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레고 비디오 게임 시리즈 일람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오리지널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1px" | <colcolor=#0f0f0f,#ddd>1990년대 레고 아일랜드(1997) · 레고 체스(1998) · 레고 크리에이터(1998) · 레고 로코(1998) · 레고 레이서(1999) · 레고 락 레이더(1999) · 레고랜드(1999) 2000년대 레고 크리에이터: 나이트 킹덤(2000) · 레고 스턴트 랠리(2000) · 레고 알파팀(2000) · 레고 아일랜드 2: 브릭스터의 복수(2001) · 레고 레이서 2(2001) · 레고 싸커 매니아(2002) · 레고 아일랜드 익스트림 스턴트(2002) · 드롬 레이서(2002) · 바이오니클 더 게임(2003) · 바이오니클 히어로즈(2006) 2010년대 레고 유니버스(2010) · 레고 시티 언더커버(2013) · 레고 키마의 전설 온라인(2013) · 레고 미니피규어 온라인(2014) · 레고 월드(2017) · 레고 브롤즈(2019) · 레고 빌더스 저니(2019) 2020년대 레고 레거시: 상자 속의 영웅들(2020) · 레고 브릭테일즈(2022) · 레고 2K 드라이브(2023) · 레고 보이저스(2025) · 레고 파티!(2025)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라이선스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color=#0f0f0f,#ddd>스타워즈 시리즈 레고 스타워즈: 더 비디오 게임(2005) · 레고 스타워즈 2: 더 오리지널 트릴로지(2006) · 레고 스타워즈: 컴플리트 사가(2007) · 레고 스타워즈 3: 클론 전쟁(2011) · 레고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2016) · 레고 스타워즈: 스카이워커 사가(2022) DC 코믹스 레고 배트맨: 더 비디오 게임(2008) · 레고 배트맨 2: DC 슈퍼히어로즈(2012) · 레고 배트맨 3: 비욘드 고담(2014) · 레고 DC 슈퍼빌런(2018) · 레고 배트맨: 레거시 오브 더 다크 나이트(2026) 마블 코믹스 레고 마블 슈퍼히어로즈(2013) · 레고 어벤져스(2016) · 레고 마블 슈퍼히어로즈 2(2017) 해리 포터 시리즈 레고 크리에이터: 해리 포터(2001) · 크리에이터: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2002) · 레고 해리 포터: 이어스 1-4(2010) · 레고 해리 포터: 이어스 5-7(2011) · 레고 해리 포터 콜렉션(2016) |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레고 인디아나 존스: 디 오리지널 어드벤처(2008) · 레고 인디아나 존스 2: 디 어드벤처 컨티뉴(2009) 디즈니/픽사 시리즈 레고 캐리비안의 해적: 더 비디오 게임(2011) · 레고 인크레더블(2018) 반지의 제왕 시리즈 레고 반지의 제왕(2012) · 레고 호빗(2014) 레고 무비 시리즈 레고 무비 비디오 게임(2013) · 레고 닌자고 무비 비디오 게임(2017) · 레고 무비 2 비디오 게임(2019) 레고 포트나이트 오디세이(2023) · 브릭 라이프(2024) · 탐험대(2025) 단일 게임들 갤리도어: 외부 차원의 수호자(2002) · 레고 쥬라기 월드(2015) · 레고 디멘션즈(2015) · 레고 호라이즌 어드벤처(2024) | }}}}}}}}}}}} |
| ||||||||||
비디오 게임 | → | 오리지널 트릴로지 | → | 컴플리트 사가 | → | 클론 전쟁 | → | 깨어난 포스 | → | 스카이워커 사가 |
레고 스타워즈 2: 더 오리지널 트릴로지 Lego Star Wars II: The Original Trilogy | |
<nopad>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개발 | Tt Games |
유통 | 루카스아츠 페럴 인터랙티브(OS X) THQ 와이어리스(J2ME) |
플랫폼 | 게임보이 어드밴스 | 닌텐도 게임큐브 | Microsoft Windows | 닌텐도 DS | PlayStation 2 | PlayStation Portable | Java | OS X |
장르 | 액션 어드벤처 |
출시 | GBA, GC, Windows, NDS PS2 PSP Java OS X |
엔진 | 자체 엔진 |
한국어 지원 | 미지원 |
심의 등급 |
1. 개요
TT 게임스에서 개발하여 2006년 9월 11일 출시된 레고 게임. 스타워즈의 오리지널 3부작(4~6)을 다루고 있다.2. 캐릭터 능력/역할군
- 블래스터 캐릭터
- 이 게임의 원거리 전투를 담당하는 역할군으로 블래스터로 멀리에 있는 적을 맞춰 피해를 입힌다.
- 와이어 그래플 건 지점을 사용해 고지로 이동하거나 낭떠러지를 건널 수 있다.
