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타지마동요해 (2025) 哪吒之魔童闹海 Ne Zha 2 | |
| |
<colbgcolor=#244b5c,#010101><colcolor=#f9be4a,#e0e0e0> 장르 | 애니메이션, 판타지 |
감독 | 교자 |
각본 | |
제작 | |
주연 | |
음악 | |
주제곡 | |
제작사 | |
배급사 | |
개봉일 | |
화면비 | 2.39:1 |
상영 시간 | 143분 |
제작비 | 8,000만 달러 |
월드 박스오피스 | $2,000,814,256 (2025년 9월 1일 기준) |
북미 박스오피스 | $23,251,218 |
중국 박스오피스 | $1,950,623,658 |
상영 등급 | 미정 |
공식 홈페이지 |
1. 개요
중국의 애니메이션 영화. 〈나타지마동강세〉의 후속작이다. 마동강세 편처럼, 마동요해(魔童鬧海)는 '마귀(魔) 아이(童)가 바다(海)를 시끄럽게(鬧) 하다'라는 뜻이다. 적당히 의역하면 '악동 나타의 바다 소동'. 약칭으로 나타 2 혹은 너자 2(哪吒2)로 많이 불린다.2. 포스터
3. 예고편
4. 시놉시스
5. 등장인물
- 나타 - 루얀팅 / 크리스털 리
- 오병 - 한모 / 알렉스 리
- 은씨 - 뤼치 / 양자경
- 이정 - 천하오 / 빈센트 로드리게스 3세
6. 줄거리
7.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IMDb=tt34956443, IMDb_user=8.1,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ne_zha_2, 로튼토마토_tomato=96, 로튼토마토_popcorn=99,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ne-zha-2, 메타크리틱_critic=63, 메타크리틱_user=8.2,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ne-zha-2, 레터박스_user=4.1,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1000017478, 알로시네_presse=3.4, 알로시네_spectateurs=4.2,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MYmoviesit=2025/ne-zha-2, MYmoviesit_MYMOVIES=없음, MYmoviesit_CRITICA=없음, MYmoviesit_PUBBLICO=없음,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6944852, 키노포이스크_user=7.9,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도우반=34780991, 도우반_user=8.5,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Ollm8y, 왓챠_user=3.4, ## 왓챠_highlight=display,
TMDB=980477, TMDB_user=81,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ne-zha-2, 무비파일럿_user=7.4,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MyAnimeList=60544, MyAnimeList_분야=anime, MyAnimeList_user=8.46,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중국 영화다 보니 개봉을 하지 않고 있는 국가가 많아 모든 국가의 사이트들에 "나타지마동요해의 흥행" 관련 기사를 써야하다 보니 항목은 생성돼 있는데 극장 개봉이 안 돼 평점이 없는 사이트가 많다.
