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드라마의 가상 인물}}}에 대한 내용은 [[강인욱(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강인욱(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강인욱(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드라마의 가상 인물: }}}[[강인욱(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강인욱(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강인욱(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546582><colcolor=#ffffff>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강인욱 姜仁旭 | Kang In-Uk | |
| | |
| 출생 | 1970년 (55세) |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 현직 |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 |
| 학력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 석사[1])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시베리아분소 고고·민족학연구소 (역사학과 / 박사[2]) |
| 경력 |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장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장 |
| 세부전공 | 유라시아•북방 고고학 |
| 링크 | |
1. 개요
대한민국의 고고학자, 현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2. 생애
1970년에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며, 초등학교 시절부터 고고학자를 꿈꿔왔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에서 고고미술사학과 학사와 석사[3]를 졸업하였다.한러 사전이 없었던 당시였기에 러시아어를 배우지 못한 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시베리아분소 고고·민족학연구소에서 유학했으며,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4]를 거쳐 현재는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소장과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제자 양성에 힘쓰고 있다. 그리고 2025년 2월에는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장으로 취임하였다.
2025년 6월 13일부터 '고고한 강교수'#라는 이름으로 유튜브를 시작했다. 원래 보다나 14F 같은 다른 유튜브 채널에서 출연하다가 직접 계정을 만들었다.
3. 방송 활동
3.1. TV 방송
| <rowcolor=#fff> 방송일 | 채널 | 방송명 | 회차 | 비고 |
| 2018년 | ||||
| 10월 3일 | | 차이나는 클라스 | 80회 | |
| 2020년 | ||||
| 11월 1일, 11월 8일 | | 최강1교시 | 68~69회 | |
| 2021년 | ||||
| 3월 1일~3월 12일 | | 클래스e : 고고학, 과거를 꿈꾸다 | 1~10회 | |
| 10월 5일 | | 책 읽어주는 나의서재 | 20회 | |
| 11월 20일 | | 역사저널 그날 | 336회 | |
| 12월 12일, 12월 19일 | | 최강1교시 | 122~123회 | |
| 2022년 | ||||
| 1월 28일 | | 책 읽어주는 나의서재 | 38회 | |
| 3월 20일 | | 역사저널 그날 | 352회 | |
| 4월 10일~5월 1일 | 355~358회 | |||
| 6월 12일 | | 차이나는 클라스 | 246회 | |
| 2023년 | ||||
| 4월 9일 | | 역사저널 그날 | 405회 | |
| 6월 4일 | | 차이나는 클라스 | 303회 | |
| 12월 24일 | | 역사저널 그날 | 438회 | |
| 2024년 | ||||
| 4월 9일 | | 보물지도 | | |
| 7월 13일 | | 지혜의 숲 시즌3 | 2회 | |
3.2. 웹 콘텐츠
| <rowcolor=#ffffff> 방송일 | 채널 | 방송명 | 회차 | 링크 |
| 2019년 | ||||
| 6월 25일~8월 7일 | 국가유산채널 | 역사의 타임캡슐, 강인욱의 미스터리 발굴이야기 | 1~3회 | |
| 2021년 | ||||
| 11월 1일 | 사피엔스 스튜디오 | 어쩌다어른D : 사피특강 | 36회[5] | |
| 12월 31일 | NH투자증권 | 투자읽어드립니다 | 15회[6] | |
| 2022년 | ||||
| 1월 14일 | NH투자증권 | 투자읽어드립니다 | 16회[7] | |
| 2023년 | ||||
| 12월 5일 | 하우투 : 하루를 우리에게 투자한다면 | [8] | | |
| 2024년 | ||||
| 7월 31일, 9월 18일 | 아만보! 아는 만큼 보인다 | 아는 만큼 보이는 역사 | [9] | |
| 8월 7일 | 신사임당 | [10] | | |
| 8월 26일 | 국회방송 | 떴다! 여의도 일타강사 시즌2 | 2회[11] | |
| 11월 18일 | 침착맨 | 침착맨과 함께 듣는 특강 | [12] | |
| 2025년 | ||||
| 5월 10일 | 세상연구소 | [13] | | |
| 7월 23일 | 815머니톡 | [14] | ||
3.2.1. 고정 출연
| <rowcolor=#fff> 방송일 | 채널 | 방송명 | 링크 | 비고 |
| 2023년 | ||||
| 11월 19일 ~ 현재 | | 역사를 보다 | # | |
| 2024년 | ||||
| 3월 23일 ~ 현재 | | 10분 토론 | # | |
3.3. 라디오
| <rowcolor=#fff> 방송일 | 방송국 | 방송명 | 링크 | 비고 |
| 2024년 | ||||
| 8월 5일 | | 권순표의 뉴스 하이킥 | | |
4. 저서
4.1. 단독
- 2009, 『춤추는 발해인』, 주류성.
