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0 21:56:19

남남에서 넘어옴
한글 유니코드 B0A8 완성형 수록 여부 O
구성 ㄴ+ㅏ+ㅁ 두벌식QWERTY ska 세벌식 최종–QWERTY hfz

1. 2. 3. 藍
3.1. 염료의 재료로 쓰이는 한해살이풀
4. 타인을 일컫는 말5. нам6. 한국의 성씨7. Nam8. 한국의 이름

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쪽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쪽#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쪽#|]]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남자의 약칭. 남탕, 훈남 등의 단어의 어근이며, 장남, 차남과 같은 단어의 어근으로 쓰일 때에는 아들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3.

남색을 가리키는 말. 남빛. 단어의 형태로는 잘 쓰지 않는다.

3.1. 염료의 재료로 쓰이는 한해살이풀

보통 으로 부르는 식물이다. 청출어람이라는 단어의 어근으로도 쓰인다.

4. 타인을 일컫는 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남남'''{{{#!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웹툰}}}에 대한 내용은 [[남남(웹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남남(웹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남남(웹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남남(드라마)]]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남남(드라마)#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남남(드라마)#|]]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환희와 메이다니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남남(노래)]]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남남(노래)#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남남(노래)#|]]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웹툰: }}}[[남남(웹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남남(웹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남남(웹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드라마: }}}[[남남(드라마)]]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남남(드라마)#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남남(드라마)#|]]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환희와 메이다니의 노래: }}}[[남남(노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남남(노래)#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남남(노래)#|]]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세 가지 의미가 존재한다.
  1. 자기 자신을 제외한 다른 사람[1]
  2. 가족(친척)을 제외한 다른 사람[2]
  3. 특정 집단이나 관계에 속하지 않거나 모종의 이유[3][4]로 그러한 관계가 서로 틀어진 사람. 흔히 이를 남남이라고 부른다.

아래 예문에 있는 '우리가 남이가'는 2번 또는 3번 뜻으로 쓰이는 경우이며 '남 탓한다'의 남은 1번에 해당한다.

1번 뜻으로 보면 일가친척 구성원끼리도 엄밀히 말하면 남이다. 2번은 3번에서의 ‘특정 집단’을 일가친척으로 한정한 것으로 일가친척을 제외한 친구, 지인, 사제지간, 연인, 이웃 등이 해당된다. 3번은 2번마저도 속하지 않는 개념에 해당된다. 서로 초면 및 친하지 않은 사이, 일면식도 없는 사이가 주로 해당되지만 손절이나 결별 등으로 특정 관계가 틀어진 경우도 해당된다.[5]

한국에서는 2번의 의미를 포함하지 않고 1번의 의미만 가진 적절한 단어를 찾기 힘들기 때문에, 가족에게 1번의 의미로 말한 사람에게 가족 등이 2번의 의미를 적용하여 "우리가 남이냐" 하고 말하는 경우가 많아 언어생활의 혼동이 야기되곤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문영어로는 others로 쓰인다.

5. нам

러시아어의 1인칭 속격 대명사. мы - нас - нам - о наc - на́ми (주격 - 대격 - 속격 - 여격 - 전치격 - 조격)

'우리(들)에게'를 뜻하는 러시아어 1인칭 복수 мы의 속격이다.

6. 한국의 성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성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성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성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Nam

구어베트남을 뜻하는 단어. 네오지오 1번째 게임 남 1975 (Nam 1975)의 Nam이 이 의미다.

8. 한국의 이름

주로 남성에게 쓰이며, 간혹 여성에게도 쓰인다.
[1] 가족 앞에서 남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경우 이런 의미다.[2] 보통은 이런 의미다. 법적으로 팔촌까진 남이 아니다.[3] 부부간의 이혼, 친구끼리의 절교 또는 졸업 후 뿔뿔이 흩어지는 경우, 일가친척 및 지인과의 손절, 연인끼리의 결별 등[4] 친구는 초등학교, 대학교가 주로 해당된다. 초등학교는 계속 연락을 해 왔거나 중, 고등학교 시절까지 같은 학교 출신이 아닌 이상 관계를 유지하기 힘들고 대학교는 군입대나 자발적 아싸, 취업 등으로 각자의 길을 걸어가는 게 다반사이다.[5] 다만 이러한 경우는 영원히 쌩까는 게 아닌 이상 당사자끼리 특정 사건에 대해서 서로 화해하고 원만히 해결하여 예전처럼 다시 사이가 가까워지면 해당되지 않는다. 물론 케바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