8. 흥행
8.1. 월드와이드
8.1.1. 관련 기록
전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 TOP 1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 순위 | 제목 | 개봉 연도 | 제작국 | 박스오피스 |
1위 | 아바타 | 2009년 | 미국 | 29억 2,370만 달러R | |
2위 | 어벤져스: 엔드게임 | 2019년 | 미국 | 27억 9,943만 달러R | |
3위 | 아바타: 물의 길 | 2022년 | 미국 | 23억 2,025만 달러 | |
4위 | 타이타닉 | 1997년 | 미국 | 22억 6,475만 달러R | |
5위 | 나타지마동요해 | 2025년 | 중국 | 21억 5,000만 달러C | |
6위 |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 2015년 | 미국 | 20억 7,131만 달러 | |
7위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 2018년 | 미국 | 20억 5,241만 달러 | |
8위 |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 2021년 | 미국 | 19억 2,259만 달러R | |
9위 | 인사이드 아웃 2 | 2024년 | 미국 | 16억 7,513만 달러 | |
10위 | 쥬라기 월드 | 2015년 | 미국 | 16억 7,153만 달러 | |
C: 상영 중, R: 재상영 포함 | |||||
같이 보기: 전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물가상승률 적용), 틀:전 세계 영화 프랜차이즈 박스오피스 | |||||
출처1 출처2 |
전 세계 애니메이션 영화 흥행 Top 1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ff,#373a3c> 순위 | 제목 | 개봉 연도 | 감독 | 제작국 | 장르 | 박스오피스 |
1 | 나타지마동요해 | 2025년 | 교자 | 중국 | 판타지 | $2,146,639,678 | |
2 | 인사이드 아웃 2 | 2024년 | 켈시 만 | 미국 | 드라마, 성장, 코미디 | $1,698,863,816 | |
3 | 겨울왕국 2 | 2019년 | 크리스 벅, 제니퍼 리 | 미국 | 판타지, 뮤지컬, 가족 | $1,451,653,316 | |
4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 2023년 | 아론 호바스, 마이클 제레닉 | 미국, 일본 | 코미디, 액션, 어드벤처 | $1,359,146,628 | |
5 | 겨울왕국 | 2013년 | 크리스 벅, 제니퍼 리 | 미국 | 판타지, 뮤지컬, 가족 | $1,271,023,300 | |
6 | 인크레더블 2 | 2018년 | 브래드 버드 | 미국 | 슈퍼히어로, 가족 | $1,242,805,359 | |
7 | 미니언즈 | 2015년 | 카일 발다, 피에르 코팽 | 미국 | 코미디, 가족 | $1,157,271,759 | |
8 | 토이 스토리 4 | 2019년 | 조시 쿨리 | 미국 | 가족 | $1,071,177,215 | |
9 | 토이 스토리 3 | 2010년 | 리 언크리치 | 미국 | 코미디, 판타지, 가족 | $1,068,879,522 | |
10 | 모아나 2 | 2024년 | 데이비드 데릭 주니어 外 | 미국 | 가족, 어드벤처, 판타지 | $1,059,242,164 | |
출처: The Numbers, 중국 기준일: 2025년 5월 4일 | }}}}}}}}} |
2025년 개봉 영화 전 세계 박스오피스 Top 1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ff,#373a3c> 순위 | 제목 | 감독 | 제작국 | 장르 | 박스오피스 |
1 | 나타지마동요해 | 교자 | 중국 | 애니메이션, 판타지 | $2,000,944,213 | |
2 | 릴로 & 스티치 | 딘 플라이셔 캠프 | 미국 | 가족, 모험 | $1,037,450,363 | |
3 | 마인크래프트 무비 | 자레드 헤스 | 미국 | 모험, 액션, 판타지 | $957,949,195 | |
4 |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 가렛 에드워즈 | 미국 | 스릴러, 액션, 어드벤쳐 | $867,920,435 | |
5 |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 소토자키 하루오 | 일본 | 애니메이션, 액션 | $637,034,002 | |
6 | 드래곤 길들이기 | 딘 데블로이스 | 미국 | 모험, 액션, 판타지 | $635,759,549 | |
7 | F1 더 무비 | 조셉 코신스키 | 미국 | 드라마, 스포츠 | $628,827,111 | |
8 | 슈퍼맨 | 제임스 건 | 미국 | 슈퍼히어로, 액션, SF | $615,984,465 | |
