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일본 황족의 호칭}}}에 대한 내용은 [[미야고]]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미야고#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미야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일본 황족의 호칭: }}}[[미야고]]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미야고#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미야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전근대 동아시아의 호칭 개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80ff><colcolor=#fff> 본명 | 성 | 씨 | 명 | |||
개념 | 시법 | 경칭 | 피휘 | ||||
호칭 종류 | |||||||
}}}}}}}}} |
1. 개요
궁호(宮號)는 호의 일종으로 왕족들이 사용하는 별칭 중 하나다.2. 역사
고려시대~조선 초기 주로 사용되었으며 조선 후기에 무품입궐빈의 출연으로 부활하였다. 고려시대~조선 초기 외명부 봉작인 궁주宮主가 사용한 봉호가 궁호였으며[1] 공주도 궁호를 사용하였다. 단 왕후의 딸이 사후에 궁주로 추봉된 사례를 보아 모든 공주가 궁주인 것은 아니었다. 조선 초기에 정도전과 태종 이방원이 정한 내명부의 품계의 궁주와 옹주가 없었음에도 작위로 사용된 것은 외명부와 내명부 작위를 혼동해 사용하던 고려시대 관습이 그대로 이어진 게 원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또 고려 초기에는 궁대군宮大君이라고 하여 궁을 소유한 남자 왕족도 있었기에 고려 초기에는 남녀를 가리지 않고 왕실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궁주 작위의 폐지로 오랫동안 사라졌으나, 효장세자의 아내 효순왕후 시절 일시적으로 논의되었다. 효순왕후는 효장세자 사후에도 여전히 빈궁이라 불렸으나 사도세자가 태어나자 수빈 한씨粹嬪 韓氏와 덕빈 윤씨德嬪 尹氏의 전례를 따를 것인지 다른 방식을 사용할지 논의되었을 적 왕세자빈은 내명부가 아니기에 빈궁에 궁호를 주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었다. 결국 전례를 따라 현빈 조씨賢嬪 趙氏와 혜빈 홍씨惠嬪 洪氏를 사용했으나 정조가 즉위하자 왕의 생모지만 법적으로 숙모가 되어 왕대비가 아니라 평생 왕세자빈 자리에 머물러야 했던 정조가 자궁慈宮의 존호를 줄 때 지어주었다. 이후 무품입궐빈의 출연으로 이들에게도 궁호가 주어지게 된다.
이와 별개로 조선시대 왕족을 섬기는 사당의 이름이 궁인 경우도 존재했는데, 이는 궁호보다 신궁神宮에 가까운 개념이었다.
3. 목록
궁주(고려)는 고려의 궁원 문서 참조.궁주(조선)
- 정경궁주 류씨貞慶宮主 柳氏 : 태조의 후궁, 정경옹주貞慶翁主에서 태종 대 진봉
- 가의궁주 류씨嘉懿宮主 柳氏 : 정종의 후궁 가의옹주嘉懿翁主
- 정의궁주貞懿宮主 : 세종 대 의빈 권씨懿嬪 權氏로 진봉
- 효순궁주孝順宮主 : 고종 대 효빈 김씨孝嬪 金氏로 추증
- 신녕궁주愼寧宮主 : 신녕옹주信寧翁主에서 진봉, 고종 대 신빈 신씨信嬪 辛氏로 추증
- 소혜궁주昭惠宮主 : 고종 대 소빈 노씨昭嬪 盧氏로 추증
- 숙공궁주 김씨淑恭宮主 金氏
- 의정궁주 조씨義貞宮主 趙氏
- 혜순궁주 이씨惠順宮主 李氏
- 신순궁주 이씨信順宮主 李氏
궁호
- 혜경궁(惠慶宮) 혜빈 홍씨: 사도세자의 아내이자 정조의 어머니
- 숙창궁(淑昌宮) 원빈 홍씨: 정조의 후궁
- 경수궁(慶壽宮) 화빈 윤씨: 정조의 후궁
- 가순궁(嘉順宮) 수빈 박씨: 정조의 후궁이자 순조의 어머니
- 순화궁(順和宮) 경빈 김씨: 헌종의 후궁
- 경선궁(慶善宮) 순헌황귀비 엄씨: 고종(대한제국)의 후궁이자 영친왕의 어머니
왕실 사당
[1] 고려시대에는 조선시대와 달리 왕실 여인이 외명부와 내명부 작위를 혼동해서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