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21:52:04

동구(광주광역시)

궁동(광주)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f4123>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광주광역시청|
시청
]] 서구
파일:남구(광주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광주광역시) CI.svg
북구
파일:광산구 CI.svg
광산구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1c63b7>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45b035> 충장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궁동 금남로1가 금남로2가 금남로3가 금남로4가
금남로5가 대의동 대인동 불로동 수기동
장동 충장로1가 충장로2가 충장로3가 충장로4가 }}}
동명동 동명동
계림1, 2동 계림동
산수1, 2동 산수동
지산1, 2동 지산동
서남동 광산동 금동 남동 불로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서석동 장동 학동 }}}
학동 학동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
학운동
지원1동 소태동 용산동
지원2동
내남동 선교동 용연동 월남동
}}}}}}}}} ||
광주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
동구
東區
Dong-gu
}}}
<colbgcolor=#1c63b7><colcolor=#fff> 구청 소재지 서남로 1 (서석동)
광역자치단체 광주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3[1]
면적 49.31㎢[2]
인구 106,413명[3]
인구 밀도 2,157.53명/㎢[4]
구청장
파일:zsdkl3gasdg.svg
임택 (재선)
구의회
파일:zsdkl3gasdg.svg
5석[5]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석[6]

1석[7]
시의원
파일:zsdkl3gasdg.svg
2석[8]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안도걸
(동·남 을 / 초선)
상징 <colbgcolor=#1c63b7><colcolor=#fff> 구화 철쭉
구목 은행나무
구조 까치
지역번호 062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1. 개요2. 지역 특징3. 인구4. 교통5. 상권
5.1. 금융
6. 교육7. 의료기관8. 정치9. 하위 행정구역10. 여담11. 자매우호도시12.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파일:2019광주동구청사.jpg
광주광역시 동구청사 전경. 동구청은 앞에 보이는 비교적 나지막한 건물이고, 뒤에 보이는 건물은 KT 광주정보센터인데 둘 다 화강석 마감으로 된 건물이라 동구청 건물에 붙어있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다. 주소는 광주광역시 동구 서남로 1 (서석동).
파일:ku0sxl0.jpg
동구의 캐릭터 금남이.[9]

광주광역시의 동남부에 위치한 자치구.

전국 특별・광역시중에서 유일하게 광주광역시에는 중구가 없는데, 한때는 광주광역시전라남도의 중심지였으며 모든 행정의 중심지였던 동구가 다른 광역시의 중구와 가장 유사하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들이 가장 많이 모여들었던 곳이자 격전지였던 금남로와 과거 전라남도청이 있는 역사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재는 도시의 지속적인 확장으로 인해 도심이 옮겨지면서 남구와 함께 도심공동화를 겪는 자치구이다.

2. 지역 특징

광주의 역사의 중심에 있었던 곳이며 광주의 발전에 가장 중심이 되었던 곳이다. 1980년대까지는 광주버스터미널도 동구에 위치해 있었으며 광주 철도교통의 중심지인 광주역도 있었다. 광주광역시청전남도청이 있었던 곳이었기 때문에 문화와 상권이 금남로충장로를 중심으로 발달하였고, 금남로에는 금융기관 및 기업의 광주전남지사가 있었기 때문에 항상 붐볐던 곳이다. 금호그룹, 화니백화점 등등 과거 호남 지역의 기업들이 대부분 이곳을 중심으로 태동을 하였다. 현재의 충창아트윈 자리에는 호남 최대 규모의 백화점이, 충장로5가입구 지역에 광주고속(현 금호고속)의 버스정류장이 있었던 시절이 있었고 현재의 롯데백화점 광주점 자리에는 시외버스터미널이 있었다. 한때는 그야말로 교통과 행정, 문화의 중심지.