9 |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크리스토퍼 맥쿼리 | 미국 | 액션, 첩보, SF | $591,353,074 | |
10 |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 맷 샤크먼 | 미국 | 슈퍼히어로, 액션, SF | $521,689,087 | |
출처: The Numbers, 기준일: 2025년 10월 12일 | }}}}}}}}} |
역대 전 세계 10억 달러 흥행 돌파 영화 | ||||
2024 모아나 2 10.59억 달러 | → | 2025 나타지마동요해 20억 달러[기준] | → | 2025 릴로 & 스티치 집계 중 |
역대 전 세계 20억 달러 돌파 영화 | ||||
2022 아바타: 물의 길 23.20억 달러 | → | 2025 나타지마동요해 20억 달러[기준] | → | 미정 |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the numbers entgroup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전 세계 | 2025년 1월 29일 | $2,146,639,678 | 2025년 5월 4일 |
개별 국가 (개봉일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 2025년 1월 29일 | $2,153,310,000 | 2025년 6월 27일 |
| 2025년 2월 13일 | $4,819,396 | 2025년 4월 27일 |
| 2025년 2월 13일 | $970,308 | 2025년 4월 6일 |
북미 | 2025년 2월 14일 | $20,858,156 | 2025년 4월 5일 |
| 2025년 2월 22일 | $7,327,452 | 2025년 4월 13일 |
| 2025년 3월 21일 | $1,596,106 | 2025년 3월 23일 |
| 2025년 3월 27일 | $568,260 | 2025년 3월 30일 |
8.1.2. 누적 흥행 관련 내용
중국 영화 최초로 10억 달러의 흥행을 돌파했으며, 약 16억 6천만 달러의 성적을 거둔 〈라이온 킹〉을 제치고 중국 영화 최초로 전 세계 영화 흥행 역대 10위권에 진입했다. 또한 약 16억 9,800만 달러의 성적을 거둔 〈인사이드 아웃 2〉를 제치고 전 세계 애니메이션 영화 흥행 1위를 달성했다. 이후 개봉 6주 차에 20억 달러의 흥행을 돌파하며 중국 영화 최초, 애니메이션 영화 최초 등 각종 분야로서의 기록을 세웠다.그러나 전술한 기록을 정말로 의미 있는 '월드 와이드 흥행기록'이라 부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의견도 많다. 중국 내수 흥행이 전체 흥행의 99% 이상에 달하는[3] 특성상 중국인이 아니면 존재조차 모르는 영화이기 때문. 또한 최근 대두되는 중국의 국수주의 바람에 힘입어[4] 중국 내부에서 진행된 학교, 회사 등의 단체 관람 덕에 특수하게 급증한 흥행을 기록한 것도 감안해야 할 사안 커뮤니티 요약 실제 기업 단체관람 사례1 사례2 미국 유학생 단체관람 사례1 사례2 일부 중국인들은 자발적으로 사비를 털어 티켓을 대량 구매하여 단체 관람을 동원했다. # 그 외에도 애국주의 마케팅에 힘입어 N차 관람과 표 사재기 등이 난무하고 있다.#
한편 이번에야말로 중국 영화 최초 연도별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할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앞서 2020년 중국은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의 수혜를 받아 약 4억 7,000만 달러의 성적을 거둔 〈800〉으로 2020년 흥행 1위를 달성했지만 이듬해까지도 상영을 이어 가며 5억 달러의 흥행을 돌파한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5]에게 결국 밀려났고, 2021년에는 약 9억 달러의 성적을 거두며 당시 중국 영화 역사상 최대의 흥행을 달성한 〈장진호〉로 1위를 달성해 보나 했지만 연말 개봉해 약 19억 달러의 성적을 거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에게 밀려 또 다시 콩라인이 된 전적이 있다.
어찌됐건 흥행의 규모 자체는 사실이기 때문에 다른 해였다면 연도별 1위를 확실시할 수 있었겠지만, 하필 연말에 남은 작품이 〈아바타: 불과 재〉라서 1위를 확신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반대로 〈아바타: 불과 재〉 쪽에서도 아무리 흥행을 낮게 잡는다 한들 2025년 1위는 기정사실에 가까웠지만, 대륙 건너에서 예상치 못한 경쟁자가 나타나며 아바타 시리즈 최초로 연도별 1위를 빼앗길 수 있다는 가능성이 생겼다.[6] 게다가 아바타의 경우 개봉일 자체도 미국 기준 12월 19일이라 시간 상 2025년 내만 따지면 상당히 빠듯한 상황이다.
