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21:48:44

다륭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CF08A,#FFB6D9><tablebgcolor=#3B3A36><tablecolor=#FCF08A,#FFB6D9> 녹정기 鹿鼎記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2px"
저자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김용(金庸)
등장인물
주인공 7명의 부인
위소보
쌍아 · 아가 · 건녕공주
목검병 · 증유 · 방이 · 소전
<rowcolor=black,#f1f1f1> 파일:청나라 국기.svg 대청국 천지회
강희제 · 황태후 · 해대부 · 오배 · 걸서 · 색액도 · 다륭 · 시랑 · 장용 · 왕진보 · 손사극 · 조양동 · 장강년 · 조제현 · 서동 · 오지영 진근남 · 오륙기 · 서천천 · 현정도인 · 풍제중 · 전노본
철검문 신룡교
구난사태 · 아기 · 도홍영[A] 홍안통 · 모동주 · 유연 · 육고헌 · 반두타 · 수두타 · 등병춘 · 종지령 · 장담월 · 무근 · 허설정 · 은금
목왕부 화산파
목검성 · 유대홍 · 오립신 · 유일주 · 오표 · 백한풍 · 백한송 귀신수 · 귀이랑 · 귀종 · 하척수
소림사 청량사
회총 · 징관 · 징심 · 징통 징광 · 옥림 · 행치 · 행전
평서왕부 동녕국
오삼계 · 오응웅 · 하국상 · 양익지 · 마보 · 노일봉 정극상 · 풍석범
한족 유학자 기타 인물
고염무 · 황종희 · 여유량 · 사계좌 · 명사안 위춘방 · 모십팔 · 장씨 부인 · 진원원 · 이자성 · 소피아 · 갈이단
2차 창작
영화
녹정기 (1983) · 녹정기 시리즈 (1992)· 마등출영 (1993)
드라마
녹정기 (1977) · 녹정기 (1984 / 홍콩) · 녹정기 (1984 / 대만) · 녹정기 (1998) · 소보와 강희 (2000) · 녹정기 (2008) · 녹정기 (2014) · 녹정기 (2020)
[A]: 도홍영은 철검문 제자는 아니나, 구난사태의 공주 시절 궁녀로서 그의 지시를 충실히 따르므로 같은 칸에 표기함. }}}}}}}}}
녹정기의 등장인물
다륭
多隆 / Duōlóng
[1]
파일:녹정기 드라마 2020 다륭.jpg
드라마 〈녹정기 2020〉의
다륭(류차오(刘超) 분)
<colbgcolor=#3B3A36><colcolor=#FCF08A,#FFB6D9> 성별 남성
민족 만주족
소속 파일:청나라 국기.svg 대청국
관직 어전시위 총관
등장작품 - 소설 《녹정기(원작)
- 각종 2차 창작 작품
1. 개요2. 특징3. 2차 창작

[clearfix]

1. 개요

多隆

소설 《녹정기》의 등장인물.

어전 시위 총관. 현대로 치면 경호실장. 외공을 극강까지 익힌 고수이고 강희제에게 충성스러운 신하이다. 위소보와도 호형호제 하는 사이이다.

2. 특징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녹정기 영화 1992 다륭.jpg
<rowcolor=#FCF08A,#FFB6D9> 영화 〈녹정기 시리즈(1992)에서의 모습
(진백상(陳伯祥) 분)

위소보의 관직이 어전시위 부총관이었는데 다륭과도 친밀하다. 위소보에게 잘 대해줬지만 결국 위소보가 도망치기 위해 뒤에서 찔러버린다. 이는 천지회 동지들과의 의리를 위해 그동안 자신에게 잘 대해줬던 다륭을 배신한 것이라 위소보 역시 자신이 저지르고도 몹시 괴로워했다. 작품 전체의 이야기로 보면 그동안은 간단한 거짓말이나 속임수로 유지할 수 있었던 위소보의 양다리 걸치기가 이제부터는 쉽지 않은 일이 될 것임을 보여주는 기점이기도 하다.

하지만 사실 심장이 보통 사람과 반대방향에 있어 안죽고 살아남았고 강희제이 자객에게 뒤에서 습격받은 걸 위소보 덕분에 살아남은거라고 거짓말 해준 덕분에 훈훈하게 잘 마무리된다.

3. 2차 창작

영화 〈녹정기 시리즈〉에서 최대 수혜자 중 한 사람. 주요 조연으로 격상되어 위소보와 함께 개그 콤비로 활약하지만, 녹정기 2편에서는 위소보를 신룡교 교주 용아에게 넘겨버렸다가 살아서 돌아온 위소보로부터 보복으로 천지회 운남분타를 찾아내라는 가짜 명령을 받고 평서왕부에 들어가서 반청복명 주살오삼계를 등에 새겨놓고 그걸 암호랍시고 보여줬다가 죽도록 맞는 수모를 겪는다.

이후 위소보가 풍석범을 죽이고 모십팔과 바꿔치기하자 이를 강희제에게 고변하면서 끝까지 배신해버린다. 비중과 캐릭터성을 교환한 셈. 다만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어 첨언하자면, 1편의 오배나 2편의 풍석범같은 악역은 절대 아니다. 2편 중반의 배신은 개그씬에 가까운 것이며 오히려 영화 후반 풍석범을 모십팔과 바꿔치기할 수 있도록 조력을 제공한 인물이 바로 다륭이다.[2]

또한 위소보가 풍석범을 죽인 것을 고변한 것도 오랜 친구였던 강희제와 위소보가 오해를 풀고 작별인사 정도는 할 수 있게 한 다륭 나름의 배려이다[3]

1984년판 드라마 배우는 허소웅이다.


[1] 광동어 윳팽으로는 'do1 lung4'이다.[2] 이는 모십팔과 뒤바뀐 풍석범을 처형장으로 압송하는 사람이 바로 다륭이라는 점에서 알 수 있다. 만약 진짜로 위소보를 배신한 것이었다면 오히려 이때 풍석범과 모십팔이 바뀌었다는 것을 고변해서 이를 막았을 것이다.[3] 원작 소설에서는 이보다 비중이 작지만, 대역죄로 처형당할 모십팔을 어떻게든 구해내려 하는 위소보를 탓하지 않고 '동생이 강호 친구들과의 의리를 중시하는 것에는 이 형도 탄복하지만, 대역죄인을 구해내려 하면 너까지 같은 죄인이 된다'고 타일러 만류하기만 하는 것을 보면 그 역시 무공 고수로써 강호의 규칙을 무시하지는 않는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원작에서 결국 이소보가 바꿔치기에 성공하는 것 역시 얄팍한 속임수를 쓴 것 뿐인데도 맥없이 성공했다는 점에서 다륭이 알면서도 모른척해준 것은 아닌가 의심되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이 부분은 명시된 것은 아니라 확신할수는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