그러나 1997년 외환 위기 때 화니백화점 등 호남 기반의 중견~대형 기업이 몰락하면서 상권이 쇠퇴하였고 터미널도 광천동으로 이전, 계림동에 있었던 시청도 상무지구로 이전하면서 행정의 중심까지 서서히 서구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였다. 고속철 SRT, KTX 역시나 현재는 광주송정역에서 정차하며, 광주역에 정차하는 기차는 옛날 구식 기차를 빼면 그리 많지가 않다. 그리고 2005년 11월 11일 전라남도청의 남악신도시 이전은 금남로-충장로 중심의 상권에 큰 타격으로 작용하여, 서구의 발전에 대비되어 광주 내에서의 동구의 위상은 서서히 저물어가게 되었다. 거기에 노후화된 도심 건물들로 인해서 신흥 주거단지가 조성되고 있는 북구와 광산구, 서구 일대와 비교해서 주거지역이 사정이 비슷한 남구와 함께 낙후되어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으며, 실제로도 광주 내에서 재정자주도가 취약한 자치구이기도 하다. 2023년 현재는 그나마 광주를 대표하는 대학 중 하나인 조선대학교 인근을 중심으로 해서 상권이 번영하는 수준이다.

현재 떠나버린 전라남도청의 자리에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2015년 11월 25일에 개관했고, 충장로와 금남로 상권을 부흥시키기 위해 2004년부터 매년 10월마다 광주 충장로축제를 열고 있다. 충장로축제가 점차 전국적인 규모의 축제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는 것은 다행일 것이다. 심지어 2015년부터 시행되왔던 제2의 충장로 축제라고 불려오는 '광주프린지페스티벌'을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연계하여 매년 4월부터 12월까지 매주 금토일마다 개최하여 성공하였다. 이의 영향으로 동구의 이미지가 예전보다 더욱 인지도가 향상되었고 문화적으로 바뀌었으며 관광객이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의 영향으로 인하여 엄청 늘어버렸다.

호남 지역의 명산 중 하나인 무등산이 가장 가까운 지역으로 주말에는 증심사와 무등산장[10]을 통해서 무등산에 등산하는 행락객들이 붐비는 곳이다. 예전의 명성에 비하면 많이 줄어들었지만 충장로 지역은 동구 상권의 중심으로 여전히 건재함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그 외에도 조선대학교전남대학교병원, 병무청, 법원, 검찰청 등이 소재하는 자치구이다.

사실 광주광역시의 동쪽은 거의 다 무등산이라고 보면 된다. 현재 동구에다가 북구가 가지고 있는 동쪽 지역을 다 준다고 해도 역시나 산이 많은 동구라는 점은 변함이 없다. 개발시킬 지역조차 협소하며, 동구에 남은 땅은 너릿재 방향으로 나있는 골짜기 정도밖에 없다. 광주광역시에 중구가 없는 이유이자 지리적으로 어느 정도 정해진 수순이다.

3. 인구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 광주광역시 동구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3년 7월 1일
광주시 중부출장소 + 동부출장소 + 북부출장소 → 광주시 동구 신설
1975년 353,387명
1980년 4월 1일 광주시 동구 일부 지역 + 서구 일부 지역 → 북구 승격 분리
1980년 213,761명
1985년 222,814명
1990년 191,843명
1995년 147,601명
2000년 116,519명
2005년 120,300명
2010년 104,449명
2015년 98,784명
2019년 3월 94,098명(저점)
2020년 102,897명
2024년 9월 106,35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지원2동 17,893명
계림2동 13,351명
학운동 11,000명
계림1동 10,344명
산수2동 9,814명
지원1동 9,072명
산수1동 7,980명
학동 7,320명
충장동 5,358명
지산2동 4,260명
지산1동 4,120명
동명동 3,653명
서남동 3,011명
2023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구도심이다보니 계속되는 인구 감소로 10만명 선 붕괴 후 2019년 3월 94,098명이라는 인구 최저치를 찍었으나, 그 후 용산택지지구 입주가 시작되면서 인구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 동구 각지에서 대규모 재개발이 이루어질 예정이라서 인구 증가는 계속될 것으로 보이나, 그 중간 시점인 2024년 현재는 다시 인구가 정체되고 있다.

