론즈 컵 트랙 챌린지 타임을 전부 클리어한다.
Aquasonic을 베이스로 한 차량. 원본보다 최고 속도가 아주 미세하게 증가했고 핸들링이 좀 더 개선되었지만 대신 가속도가 감소했다. 이 덕분에 미끄러운 지형에서는 이 녀석이 원본보다 우세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후륜구동이기 때문에 결국 도긴개긴이다. 한편 원본과 서로 장점과 단점이 상충되어서 그런지 AI가 이 차량을 몰 때도 Aquasonic과 마찬가지로 좋은 성적을 낸다.

여담으로 PS1 버전은 데칼이 살짝 다르다.

7.6. Shocker(쇼커)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hocker.jpg
구동: RWD
동력: 엔진
등급: 어드밴스드
해금방법: 타임 트라이얼의 실버 컵 트랙 챌린지 타임을 전부 클리어한다.
Panga TC를 베이스로 한 차량. 원본보다 가속도와 최고 속도를 소폭 낮추는 대신 눈에 도게 안정성이 개량된 차량이다. 이 덕분에 배터리를 먹고 코너링을 시도해도 잘 뒤집히지 않는다. 다만 원본처럼 빙판길 같은 미끄러운 길이 쥐약이다. AI 또한 원본과 비등비등하게 경쟁하는 정도.

7.7. Splat(스플랫)

파일:RVSplat.jpg
구동: RWD
동력: 엔진
등급: 어드밴스드
해금방법: 타임 트라이얼의 실버 컵 트랙 챌린지 타임을 전부 클리어한다.
NY 54를 베이스로 한 차량. 원본보다 느린 가속도와 최고 속도를 보유한 차량으로, 최고 속도가 겨우 33mph다. 이는 아마추어 등급에서 최고 속도가 가장 낮은 RC San과 동급일 정도. 하지만 안 그래도 안전성 특화였던 원본보다도 안정성이 더 강화되어 남들 사고날 때 나는 안 난다는 식이라 생각보다 쓸 만하고, AI가 쓸 때도 이런 점 덕분에 의외로 상위권에 자주 보인다. 후륜구동이라 빙판길에선 그만큼의 안정성이 발휘되진 못하지만 버틸만 하다. 특히 직선 위주의 트랙에서는 무조건 뒤처질 것임을 감수해야 한다.

7.8. Groovster(그루브스터)

파일:RVGroovster.jpg
구동: RWD
동력: 엔진
등급: 어드밴스드
해금방법 : 타임 트라이얼의 실버 컵 트랙 챌린지 타임을 전부 클리어한다.
Pest Control을 베이스로 한 차량. 약을 거하게 빤 데칼이 특징이다. 원본보다 등급이 낮아진 만큼 최고 속도도 34mph로 대폭 하향되었지만, 대신 원본의 발목을 잡던 과도한 핸들링을 매우 안정화시켜 크게 사고날 일도 없는 평범한 차량이 되었다. 다만 원본처럼 동급 대비 답답한 가속력과 미끄러운 지형은 쥐약.

7.9. JG-7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Jg7.jpg
구동: 4WD
동력: 엔진
등급: 세미프로
해금방법: 타임 트라이얼의 골드 컵 트랙 챌린지 타임을 전부 클리어한다.
Adeon을 베이스로 한 차량. 원본이 빨강이라면 이쪽은 파랑이다. 원본보다 앞뒤 휠 베이스의 좌우 폭이 조금 더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가속력을 소폭 낮춘 대신 원본의 다소 민감한 핸들링 감도를 낮추고 그립을 증가시켜 안정적이지만 그만큼 코너 공략에 있어 답답해진 것은 감수해야 할 부분. 덕분에 원본과 더불어 좋은 평가를 받는 차량이다.

여담으로 개발 당시에는 Alba라는 이름이었으며, JG라는 이니셜은 디자이너의 이름인 Joe Groombridge[26]에서 따왔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7이라는 숫자는 7번째 콘솔 차량이라는 뜻이라고 추측된다.[27] 또한 PS1 버전은 데칼이 살짝 다르다.