8.2. 중국
중국 역대 영화 흥행 순위 ( 참조, 중국 내 기준) | ||||
{{{#!folding [접기/펼치기] | 순위 | 영화 제목 | 개봉 연도 | 박스오피스 (단위: 위안) |
1위 | 나타지마동요해 | 2025년 | 154억 5,318만 위안집계중 | |
2위 | 장진호 | 2021년 | 57억 7,575만 위안 | |
3위 | 전랑 2 | 2017년 | 56억 8,874만 위안 | |
4위 | 안녕, 리환잉 | 2021년 | 54억 1,330만 위안 | |
5위 | 나타지마동강세 | 2019년 | 50억 3,502만 위안 | |
6위 | 유랑지구 | 2019년 | 46억 8,774만 위안 | |
7위 | 만강홍: 사라진 밀서 | 2023년 | 45억 4,589만 위안 | |
8위 | 탐정 당인 3 | 2021년 | 45억 2,235만 위안 | |
9위 | 어벤져스: 엔드게임 | 2019년 | 42억 5,041만 위안 | |
10위 | 장진호지수문교 | 2022년 | 40억 6,923만 위안 |
}}} ||
중국 실시간 박스오피스(단위: 위안)
아래의 환율은 개봉 시기의 환율 1달러 = 7.25위안을 기준으로 한다.
- 1주 차
- 개봉일인 2025년 1월 29일 수요일에 약 6억 위안의 흥행을 기록했으며, 주말까지 5일간 30억 위안 정도의 흥행이 예상된다는 보도가 나왔다. 주말 누적 흥행 예상치를 미국 달러로 환산시 4억 달러를 넘기는 수치로, 이에 따라 중국 영화 최초로 10억 달러 흥행 돌파 영화를 달성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 개봉 4일 차인 2월 1일 토요일, 2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 개봉 5일 차인 2월 2일 일요일, 3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 개봉 6일 차인 2월 3일 월요일, 4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 2주 차
- 개봉 8일 차인 2월 4일 수요일, 5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 개봉 9일 차인 2월 6일 목요일, 57억 7천만 위안의 성적을 거둔 〈장진호〉를 제치고 역대 중국 박스오피스 1위를 달성했으며, 이후 6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 개봉 11일 차인 2월 8일 토요일, 북미에서 약 9억 3,600만 달러의 성적을 거둔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의 기록을 깨고 전 세계 단일시장 최고 흥행 기록을 경신했으며, 뒤이어 7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 개봉 12일 차인 2월 9일 일요일, 10억 달러의 흥행을 돌파했으며, 뒤이어 8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 3주 차
- 개봉 15일 차인 2월 12일 수요일, 9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 개봉 17일 차인 2월 14일 금요일, 10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 개봉 18일 차인 2월 15일 토요일, 15억 달러의 흥행을 돌파했으며, 뒤이어 11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 개봉 20일 차인 2월 17일 월요일, 12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중국 중앙 텔레비전의 예측에 따르면 최종 성적은 160억 위안으로, 이를 미화로 환산할 경우 20억 달러를 상회하는 22억 달러에 달한다. 기사
- 4주 차 이후
- 개봉 25일 차인 2월 22일 토요일, 13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 개봉 30일 차인 2월 27일 목요일, 14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 개봉 39일 차인 3월 8일 토요일, 20억 달러의 흥행을 돌파했다.
- 개봉 54일 차인 3월 23일 일요일, 150억 위안의 흥행을 돌파했다.