===# 행정동별 인구 #===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 충장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57년 12월 1일
대인동 + 금남로5가 → 대금동 신설
충장로5가 +수기동 → 충수동 신설
대의동 + 궁동 + 장동 → 대의동 신설
충장로1가~충장로4가 + 금남로1가~금남로4가 → 충금동 신설
호남동 + 황금동 + 불로동 → 삼성동 신설
1966년 33,747명[1966충장동]
1970년 30,781명[1970충장동]
1975년 29,589명[1975충장동]
1980년 22,783명[1980충장동]
1985년 22,535명[1985충장동]
1990년 19,078명[1990충장동]
1995년 7,809명[1995충장동]
1998년 4월 27일 대금동 + 충수동 + 대의동 + 충금동 + 삼성동 → 충장동 합동
2000년 4,563명
2005년 4,618명
2010년 5,308명
2015년 4,715명
2020년 4,546명
2023년 12월 5,35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동명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57년 12월 1일 동명동 → 동명1동, 동명2동 분동
1966년 19,584명[1966동명동]
1970년 19,935명[1970동명동]
1975년 21,600명[1975동명동]
1980년 17,730명[1980동명동]
1985년 17,182명[1985동명동]
1990년 13,632명[1990동명동]
1995년 9,436명[1995동명동]
1998년 4월 27일 동명1동 + 동명2동 → 동명동 합동
2000년 6,876명
2005년 7,224명
2010년 5,831명
2015년 4,708명
2020년 3,873명
2023년 12월 3,6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계림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57년 12월 1일 계림동 → 계림1동, 계림2동 분동
1966년 33,623명[1966계림1동]
1970년 7월 1일 계림1동계림1동, 계림3동 분동
1970년 23,164명[1970계림1동]
1975년 25,200명[1975계림1동]
1980년 22,434명[1980계림1동]
1985년 21,864명[1985계림1동]
1990년 18,152명[1990계림1동]
1995년 12,223명[1995계림1동]
1998년 4월 27일 계림1동 + 계림2동 → 계림1동 합동
2000년 8,577명
2005년 9,398명
2010년 8,231명
2015년 8,017명
2020년 10,323명
2023년 12월 10,3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계림2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70년 7월 1일 계림1동 → 계림1동, 계림3동 분동
1970년 13,197명
1975년 15,212명
1980년 14,289명
1985년 14,652명
1990년 11,991명
1995년 8,372명
1998년 4월 27일 계림3동 → 계림2동 개칭
2000년 10,262명
2005년 8,963명
2010년 9,466명
2015년 10,098명
2020년 7,859명
2023년 12월 13,3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산수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481명
1970년 7월 1일 산수동 → 산수1동, 산수2동 분동
1970년 19,958명[1970산수1동]
1975년 35,206명[1975산수1동]
1979년 1월 1일 산수2동 → 산수2동, 산수3동 분동
1980년 25,670명[1980산수1동]
1985년 27,574명[1985산수1동]
1990년 21,832명[1990산수1동]
1995년 15,716명[1995산수1동]
1998년 4월 27일 산수1동 + 산수2동 → 산수1동 합동
2000년 11,584명
2005년 11,322명
2010년 9,204명
2015년 7,823명
2020년 8,850명
2023년 12월 7,98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산수2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1월 1일 산수2동 → 산수2동, 산수3동 분동
1980년 13,854명
1985년 14,853명
1990년 13,560명
1995년 16,443명
1998년 4월 27일 산수3동 → 산수2동 개칭
2000년 13,580명
2005년 13,203명
2010년 11,176명
2015년 11,091명
2020년 10,401명
2023년 12월 9,81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지산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862명
1970년 13,106명
1975년 23,871명
1979년 5월 1일 지산동 → 지산1동, 지산2동 분동
1980년 11,104명
1985년 11,313명
1990년 9,764명
1995년 6,215명
2000년 4,624명
2005년 6,715명
2010년 5,467명
2015년 4,924명
2020년 4,412명
2023년 12월 4,1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지산2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5월 1일 지산동 → 지산1동, 지산2동 분동
1980년 12,140명
1985년 14,893명
1990년 13,573명
1995년 11,721명
2000년 8,866명
2005년 7,266명