7.10. RG1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g1.jpg
구동: 4WD
동력: 엔진
등급: 세미프로
해금방법: 타임 트라이얼의 골드 컵 트랙 챌린지 타임을 전부 클리어한다.
Zipper를 베이스로 한 차량. 뭔가 성의 없는 조잡한 외형이 특징이다.[28] 위의 Shocker처럼 원본에 비해 최고 속도와 가속도 모두 하향한 대신 핸들링을 안정화시켰으나 이 때문에 최고 속도가 세미프로 등급에서 가장 낮아서 원본과 달리 직선 위주 코스에서 힘을 못 쓰게 되었다. 그래도 AI는 다른 차량에게 밀리지 않는 성능을 보여준다.

여담으로 PS1 버전은 데칼이 살짝 다르다.

7.11. RV Loco(RV 로코)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vloco.jpg
구동: FWD
동력: 엔진
등급: 세미프로
해금방법: 타임 트라이얼의 골드 컵 트랙 챌린지 타임을 전부 클리어한다.
Cougar의 몸체를 베이스로 한 차량이자 Pest Control과 쌍벽을 이루는 기괴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우선 눈여겨 볼 점은 무려 46mph에 달하는 최고 속도[29]인데, 이는 원본이자 최고 속도 1대장이었던 Cougar보다도 높은 수치이다. 하지만 이런 장점을 처참한 가속도와 빡빡한 핸들링이 묻어버린다. 가속도가 매우 낮아 최고 속도까지 도달할 일이 매우 드문 데다가 의도적으로 후륜 쪽 세팅을 조작해놓아서 코너링을 시도하면 제대로 조향도 못하고 차체가 덜덜거리다 뒤집혀버린다. Loco"맛이 간, 미쳐버린"이란 뜻의 단어란 걸 고려하면 대놓고 노렸다. 아무튼 이런 성능 때문에 플레이어는 말할 것도 없고 AI도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최악의 차량이라고 할 수 있다.

여담으로 PS1 버전은 다른 콘솔 차량들과 달리 데칼이 매우 다르다.

7.12. SNW 35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nw35.jpg
구동: 4WD
동력: 엔진
등급: 프로
해금방법: 타임 트라이얼의 플래티넘 컵 트랙 챌린지 타임을 전부 클리어한다.
Humma를 베이스로 한 차량이자 원본을 아득히 능가하는 리볼트 제일의 사기 차량. 최고 속도가 Cougar보다 높고, 원본부터 압도적이었던 가속력에서 만족하지 않고 더 높였으며, 평지 기준으로 1~2초만 달려도 바로 최고 속도에 도달할 정도로 빠르다. 원본의 장점이자 단점이던 극히 민감한 핸들링 대신 Toyeca 같이 안정감이 올라간 주행감으로 조정되어 핸들링 부담이 줄어든 등 푸짐한 상향을 먹었다. 압도적인 성능에 힘입어 치트키를 쓴 마냥 시원시원하고 쉽게 주행할 수 있기 때문에 AI가 몰면 Humma를 능가하는 플레이어 최악의 라이벌이 되며, 양질의 유저 커스텀 차량들과의 경쟁에서도 꿇리지 않는 매우 강력한 성능을 보여준다. RVGL에서는 최고속도와 가속도가 Humma와 비슷한 수준으로 조절되었으며[30], Humma보다 핸들링 안정도가 높은 대신 조향각이 줄어들어 복잡한 지형에서의 성능은 조금 떨어지는 편이다. 특히 Supermarket 1과 같은 맵에서의 유턴 구간은 원본은 부드럽게 돌지만 이 차량은 조금 뻑뻑하게 돈다. 물론 그만큼 가속도가 훨씬 빨라서 충분히 보완되고도 남지만, 그나마 단점다운 단점을 꼽자면 무게가 조금 가벼워져서(2.0kg→1.5kg) 몸싸움이나 아이템 싸움에서 지는 경우도 많이 생기고, 최대 속력 유지 중 방향키를 누르면 갑자기 홱 미끄러지는 현상도 여전히 남아 있다는 점이다.