- 과녁을 맞춰 스테이지를 진행하는 기믹을 돌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 전작과는 달리 일부 주요 블래스터 캐릭터에게 자동 타겟팅 기능과 자동 총알 회피 기능이 추가 되었다.
- 블래스터 캐릭터를 포함한 일부 비(非)포스 능력자 캐릭터들에게 맨손 체술 능력과 낙법[1] 기능이 추가 되었다.
- 낙법시전 후 3점사 공격으로 연계가 가능하다.
- 아스트로맥 드로이드
- R2-D2 와 R2-Q5가 속하는 역할군으로 아스트로맥 드로이드 패널을 조작할 수 있으며 발에 제트 엔진으로 잠시동안 공중 부유도 가능하다. 덤으로 패널을 조작하는 단자를 다른 드로이드들에게 테이저 건 처럼 사용해 경직을 먹일 수 있다.
- 프로토콜 드로이드
- C-3PO와 TC-14이 속한 역할군으로 프로토콜 드로이드 패널을 조작할 수 있는게 유일한 기능이다. 이동속도가 느리고 점프도 불가능해 프로토콜 드로이드가 출연하는 스토리 모드 스테이지 퍼즐 기믹 중 상당수가 프로토콜 드로이드 파트너를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으로 이루어져있다.
- 제다이
- 광선검을 사용할 수 있어 이 시리즈의 근접전 전투를 담당하는 역할군이다.
- 지상 3단 콤보과, 1단 점프 공격, 그리고 2단 점프 공격이 있는데 2단 점프 공격은 광역기 판정이며, 1단 점프 공격, 2단 점프 공격 모두 상대방의 가드를 무시하는 판정을 가지고 있다.
- 가드[2]로 지상 광선검 공격을 막아내거나 블래스터 탄환을 튕겨낼 수 있으며, 저스트 가드를 하면 블래스터 볼트로 쏜 사람을 향해 도로 반사시킬 수 있다.
- 지상 평타를 저스트 입력을 하면 3단 콤보의 마지막 일격이 가불기 판정을 가지게 되며 일반 잡몹을 상대로는 즉사 판정까지 가지게 된다.
- 포스 점프[3]가 가능해 일반 캐릭터 보다 높은 곳에 도달할 수 있다.
- 반짝이는 효과가 나타나는 사물들을 포스로 이용해서 움직이거나 변형시킬 수 있다.
- 스톰트루퍼계열 몹을 상대로 포스를 이용해 헬멧을 반대 방향으로 돌려버려 잠시 행동 불능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여타 잡몹을 상대로는 제다이 마인드 트릭으로 경직 상태로 만들 수 있다.
- 아동형 캐릭터
- 프리퀄 시리즈의 아나킨 스카이워커 (boy)와 보바 펫, 오리지널 시리즈의 자와, 어그노트, 이워크, 등이 속하는 역할군으로 소형 통로를 드나들 수 있다. [4]
- 자와와 어그노트는 아스트르로맥 드로이드가 사용하는 테이저 건을 사용하며, 이워크는 독자적인 무기군인 슬링샷을 사용한다.
- 이번 타이틀에서 추가적으로 요다도 아동형 캐릭터 기믹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었다.
- 시스
- 제다이의 모든 능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제다이는 상호작용 불가능한 빨간색으로 반짝이는 다크 사이드 물질까지 포스로 조작이 가능하다.
- 다스 베이더는 포스 쵸크로, 펠퍼틴 황제는 포스 라이트닝으로 인간 및 기타 외계인 잡몹을 즉사시킬 수 있다.
- 여담으로, 무려 루크 스카이워커 마저(!) 포스 초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오로지 가모리안 병사에게만 사용할 수 있다. [5]
- 제국군
- 블래스터 캐릭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제국군 패널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 각종 스톰트루퍼 병력과 윌허프 타킨을 비롯한 제국군 장교들, 그리고 각종 제국군 비행 조종사들이 이 캐릭터군에 속한다.
- 스톰트루퍼가 이 게임에서 특히 개그캐 속성이 과장되어 다이빙 점프시 여타 블래스터 캐릭터 와는 다르게 낙법을 제대로 취하지 못하고 우스꽝스럽게 땅바닥에 철퍼덕하고 맨땅에 헤딩을 한다.훈련상태가 개판이네. 근데 한편으로는 영화와는 달리 총은 또 귀신 같이 잘 쏜다는 게 함정
- 덤으로, 다스 베이더와 펠퍼틴 황제도 제국군 패널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 바운티 헌터
- 이번 타이틀에 신규 추가된 역할군으로 블래스터 캐릭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바운티 헌터 패널과 상호작용 수 있다.
- 모두 공통적으로 수류탄 계열 무기인 서멀 데토네이터 사용할 수 있어 은색 레고 사물을 파괴할 수 있다.