2010년 6,506명
2015년 5,751명
2020년 4,745명
2023년 12월 4,26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 서남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57년 12월 1일
남동 + 금동 + 광산동 → 남금동 신설
서석동(법정동) → 서석동(행정동)
1966년 21,401명[1966서남동]
1970년 7월 1일 서석동 → 서석1동, 서석2동 분동
1970년 23,930명[1970서남동]
1975년 23,129명[1975서남동]
1980년 17,290명[1980서남동]
1985년 15,899명[1985서남동]
1985년 11월 1일 서석1동 + 서석2동 → 서석동 합동
1990년 14,135명[1990서남동]
1995년 8,740명[1995서남동]
1998년 4월 27일 서석동 + 남금동 → 서남동 합동
2000년 5,574명
2005년 7,126명
2010년 4,567명
2015년 3,663명
2020년 3,230명
2023년 12월 3,01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 학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57년 12월 1일 학동 → 학1동, 학2동 분동
1966년 29,709명[1966학동]
1970년 7월 1일
학1동 → 학1동, 학3동 분동
학2동 → 학2동, 학운동 분동
1970년 27,668명[1970학동]
1975년 29,923명[1975학동]
1980년 26,205명[1980학동]
1985년 26,289명[1985학동]
1990년 19,555명[1990학동]
1995년 14,011명[1995학동]
1998년 4월 27일 학1동 + 학2동 → 학1동 합동
학3동 → 학2동 개칭
2000년 10,065명[2000학동]
2002년 3월 25일 학1동 + 학2동 → 학동 합동
2005년 9,380명
2010년 7,319명
2015년 7,356명
2020년 8,167명
2023년 12월 7,3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학운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70년 7월 1일 학2동 → 학2동, 학운동 분동
1970년 5,976명
1975년 6,626명
1980년 7,363명
1985년 9,839명
1990년 11,537명
1995년 14,206명
2000년 14,208명
2005년 15,586명
2010년 13,733명
2015년 13,407명
2020년 11,897명
2023년 12월 11,00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지원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57년 12월 1일
소태동 + 용연동 + 월남동 + 선교동 + 내남동 + 용산동 → 지원동 신설
1966년 7,839명
1970년 10,049명
1975년 14,667명
1980년 22,899명
1985년 25,921명
1990년 25,034명
1995년 22,709명
2000년 17,740명
2002년 3월 25일 지원동 → 지원1동, 지원2동 분동
2005년 10,213명
2010년 9,218명
2015년 8,379명
2020년 8,000명
2023년 12월 9,07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지원2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2년 3월 25일 지원동 → 지원1동, 지원2동 분동
2005년 9,286명
2008년 8,917명
2009년 8,921명
2010년 8,423명
2011년 8,055명
2012년 7,858명
2013년 7,730명
2014년 7,543명
2015년 8,852명
2016년 10,257명
2017년 10,178명
2018년 9,933명
2019년 14,879명
2020년 16,594명
2021년 16,157명
2022년 16,075명
2023년 12월 17,89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4.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1c63b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1c63b7>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1c63b7> 2 <colbgcolor=#ffffff,#191919> 2순환로
갈마로 · 경양로 · 구성로 · 금남로
남문로 · 너릿재로
독립로 · 동계로 · 동계천로 · 동명로
무등로 · 문화전당로
밤실로 · 백서로
서남로 · 서석로 · 선교로
양림로 · 용산1로 · 용산2로 · 의재로
제봉로 · 준법로 · 중앙로 · 중흥로 · 증심천로 · 지원로 · 지호로
참판로 · 천변좌로 · 천변우로 · 충장로
학소로 · 화산로
광주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교통은 비교적 편리한 편이다. 수많은 버스들이 이 지역을 오가며[53]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시점인 녹동역부터 금남로5가역[54] 구간을 1호선이 동구의 중심부를 지나가는 형태로 건설되었다. 물론 산수동이나 계림동 같은 곳은 1호선의 혜택을 받기 어려운 지역도 있지만, 2026년 하반기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하면 이러한 문제들이 크게 개선될 것이다.[55] 한편 남문로(남광주교차로 ~ 너릿재터널) 구간은 화순군장흥군, 보성군 쪽으로 넘어가는 시외버스 및 농어촌버스의 왕래가 매우 잦으며, 남광주역 인근에 학동시외버스정류소가 있고, 소태역에도 시외버스 정류장이 있다.

