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를 마시는 새의 등장인물 | ||||||
인간 | 도깨비 | 레콘 | 나가 | 기타 | ||
인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lightsteelblue,#20344f> 제국군 | 레이헬 라보 · 엘시 에더리 · 틸러 달비 · 시허릭 마지오 · 테룸 나마스 · 니어엘 헨로 · 커레이야 만스 · 다미갈 카루스 · 맥키 네미 · 가리아 릿폴 · 소람 퍼기스 · 릭 몰테이 | ||||
유료 도로당 | 게라임 지울비 · 시오크 지울비 · 마리번 도빈 · 데무즈 | |||||
하늘누리 | 사라말 아이솔 · 파라말 아이솔 · 지알데 락바이 · 락신 치올 · 도르 헨로 · 모디사 헨로 · 에스커 헬토 · 오니 보 · 쿠스 | |||||
백화각 | 두이만 길토 · 부냐 헨로 | |||||
규리하 | 정우 규리하 · 아이저 규리하 · 이이타 규리하 · 시카트 규리하 · 골케 남작 | |||||
발케네 | 락토 빌파 · 스카리 빌파 · 헤어릿 에렉스 · 팔리탐 지소어 · 소리 로베자 · 수핀 로베자 · 레드마 브릭 | |||||
시모그라쥬 | 팔디곤 토프탈 · 베로시 토프탈 · 아쉬존 토프탈 | |||||
비나간 | 홀빈 퍼스 · 마진 퍼스 · 레데른 퍼스 · 지키멜 퍼스 · 팩스벗 졸다비 | |||||
판사이 | 발리츠 굴도하 · 아이넬 굴도하 | |||||
기타 | 아실 · 제이어 솔한 · 이레 달비 · 지테를 시야니 · 우슬라 사르마크 · 아지엣 사카라 · 조프 엔킬더 · 세레지 파림 · 돔 · 코세 칸디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color: #000; min-height: 3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000> 태위 (太尉) | 사도 (司徒) | 천경유수 (天京留守) |
레이헬 라보 | 락신 치올 | 지알데 락바이 | |
}}}}}}}}}}}} |
1. 개요
피를 마시는 새의 인간 남성 등장인물.아라짓 제국의 삼고 중 하나인 태위[1]. 스스로를 녹슨 몸, 늙은 칼이라 평한다.
호방한 성격으로 장죽으로 담배를 피우는 애연가다.
2. 작중 행적
200만 제국군에 대한 전반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태위청의 수장이다. 집무실 벽에 사표를 휘갈겨 놓은 뒤,[2][3] 뛰쳐나간 이후 행적이 묘연하다. 하지만 그의 사직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기에 공식으로 태위청의 책임자는 여전히 레이헬 라보이다. 그 때문에 태위청의 업무들은 자연스레[4] 대장군 엘시 에더리에게 떠넘겨졌다. 이때문에 엘시도 골머리를 앓는다.[5]간간이 그의 사임요청서가 적힌 동물편지들이[6] 하늘누리에 도착하고 있는데, 그 동물의 서식지 분포를 통해 그가 제국을 주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치천제의 발케네 정벌이 이루어질 때는 날다람쥐에 편지를 써서 엘시가 남부군에 억류당해 있음을 그녀에게 알리기도 했다.[7]
규리하-발케네 전쟁이 벌어지려고 했을 때 살아있는 가물치에 원군을 보낸다는 글을 써서 정우와 엘시 에더리에게 보낸다. 그리고 사라티본 부대가 다가왔을 때 어느 이름없는 하늘치가 내려와 그들을 흩어버린다. 그러자 엘시와 다른 사람들은 그가 하늘치를 보냈다고 생각했고, 그 하늘치를 타고 제국군을 규합하러 떠난다.
사실 그의 사직은 일종의 위장이었다. 황제의 원대한 계획을 위해선, 반란을 꿈꾸지 않을 군 통수권자가 필요했고, 치천제는 현세와 동떨어진 삶을 살고 있는 군령자가 이에 적합하다는 판단을 내린다.[8] 그는 군령자 팔리탐 지소어의 앞에서 자살한 뒤, 팔리탐의 몸으로 전령한다.[9] 이후 황제와의 은밀한 거래를 통해[10] 레콘 부대를 육성하는 팔리탐을 도우며 그를 감시한다.
재등장하며 엘시에게 말하길, 그가 보낸 것은 하늘치가 아니었다. 다름 아닌 사라티본 부대 그 자체. 하늘치는 레이헬도 예상 못한 것이었으며 사라티본 부대를 데리고 그대로 엘시에게 귀순할 생각이었던 것. 결국 그 하늘치가 내려와서 사라티본 부대는 여전히 스카리 밑에 있게 된다.[11]
이후 팔리탐이 받아들인 레콘 팡탄의 영이 스카리 빌파를 죽이려 하자, 팔리탐은 자살을 통해 스카리를 지킨다. 그러니 전령 할 틈도 없었던 만큼 라보 태위를 포함한 모든 영들은 영적 죽음을 맞는다.
3. 여담
전작 눈물을 마시는 새의 괄하이드 규리하와 비슷한 점이 있다. 노장이라는 점과 화끈한 성격, 그리고 직책인 태위는 괄하이드가 초대 태위였다.[1] 과거 동아시아 관직 중 하나로, 군사 담당의 최고위 관직이다.[2] 그의 호방한 성품을 담은 명필로 유명하다.[3] 작중에서 이 행적이 어지간히 인상 깊은지, 작중에서 극한 스트레스에 몰린 실무자들 머리에 떠오르는 충동이 주로 레이헬을 따라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시로 엘시 에더리.[4] 대장군이 받는 서류사이에 몰래 태위청의 서류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이루어 진다.[5] 헌데 별 수 없는게, 태위의 업무는 하루도 처리하지 않을 수 없는데다 태위 바로 다음이 대장군이다. 때문에 엘시도 '태위의 업무를 대장군에게 보내는 것은 바르지 않습니다.' 라는 항의를 머릿속으로만 하고 묵묵히 수행한다.[6] 정확히 무슨 수를 쓴것인지 나오지는 않지만, 살아있는 동물의 몸에 붓으로 글씨를 써서 보냈다. 정신억압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나중에는 무려 살아있는 가물치에다 적기도 한다[7] 치천제는 정황상 시모그라쥬에 체제하던 위체 파림(세레지 파림의 아버지이며 데라시의 정보책 중 하나)을 이용하여 엘시를 구출하려 시도한 듯 하다. 이레 달비와 엘시가 끌고간 레콘 추격대, 그리고 그들이 원래 쫓던 지멘과 갈바마리를 비롯한 두억시니들의 도움은 예상 못했겠지만.[8] 황제가 낙점한 다른 삼고의 일원은 제이어 솔한과 아실이다. 엘시는 이를 듣고 실패하는 사도, 분리하는 유수, 죽은 태위라는 촌평을 내린다.[9] 전령한 다음 자신의 시체를 직접 바다에 던졌다고 한다. 참 희한한 기분이 들었다고. 이를 들은 엘시는 단순히 희한한 정도가 아니었을 거라고 생각했다.[10] 팔리탐은 어떻게 하더라도 황제와 맞서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때문에 내부에서 발케네의 점령을 돕는 대신, 빌파가문의 생존을 보장받는다.[11] 만약 정말 사라티본 부대가 엘시 밑으로 들어갔다면 확실히 굉장한 원군이 됐을 것이다. 뭐니 뭐니해도 가장 큰 레콘 집단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