여담으로 PS1 버전은 데칼이 살짝 다르다.

7.13. Purp XL(퍼프 XL)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urpxl.jpg
구동: 4WD
동력: 엔진
등급: 프로
해금방법: 타임 트라이얼의 플래티넘 컵 트랙 챌린지 타임을 전부 클리어한다.
Toyeca의 몸체를 베이스로 한 차량. 이 차의 가속도(3.17m/s2)는 원본(3.16m/s2)과 거의 동일하지만 아주 살짝(0.01m/s2 정도) 빠르며, 최고 속도가 원본보다 증가하여 AMW와 동급의 높은 최고속도를 갖추게 되었다. 반면 원본보다 조향각은 좁아져서 핸들링 성능에 다소 너프가 이뤄졌다. 조심스럽게 조향을 할 때는 부드럽게 코너를 도는 편이지만 고속에서 급격하게 코너링을 시도할 때 타이어가 감당을 못하고 180도로 확 꺾여 곤란하게 만드는 경우가 잦다.
하지만 코너의 비중이 높지 않은 직선 위주 트랙이라면 최상급의 최고 속도와 높은 가속력을 활용하여 그 SNW 35를 손쉽게 제칠 수 있는 제 2의 사기카가 된다. 특히 이 차량은 급코너만 돌지 않으면 홱 틀리는 경우는 거의 없어 주행감이 매우 안정적인 것이 큰 장점이다.

여담으로 리볼트 위키에 따르면 이 차량과 SNW 35는 그 압도적인 성능 때문에 온라인 플레이에서도 논란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7.14. Fulon X(퓰론 X)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Fulonx.jpg
구동: RWD
동력: 엔진
등급: 프로
해금방법: 타임 트라이얼의 플래티넘 컵 트랙 챌린지 타임을 전부 클리어한다.
AMW의 몸체를 베이스로 한 차량이지만 그 실체는 AMW를 능가하는 트롤 차량. 화려하고 멋진 데칼에 비해 성능은 프로 등급이라 믿기 어려울 정도이다. 핸들링이 보다 유연해진 점은 원본과 비교해 큰 장점이지만, 안그래도 바닥을 달리기로 유명했던 원본에서 또다시 가속도에 너프가 이뤄져서 루키급에도 못 비빌 정도로 매우 처참한 가속력을 가지게 되었고, 최고 속도 역시 38mph 가량으로 크게 감소하여 눈을 떠보니 세계관 최약체가 되었다. 그나마 AMW는 높은 최고 속도로 직선 코스에서는 어느 정도 강세를 보이긴 하지만, 이 녀석은 그런 것도 없다. 어떻게 보면 위의 RV Loco와는 다른 의미에서 최악의 차량이라고 할 수 있다. AI가 사용하면 꼴찌를 도맡아하는 건 덤.
여담으로 개발 당시에는 Fulon Kubera라는 이름이었으며, PS1 버전에서는 초록색 데칼로 등장한다.

8. 치트 전용

파일:Special_cars_spread.png

모든 차량을 해금할 수 있는 치트인 CARNIVAL을 입력했을 때만 사용 가능한 차량들이다. 아래의 박스 아트들은 모두 팬메이드 또는 아케이드 버전에서 가져왔으며, 실제 게임에서는 ??? 표시로 가득 찬 박스 아트가 출력된다.

