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 전쟁·전투 | 교전국 | |
| <colbgcolor=#004DB1,#0e0f34> 몽골-서하 전쟁 ,1205 ~ 1227, | 서하 | ||
| 몽골-금 전쟁 ,1211 ~ 1234, | <colbgcolor=#004DB1,#0e0f34> 오사보 전투·야호령 전투·회하보 전투 ,1211, | 금나라 | |
| 대창원 전투 ,1229, | |||
| 도회곡 전투 ,1231, | |||
| 삼봉산 전투 ,1232, | |||
| 몽골-호라즘 전쟁 ,1219 ~ 1221, | 파르완 전투 ,1221, | 호라즘 왕조 | |
| 제베와 수부타이의 서부 원정 ,1220 ~ 1223, | 칼가강 전투 ,1223, | ||
| 여몽전쟁 ,1231 ~ 1259, | |||
| 몽골 제국의 서방 원정 ,1236 ~ 1241, | 레그니차 전투 ,1241, | ||
| 모히 전투 ,1241, | 헝가리 왕국 | ||
| 몽골-남송 전쟁 ,1235 ~ 1279, | 단평의 입락 ,1234, | 남송 | |
| 악주 전투 ,1258, | |||
| 조어성 전투 ,1259, | |||
| 정가주 전투 ,1275, | |||
| 양양 공방전 ,1235~1273, | |||
| 애산 전투 ,1279, | |||
| 삼별초의 난 ,1270 ~ 1273, | |||
| 아인 잘루트 전투 ,1260, | |||
| 원나라의 일본 원정 ,1274, 1281, | |||
| 원나라의 베트남 원정 ,1257, 1284, 1287, | 쩐 왕조 | ||
| 차가타이 칸국의 인도 원정 ,1298~1306, | }}}}}}}}} | ||
| 도회곡 전투 倒回谷 戰鬪 | ||
| 몽골-금 전쟁의 일부 | ||
| <colbgcolor=#2e8b57,#251327><colcolor=#ece5b6> 시기 | 1231년 (금나라 애종 8년) 1월 | |
| 장소 | 도회곡 (現 중국 산시성 일대) | |
| 교전국 | <rowcolor=black> 금 (수세) 승 | 몽골 (공세) 패 |
| 주요 인물 | 지휘관 [[금나라| 大金 ]] 완안진화상[[금나라| 大金 ]] 완안합달[[금나라| 大金 ]] 이랄포아 | 지휘관 |
| 병력 | 금나라군: 11,000명 | 몽골군 기병: 100,000명 |
| 피해 | 피해 규모 불명 | 궤멸에 가까운 피해 |
| 결과 | 금나라의 대승 ㆍ 금나라가 거둔 몽골-금 전쟁에서의 두 번째 승전 | |
1. 개요
1231년 1월 금나라의 완안진화상이 도회곡(현 산시성 일대)에서 우량카이 수부타이가 이끄는 몽골군을 격파한 전투이다. 대창원 전투와 같이 몇 안 되는 금나라의 승전이자 몇 안 되는 수부타이의 굴욕이었다.2. 전투 경과
몽골의 명장 수부타이는 동관 공격에 실패한 뒤, 동관 남부의 언덕에 위치한 도회곡을 통해 허난성 서부(현 싼먼샤시 루스현 일대)로 진로를 바꾸었다.동관을 우회하는 데 성공 직전, 수부타이는 완안진화상이 지휘하는 금나라군을 맞닥뜨리게 되었다. 이 금나라군은 충효군 1,000명과 정규군 10,000명으로, 총 11,000명에 달했다.
수부타이는 신속한 기동전으로 금군을 압박하려 했으나, 완안진화상은 산악 지형을 활용한 방어 진형을 구축하고 몽골군의 돌격을 유도했다. 금군의 충효군은 정예 기병대로 몽골군 선봉을 집중 공격했고, 후방에서는 궁수와 보병 부대가 측면과 후방을 봉쇄하며 반격에 나섰다. 치열한 근접전 끝에, 금나라군은 몽골군의 중앙과 선봉을 격파하며 전열을 무너뜨렸다.
상황이 급변하면서 몽골군은 지휘 계통이 붕괴됐고, 산악지대의 협곡에서 방어하던 금군이 몽골군을 각개격파시켰다. 수부타이의 군은 결국 궤멸 상태에 이르렀고, 수부타이 본인도 간신히 후퇴하는 데 성공했다. 몽골군의 잔존 병력은 허난·산시 일대에서 퇴각하여, 금나라가 전쟁 중 보기 드문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3. 여담
위에서 언급했듯이 몽골 제국의 레전드급 명장이었던 우량카이 수부타이의 몇 안 되는 패전[1]으로 이때 오고타이 칸이 수부타이를 질책하고, 이를 툴루이가 말렸다는 기록이 있다.[2]한편 대승을 거둔 완안진화상은 말 그대로 금나라의 구세주이자 영웅이 되었으며, 이 공으로 어모 중랑장까지 승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