도시철도를 제외한 나머지 철도는 지나가지 않는다. 가까운 철도역은 북구에 있는 광주역이다. 다만 과거 경전선이 동구를 지나간 적이 있었고, 그 흔적이 남광주역 인근의 철교와 남광주시장으로 남아있다. 하지만 선로가 주거지역과 가까이 있어서 도심과 주거지역을 선로가 차단하는 형국이라 선로이설 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경전선이 광주 외곽으로 이설되었고, 과거 경전선 선로를 따라 '푸른길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56] 이로 인해 경전선 수요는 폭삭 떨어졌다. 그리고 경전선은 사실 두 번 이설되었는데, 경전선이 현재의 광주역 자리로 이설되기 전에는 현재의 동부소방서 자리에 광주역이 있었던 역사가 있다.[57] 한때 경전선이 이 일대를 지나갔다는 노반의 흔적은 대인시장과 계림오거리~농장다리를 잇는 도로 일부에 약간 남아있다. 또한 일제강점기 시절에는 구역에서 담양읍까지도 철로가 놓여 있었지만 태평양 전쟁 말기인 1944년에 싹 걷어가버렸다.

5. 상권

광주광역시의 원도심이다보니 전남도청, 터미널, 각종 회사, 근처 대학들이 모여 있던 시절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많이 쇠퇴하였으나 그래도 금남로상권이 상무지구와 함께 광주광역시 양대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5.1. 금융

광주 동구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광주우체국 (8)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1)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4)
시중은행
신한은행 (2) 우리은행 (2)
SC제일은행 (1) 하나은행 (2)
국민은행 (1) 한국씨티은행 (1)
지방은행
광주은행 (14)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광주농협 (1) 남광주농협 (5)
광주축협 (3)
수산업협동조합
민물장어양식수협 (1)
새마을금고
남광주새마을금고(5) 푸른새마을금고 (2) 대광새마을금고 (3) 금남새마을금고 (2)
동광주새마을금고(2) 동광새마을금고 (1) 제일새마을금고 (1) 전남대학교병원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광주양동신용협동조합 광주동부신용협동조합 광주원광신용협동조합 지원신용협동조합
침광신용협동조합 방림신용협동조합 빛고을신용협동조합 아욱실륨신용협동조합
밀알신용협동조합 광주우리신용협동조합 광주중앙신용협동조합 광주은행신용협동조합
조선대학교신용협동조합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SBI저축은행 (1) 스마트저축은행 (1) 동양저축은행 (1) 더블저축은행 (1)
JT저축은행 (1) JT친애저축은행 (1) 센트럴저축은행 (1)
광주은행 본점이 대인동에 있다.
조선대학교 주거래은행이 변경됨에 따라 광주은행 조선대학교 출장소는 폐점, 신한은행 조선대출장소가 신설하게 된다.