- 보바 펫은 2단 점프 대신 제트팩을 이용해 아스트로맥 드로이드처럼 체공할 수 있으며, 한 발에 2점씩이나 깍이는 대구경 소총을 가지고 있어 평타 딜링 또한 일반 블래스터 캐릭터의 2배다.
- IG-88과 4-LOM모두 추가적으로 아스트로맥 드로이드와 프로토콜 드로이드 패널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드로이드 답지 않게 점프, 자동 타겟팅, 자동 회피가 가능하다. 거기에다 4-LOM은 보바 펫과 같은 대구경 소총을 사용한다.
- 포스의 영
- 제다이의 모든 능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완전무적이며 적들의 어그로를 끌지 않는 이 게임 최고의 사기 캐릭터 역할군이다.
- 특이하게 아니킨의 포스의 영 형태는 테이저 건으로부터 경직을 당한다.
- 새로 추가된 공통 기능
- 레고 블록 조립: 땅바닥에 널부러져 있는 레고 블록을 조립하는 스테이지 기믹과 상호작용.
- 사물 밀기 기믹: 특정 격자 무늬 패턴 구간에서 레고 상자를 의도하는 위치로 옮기는 기믹.
- 변장 기믹: 헬멧 보급대에서 스톰트루퍼나 바운티 헌터의 헤멧을 착용해 해당 역할군의 특수 기믹[6] 을 시용할 수 있게 한다.
- 드로이드들은 위의 기믹과 싱호작용이 불가능하다.
하이점프 캐릭터
- 이번 타이틀에서 삭제된 기능이다.
3. 캐릭터
- 레고 스타워즈의 등장인물 전원[7]
- 레아 오르가나 (호스, 베스핀, 프리즌너, 보우쉬, 노예, 엔도)
- 레이무스 안틸레스
- 레벨 프렌드
- R2-D2
- C-3PO
- 루크 스카이워커 (스톰트루퍼, 호스, 파일럿, 대고바, 베스핀, 제다이, 엔도)
- 오비완 케노비 (포스의 영)
- 한 솔로 (스톰트루퍼, 후드, 호스, 스킵, 엔도)
- 츄바카
- 요다
- 랜도 칼리시안 (왕궁 친위병)
- 위켓
- 다스 베이더
- 레벨 트루퍼
- 스톰트루퍼
- 터스켄 약탈자
- 빕 포르투나
- 보바 펫
- 다스 시디어스
- 기얼 아크바
- 포스의 영 아나킨 스카이워커
4. 여담
전작과 컴플릿 사가에서는 특정 라디오를 만들어서 작동시키면 스타워즈 메인테마를 리믹스한 곡이 나오지만 이 게임은 라디오를 완성 시킬시 스타워즈:포스 커맨더의 임페리얼 마치가 나온다.팰퍼틴이 약간 버프를 먹었다. 전작에서 없던 포스 라이트닝 능력이 플레이어 할 때 새로 추가됐다.
만달로리안 부자의 제트팩이 약간 바뀌었다.[8]
판본, 지역, 기기 버전에 따라서 심의 등급이 다르다. 3+, E등급인 경우도 있고, E10+인 경우도 있다.
PSP 버전에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는데, 2GB 이상을 초과한 4GB나 8GB같은 용량을 가진 메모리카드를 사용하면 저장 기능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이 게임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최대 2GB를 넘지 않는 메모리카드를 사용해야 한다. 해외 포럼을 찾아보면 이에 대한 글이 상당히 많다.
[1] 제다이 2단 점프와는 달리 위로 점프하지 않고 전방으로 다이빙 후 앞구르기로 연계하는 특이한 2단 점프를 한다.[2] 공격 버튼 홀드.[3] 2단 점프.[4] 아이러니하게 당시 레고사에서 1편 완구를 출시할 당시 아동형 미니 피규어 다리가 없던 시절로 1편 아나킨은 성인 미니 피규어 체형을 갖고 있다. 그 외에 아동형 캐릭터들은 모두 정상적으로 아동형 체형을 가지고 있다.[5] 영화 6편에서 자바 더 헛의 저택에 침입해 들어오는 루크의 첫 등장신에 대한 오마주로 보인다.[6] 제국군/바윤티 헌터 패널, 서멀 데토네이터[7] 일종의 DLC로, 전작을 기기내에 세이브 파일에 저장하고, 상점에서 EXTRA에서 Use old save를 사서 활성화 하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전작에서 해금해두지 않은 캐릭터들은 사용 불가능이다. 전작의 이식작이 안나온 PSP판은 자바 더 헛이 그려진 문에서 에피소드 1,2,3의 최종 스테이지들을 플레이 해서 몰, 오비완, 콰이곤, 두쿠, 2편과 3편의 아나킨을, 나머지는 각 정규 스테이지의 챌린지를 통해서 구할 수 있다.[8] 기능이 기존의 무한 부양에서 아스트로멕 드로이드처럼 바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