8.1. Trolley(트롤리)[31]

파일:0Trolley.jpg
구동: RWD
동력: 스페셜[32]
등급: 프로
해금방법: CARNIVAL 치트 사용.
사진 그대로 쇼핑 카트의 모습을 하고 있는 차량. 정체는 다름 아닌 슈퍼마켓 맵의 그것이다. 그래서인지 차량의 크기도 동일해서 무지하게 크며, 원래 순정 CD 버전에서는 사용 불가능했으나 1.2 버전 이후 꺼내올 수 있게 되었다. 등급이 프로로 표기되어 있으나, 막상 써보면 처참한 가속도와 덜덜거리는 핸들링 등 애초에 쓰일 녀석이 아니었다는 성능을 증명한다. 더군다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좁고 낮은 길목에는 들어갈 수조차 없다.
스팀은 버전이 1.1이므로 치트써도 등장하지 않는다
N64 버전에도 존재하지만 에뮬레이터에 따라 해당 차량을 불러오면 게임이 멈추는 버그가 있다.

8.2. Clockwork(클락워크) 시리즈

8.2.1. Clockwork Wun(클락워크 원)[33]

파일:00Clockwork_Wun.jpg
구동: 4WD
동력: 전기
등급: 프로
해금방법: CARNIVAL 치트 사용.
태엽차 3형제의 일원. 옵션 메뉴로 갔을 때 보이는 테이블에서 싸우고 있는 차량이다. 숫자 표기가 뒤틀려 있는 것이 포인트.[34] 프로급임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루키급보다도 느리다.

8.2.2. Clockwork Too(클락워크 투)

파일:0Clockwork_2.jpg
구동: 4WD
동력: 전기
등급: 프로
해금방법: CARNIVAL 치트 사용.
태엽차 3형제의 일원. 옵션 메뉴로 갔을 때 보이는 테이블에서 싸우고 있는 차량이다. 숫자 표기가 뒤틀려 있는 것이 포인트.[35] 프로급임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루키급보다도 느리다.

8.2.3. Clockwork Tree(클락워크 트리)

파일:0Clockwork_3.jpg
구동: 4WD
동력: 전기
등급: 프로
해금방법: CARNIVAL 치트 사용.
태엽차 3형제의 일원. 옵션 메뉴로 갔을 때 보이는 테이블에서 싸우고 있는 차량이다. 숫자 표기가 뒤틀려 있는 것이 포인트.[36] 프로급임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루키급보다도 느리다. 가장 납작한 차체 덕분에 앞선 두 차량보다는 몰기 쉽다.

8.2.4. Clockwork(클락워크)

파일:0Clockwork_4.jpg
구동: 4WD
동력: 전기[37]
등급: 프로
해금방법: CARNIVAL 치트 사용.
태엽차 폭주 모드(Clockwork Carnage)에서 사용되는 차량. 외형은 색을 제외하고 Clockwork Tree와 같다. 최고 속도가 약 42mph로 위 3형제와는 달리 진짜 프로급에 걸맞지만, 무게가 매우 가벼워서 내구도가 약하고 물에서도 뜬다. 때문에 이 녀석을 다른 일반 차량들과 경쟁시키면 꽤나 불리하다. 당장에 앞서 언급한 태엽차 폭주 모드에서 30대 가량의 Clockwork들과 경주해보자. 그야말로 난장판이 따로 없다.

8.3. Probe UFO(프로브 UFO)

파일:Ufo_arcade_box_art.png
구동: 4WD
동력: 스페셜
등급: 프로
해금방법: CARNIVAL, URCO 치트 사용.
말 그대로 UFO 모양의 차량. 구동 시 우우웅거리는 우주선 특유의 소리가 난다. 오로지 치트 입력으로만 해금할 수 있다. 최고 속도가 약 42mph로 게임 내 최고 수준이고 가속도는 엽기적으로 높은데다 핸들링도 처음엔 적응이 힘들지만 성능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이 녀석만의 특징은 높은 곳에서 낙하할 때 잠시 동안 비행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체공할 때 다른 차량들과는 달리 천천히 낙하하게 되며, 체공 중에는 최고 속도를 무제한으로 올릴 수 있다. 덕분에 컨트롤이 뛰어난 고수가 잡는 가정하에 리볼트 최고의 사기 차량라고 할 수 있다. 일부 점프대가 있는 코스에서는 비행으로 랩타임 단축에 있어서 월등히 뛰어나다. 원반 모형이라 앞뒤를 구분하기 힘들어서 그런지, 빨간 칠이 되어 있는 부분을 보고 구별할 수 있다. 특이한 차체 모양으로 인해 몸싸움 경쟁에서 빈약한 면을 보이지만, 대신 아이템 등의 공격을 받아도 뒤집힐 일이 다른 차량에 비해 적은 편이다. 여담으로 원래는 Extreme G-2라는 타 레이싱 게임에서 선공개되었다고 한다. 또 특이한 점은 다른 차들은 물에 빠지면 가라앉지만 UFO는 그냥 물에 둥둥 뜬다.