6. 교육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광주광역시 동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광주계림초등학교 광주남초등학교 동산초등학교 광주산수초등학교
광주서석초등학교 광주용산초등학교 광주장원초등학교 광주중앙초등학교
광주학운초등학교 율곡초등학교 지한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광주광역시 동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광주충장중학교 무등중학교 살레시오여자중학교 운림중학교
조선대학교부속중학교 조선대학교여자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광주광역시 동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광주고등학교 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 전남여자고등학교 조선대학교부속고등학교 조선대학교여자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7. 의료기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의료의 중심이다. 상급종합병원이자 광주/전남 최대의 병원인 전남대학교병원(1080병상)과, 도로를 하나 사이에 두고 같은 상급종병이자 영원한 콩라인인 조선대학교병원(849병상)이 모두 학동에 있다. 두 병원 모두 광주·전남 전역에서 실려온 환자들로 언제나 붐빈다. 그리고 구도심이니만큼 오랫동안 영업해 온 1차 의료기관은 매우 흔하다.

8.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구(광주광역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하위 행정구역

파일:external/www.donggu.kr/0702050100_img01.jpg

파일:동구(광주광역시) 구 CI.svg
광주직할시 동구였을 때부터 2000년까지 사용한 옛 로고
동구 행정구역 변천사
전라남도 광주시
(全羅南道 光州市, 1949)
광주시
(光州市, 1955)
광주시 동구
(光州市 東區, 1973)
광주직할시 동구
(光州直割市 東區, 1986)
광주광역시 동구
(光州廣域市 東區, 1995)
광산군 효지면
(光山郡 孝池面, 1935)

최근 국회의원 선거구를 기준으로 전체 동이 모두 동구·남구 을(乙) 선거구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구(광주)/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여담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아카데미에 이어 주변 자치단체보다 동구청에서 많이 강연을 열고 있다. 소설가 조정래, 유홍준 등이 강연에 참여했다.