9. 기타
- 해외시장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대흥행하자 중국인들이 은근슬쩍 케데헌의 인기에 편승하려는 끼워팔기로 논란이 되었다. 중국인들은 2023년부터 Kpop가 아니라 A팝(Asia Pop)이라고 우기며 편승하려는 시도를 꾸준이 하고 있는데, 이번에도 똑같은 시도를 하다가 별 소득이 없자 자국 애니메이션 캐릭터인 너자가 조이랑 절친이라는 거짓 내용을 틱톡에 올려대거나 너자 영상에 케데헌 OST를 가져다 붙이는 등 갖가지 조작이 행해졌다. 물론 이를 다 본 사람들은 아무도 속지 않는 수준으로, 오히려 전 세계 네티즌들의 조롱만 당하고 있다.[7]
- 2025년 8월 북미에 양자경을 캐스팅한 영어 더빙판으로 재개봉하며[8] 케데헌 싱어롱을 보이콧한 AMC Theatre를 중심으로[9] 2,228개 상영관에서 개봉해 첫날 69만 5,505달러(약 9억 6,000만원)를 기록했으나, 원래도 평이 좋지 않은 영화를 재개봉한 것인데다 같은시기 개봉한 케데헌 싱어롱 버전의 아성에 밀려 개봉 3일 만에 상영관 당 수익이 163달러(약 23만원)수준으로 흥행에 참패했다.매일경제뉴스1
[기준] The Numbers 집계. 환율 및 집계의 한계로 통계마다 차이를 보이며, 때문에 정확한 박스오피스 수치는 불명이다.[기준] [3] 반면 이전 역대 애니메이션 영화 1위 〈인사이드 아웃 2〉는 흥행의 38.4%가 북미에서, 나머지 61.6%는 해외에서 나왔다.[4] 영화 내부에서의 적이 백악관, 펜타곤, 달러화 마크를 닮은 건물과 형상, 독수리 등 미중경쟁에 기반한 반미적 요소를 많이 갖춘 것도 이에 한몫했다.[5] 재미있게도 이 영화도 애니메이션+국뽕 영화면서 흥행 중 내수 비중이 매우 높았다는 공통점이 있다(약 70%). 그렇지만 중국 외에는 거의 흥행이 없다시피 했던 너자2(흥행 중 내수 비중 99% 이상)와는 달리 귀칼은 대만, 동남아 등 아시아권 국가에서 크게 흥행했다. 일본 외 흥행 중 아시아권 비중이 10%를 넘을 정도. 대만이나 동남아시아 영화 시장이 작다는 걸 감안하면 엄청난 흥행이었고 당연히 그 해 박스오피스 1위였다. 서방 선진국 그룹에서 흥행이 별로인건 네자2나 귀칼이나 마찬가지였지만.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서구 국가들의 영화관이 모조리 문을 닫은 와중에 일본 영화관은 상대적으로 영업 비율이 높았고, 블록버스터들이 대거 개봉을 포기한 탓에 제한적인 지역에서의 흥행만으로 1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 참고로 북미, 유럽에서 2020년 가장 흥행한 영화는〈테넷〉이다. 한국은 〈남산의 부장들〉이 2020년 박스오피스 1위였다.[6] <아바타>가 29억 달러로 박스오피스 역대 1위를 한 다음 속편인 물의 길은 물가상승 버프를 등에 업고도 23억 달러로 다소 뒤떨어진 흥행을 기록했다. 2025년 박스오피스 1위를 하기 위해서는 2편 대비 1억 7천만 달러 이하의 흥행 드롭을 기대해야 하기에 그다지 녹록치 않은 상황.[7] 참고로 중국은 넷플릭스가 서비스되지 않는다. 불법복제 등을 이용한 도둑시청이란 소리.[8] 이미 2025년 연초에 북미시장에 자막판으로 개봉한 바 있다. 자막상영을 기피하고 더빙관람을 선호하는 미국 관객층을 고려하면 미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대상 개봉이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리뷰를 보면 대부분이 미국 거주 중국계 관객이다.[9] AMC Theatre는 한때 완다그룹이 최대주주였고, 완다그룹이 지분을 매각한 현재도 임원진 상당수가 중국계로 알려져있다. 게다가 케데헌은 극장가가 배척하는 OTT 제작 영화이니... 아이러니한 점은 정작 AMC가 밀어준 본작은 반미영화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