8.4. Mystery(미스터리)

파일:0Mystery_arcade_box_art.jpg
구동: RWD
동력: 전기
등급: 아마추어
해금방법: CARNIVAL 치트 사용.
몸체에 물음표 표시가 새겨진 천을 덮고 있는 차량. 주행 시 천이 흔들리기도 하는데, 뒤집혀져 있는 차체를 보면 말 그대로 새까맣게 아무것도 없다. 성능 자체로는 딱 아마추어급에 어울리는 스펙을 가지고 있는 무난한 차량. 멀티플레이 시 상대방이 온라인에서 다운받은 커스텀 차량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본인이 상대방과 동일하게 다운 받은 커스텀 차량이 없을 시 이 차량의 모습으로 대신 나타난다. 또한 타임 트라이얼 모드에서 앞서 경신된 기록을 보유한 차량의 데이터가 없을 시에도 마찬가지이다.

9. 데모 버전 차량

데모 버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차량. 기존에 있던 차량의 차체를 재활용하여 루키급으로 개조한 것들이며, 이 당시 스폰서였던 각종 게임 관련 매스컴들이 각자 자사의 데칼이 새겨진 데모를 배포했었다. 아래의 박스 아트들은 모두 팬메이드이며 실제 게임에서는 ??? 표시로 가득 찬 박스 아트가 출력된다.

9.1. Acclaim · CGW · IGN · PC Gamer

파일:RVAcclaim.jpg 파일:RVCGW.jpg 파일:RVIGN_PC.jpg 파일:RVPC_Gamer.jpg
구동: 4WD
동력: 전기
등급: 루키
Humma의 몸체를 베이스로 한 데모 차량들이다.

9.2. Game Center · GameSpot · PC Accelerator · RIVA TNT2

파일:RVGamecenter_passion_boxart.jpg 파일:RVGamespot.jpg 파일:RVPC_Accelerator.jpg 파일:RVRiva_TNT2.jpg
구동: 4WD
동력: 전기
등급: 루키 (Game Center, GameSpot), 아마추어 (PC Accelerator, RIVA TNT2)
Aquasonic의 몸체를 베이스로 한 데모 차량들이다. 원본이 후륜구동인 것과 달리 모두 4륜구동이다. 파란색으로 된 RIVA TNT2도 있는데 팬덤에서는 NV GEFORCE라고 부른다.

9.3. MC RC

파일:RVMc_RC_Passion_box_art.png
구동: 4WD
동력: 엔진
등급: 루키
이 데모 차량의 경우에는 당시 배포 여부가 확실하지 않다. 또한 유일하게 미사용 차량인 Pemto라는 차량의 몸체가 베이스이며, 동시에 유일한 엔진 구동이기도 하다.