11. 자매우호도시

12. 출신 인물


[1] 34개 법정동, 13개 행정동.[2] 광주광역시의 자치구 중 면적이 가장 좁은 곳은 서구(47.74㎢)지만, 동구 면적의 대부분이 무등산인 걸 감안하면 실질적인 면적은 동구가 가장 좁다.[3] 2024년 10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4] 2024년 7월 기준.[5] 동구 가선거구 (충장동, 동명동, 계림1동, 계림2동, 산수1동, 산수2동): 김현숙, 문선화
동구 나선거구 (지산1동, 지산2동, 서남동, 학동, 학운동, 지원1동, 지원2동): 김재식, 노진성
동구 비례대표: 이지애
[6] 동구 가선거구 (충장동, 동명동, 계림1동, 계림2동, 산수1동, 산수2동): 박현정[7] 동구 나선거구 (지산1동, 지산2동, 서남동, 학동, 학운동, 지원1동, 지원2동): 박종균[8] 동구 제1선거구 (충장동, 동명동, 계림1동, 계림2동, 산수1동, 산수2동): 홍기월 (초선)
동구 제2선거구 (지산1동, 지산2동, 서남동, 학동, 학운동, 지원1동, 지원2동): 박미정 (재선)
[9] 광주 충장축제의 마스코트 캐릭터 이름도 금남이다.[10] 무등산장 및 원효사가 속해 있는 행정구역은 북구이지만 대중교통 및 자가용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동구 지역의 산수동 및 지산동을 통해서 접속해야 한다.[1966충장동] 대금동 9,552명 + 충수동 5,214명 + 대의동 7,623명 + 충금동 4,823명 + 삼성동 6,535명[1970충장동] 대금동 8,124명 + 충수동 5,098명 + 대의동 6,539명 + 충금동 4,671명 + 삼성동 6,349명[1975충장동] 대금동 8,693명 + 충수동 4,814명 + 대의동 5,738명 + 충금동 4,232명 + 삼성동 6,112명[1980충장동] 대금동 7,300명 + 충수동 3,441명 + 대의동 4,619명 + 충금동 2,949명 + 삼성동 4,474명[1985충장동] 대금동 6,895명 + 충수동 3,505명 + 대의동 4,637명 + 충금동 2,860명 + 삼성동 4,638명[1990충장동] 대금동 5,297명 + 충수동 3,205명 + 대의동 3,318명 + 충금동 2,849명 + 삼성동 4,409명[1995충장동] 대금동 2,694명 + 충수동 1,190명 + 대의동 1,984명 + 충금동 825명 + 삼성동 1,116명[1966동명동] 동명1동 11,999명 + 동명2동 7,585명[1970동명동] 동명1동 12,680명 + 동명2동 7,255명[1975동명동] 동명1동 13,633명 + 동명2동 7,967명[1980동명동] 동명1동 11,034명 + 동명2동 6,696명[1985동명동] 동명1동 11,260명 + 동명2동 5,922명[1990동명동] 동명1동 7,901명 + 동명2동 5,731명[1995동명동] 동명1동 5,615명 + 동명2동 3,821명[1966계림1동] 계림1동 24,137명 + 계림2동 9,486명[1970계림1동] 계림1동 12,761명 + 계림2동 10,403명[1975계림1동] 계림1동 15,421명 + 계림2동 9,779명[1980계림1동] 계림1동 14,389명 + 계림2동 8,045명[1985계림1동] 계림1동 13,849명 + 계림2동 8,015명[1990계림1동] 계림1동 12,014명 + 계림2동 6,138명[1995계림1동] 계림1동 7,946명 + 계림2동 4,277명[1970산수1동] 산수1동 9,227명 + 산수2동 10,731명[1975산수1동] 산수1동 10,837명 + 산수2동 24,369명[1980산수1동] 산수1동 8,595명 + 산수2동 17,075명[1985산수1동] 산수1동 8,950명 + 산수2동 18,624명[1990산수1동] 산수1동 6,400명 + 산수2동 15,432명[1995산수1동] 산수1동 4,244명 + 산수2동 11,472명[1966서남동] 남금동 9,410명 + 서석동 11,991명[1970서남동] 남금동 9,982명 + 서석1동 5,222명 + 서석2동 8,726명[1975서남동] 남금동 11,039명 + 서석1동 4,859명 + 서석2동 7,231명[1980서남동] 남금동 7,841명 + 서석1동 3,857명 + 서석2동 5,592명[1985서남동] 남금동 7,658명 + 서석1동 3,801명 + 서석2동 4,440명[1990서남동] 남금동 7,005명 + 서석동 7,130명[1995서남동] 남금동 3,962명 + 서석동 4,778명[1966학동] 학1동 15,105명 + 학2동 14,604명[1970학동] 학1동 8,537명 + 학2동 9,467명 + 학3동 10,664명[1975학동] 학1동 9,276명 + 학2동 10,164명 + 학3동 10,483명[1980학동] 학1동 7,183명 + 학2동 9,671명 + 학3동 9,351명[1985학동] 학1동 7,473명 + 학2동 9,260명 + 학3동 9,556명[1990학동] 학1동 5,545명 + 학2동 6,154명 + 학3동 7,856명[1995학동] 학1동 3,488명 + 학2동 4,252명 + 학3동 6,271명[2000학동] 학1동 5,525명 + 학2동 4,540명[53]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절대다수의 시내버스가 금남로를 지나다녔다.[54] 북구 누문동과 동구 충장동 사이에 걸쳐 있다.[55] 2호선이 산수동을 관통할 예정이며, 계림동은 북부지역에 한해 2호선 이용이 편리할 것이다.[56] 덕분에 지산동-계림동의 도보 이동 거리가 획기적으로 줄었다. 재밌는 사실은 철도가 있었을 때도 이 길을 지름길로 이용했던 사람들이 꽤 많았다고 한다. 한마디로 비밀스런 지름길을 진짜 길로 만들어버린 셈이다.[57] 일부 어르신들은 아직도 이 일대를 '구역'으로 부르기도 한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