[1] 일반 PC판으로는 드림캐스트의 차량 데이터를 넣고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는 이상 해금할 수 없다.[2] 콘솔 차량까지 포함하면 Bossvolt가 1위.[3] 31mph[4] 그것도 태엽차 종류 제외하면 전 차량 꼴찌.[5] Grudge는 원한이라는 뜻이다.[6] (드림캐스트 차량 제외) 1위는 Humma(3.45m/s2)이며, 드림캐스트 차량을 포함하면 SNW 35(4.38m/s2)가 독보적으로 1위다.[7] 일본어로 ~씨를 뜻하는 말 さん(상)에서 따온 것이라 샌이 아니라 상이라고 읽는게 맞다.[8] PS1 버전에서는 이 이름 그대로 사용한다.[9] 무려 뒤에서 3위이다.[10] 모티브가 맞는지 차량 폴더 이름도 r5이다. 실제로 개발 당시에는 이름이 R5였고 데칼도 달랐다. #[11] 나머지 하나는 이것보다 훨씬 더 파격적인 Panga.[12] 물에 뜨는 몇안되는 차량이다.[13] 캐릭터의 이름이 잭(Jack)과 제즈(Jez)이다.[14] 꼴찌는 다름 아닌 루키 등급의 Phat Slug.[15] 정확히는 당시 개발사 중 하나였던 Iguana Entertainment의 마스코트.[16] Cougar,Panga가 공동 1위, AMW 2위.[17] 그것도 1.66m/s2로, 전체 차량 중에서도 뒤에서 세는 것이 빠를 정도로 가속도가 떨어진다.[18] 개발 당시에도 이름이 몇 번 바뀌었는데, 뒷부분이 Pot 또는 Pos였다.[19] 정확히 말하자면 미국에 있는 어클레임 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인 영국의 어클레임 스튜디오 런던에서 리볼트를 제작했다.[20] 1.2 패치 이후로는 뒤집혀도 성능이 동일한 채로 유지된다.[21] 다만 F1 키로 카메라를 조정하면 시점도 거꾸로 뒤집힌다.[22] PC 버전의 경우 패러미터 설정 시 Obtain에서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2로 바꾸면 된다.[23] 그립력, 빙판길 같은 미끄러운 지형 대처력, 흙길 같은 울퉁불퉁한 지형에서 중심을 잃지 않는 능력.[24] 속도 준수하고 무게도 무겁고 덩치가 커서 여러 차량들이 뒤섞여 휘말려 있을 때 체급으로 밀어버리는 장면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의외로 Phat Slug보다는 가볍다.[25] 팬들이 붙인 별칭은 RC Phink(RC 핑크).[26] Adeon이나 Dust Mite 등 다수의 차량을 디자인하였다.디자이너 홈페이지[27] BigvoltBossvolt는 드림캐스트 때 새로 추가된 것이므로 제외한다는 가정 하에.[28] 하지만 이 때문에 리페인트를 하기 쉬워 리페인트 하는 유저들에겐 리페인트 기반으로 꽤나 선호된다.[29] 다만 RVGL 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는 PC 버전으로 포팅된 RV Loco의 경우 제작자가 의도적으로 스펙을 조정했기 때문에 최고 속도가 낮아졌다.[30] 최고속도는 1 높은 40mph에 가속도는 무려 4.38m/s2. 가속도 높다는 원본이 3.45m/s2이다.[31] 영국 단어로 쇼핑 카트를 뜻한다.[32] 이렇게 표기되어 있지만 엔진 동력음이 출력된다.[33] 순정 CD 버전에서는 그냥 Clockwork로 표기된다.[34] One >> Wun[35] Two >> Too[36] Three >> Tree[37] 표기는 이렇지만 게임상에서는 태엽 소리가 난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리볼트|리볼트]]}}}{{{#!if external != "o"
[[리볼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리볼트?uuid=3ff10255-bc8b-42e0-b90d-51ae5a5c2b11|r123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리볼트?uuid=3ff10255-bc8b-42e0-b90d-51ae5a5c2b11#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리볼트?from=123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리볼트|리볼트]]}}}{{{#!if external != "o"
[[리볼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리볼트?uuid=3ff10255-bc8b-42e0-b90d-51ae5a5c2b11|r123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리볼트?uuid=3ff10255-bc8b-42e0-b90d-51ae5a5c2b1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리볼트?from=123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