- 2015, 『유라시아 역사 기행』, 민음사.
- 2017, 『진실은 유물에 있다』, 샘터.
- 2019, 『강인욱의 고고학 여행』, 흐름출판.
- 2020, 『옥저와 읍루』, 동북아역사재단.
- 2021, 『테라 인코그니타』, 창비.
- 2022, 『우리의 기원, 단일하든 다채롭든』, 21세기북스.
- 2023, 『세상 모든 것의 기원』, 흐름출판.
- 2024a, 『황금,불멸의 아름다움』, 서해문집.
- 2024b, 『사라진 시간과 만나는 법』, 김영사.
4.2. 공저
- 2003, 『시베리아의 선사고고학』, 주류성. (최몽룡, 이헌종 공저)
- 2008, 『고고학으로 본 옥저문화』, 동북아역사재단.
- 2009, 『동북아 청동기문화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학연문화사.
- 2018, 『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주류성.
- 2018, 『유라시아로의 시간 여행』, 사계절.
- 2018, 『북방고고학개론』, 진인진.
- 2022, 『고조선의 네트워크와 그 주변 사회』, 주류성.
- 2023, 『한국고고학 이해』, 진인진.
- 2024, 『카자흐스탄과 한국, 5천년의 파노라마』, 주류성.
- 2024, 『역사를 보다』, 믹스커피. (박현도, 곽민수, 허준(게임 캐스터) 공저)
4.3. 역서
- 데레비안코, A. P.(이헌종·강인욱 역), 2003, 『알타이의 석기시대 사람들』, 학연문화사.
- 몰로딘, V. I.(강인욱·이헌종 역), 2000, 『고대 알타이의 비밀: 우코크고원』, 학연문화사.
- 몰로딘, V. I.(강인욱 역), 2003, 『고고학자료로 본 고대 시베리아의 예술세계』, 주류성.
- 쿠바레프, V. D.(이헌종·강인욱 역), 1999, 『알타이의 제사유적』, 학연문화사.
- 쿠바레프, V. D.(이헌종·강인욱 역), 2003, 『알타이의 암각 예술』, 학연문화사.
- 폴로스막, N. V.(강인욱 역), 2016, 『알타이 초원의 기마인』, 주류성.
5. 여담
- 경희대학교 사학과의 대표적 교수이다. 보통 대학에서는 고고미술사학과와 사학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경희대 사학과는 고고학과 역사학 강의를 함께 수강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학과이다. 강인욱 교수가 맡고 있는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또한 이를 반영하여 고대사와 고고학 분야 연구자들이 소속되어 있다.
- 창비에서 비대면으로 강연한 적이 있다.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호남문화재연구원과 아시아연구원이 주최하는 아시아박물관산책과 2024인문강좌(극장), 호남문화재연구원 광주사무실에서 강연했다.
- 국내 발굴 조사에도 참여하였다. 예를 들어 1994년 국립경주박물관의 포항 옥성리 고분군 가지구 발굴에 참여했다.
- 러시아에 유학 온 지 3개월 뒤 서부 시베리아의 대평원 지대에서 발굴 조사를 하고 텐트[15]에서 잠을 잘 때 며칠간 계속 가위에 눌렸다고 한다. 어느날 다시 가위에 눌리자 귀신이 말을 걸어왔는데 강인욱 교수가 갑자기 생각을 해보니 3000년 전 사람인데 러시아어를 할 리가 없다고 생각하고 그렇다면 "당신들은 초기 인도유럽어족의 토하르 계통이니까 듣고 말해다오"라고 말하니 다음부터 귀신이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 여러 매체에서 '저주를 부르는 미라'라고 알려진 얼음공주와 같은 집에서 살아본 적이 있다고 한다. 강인욱 교수가 러시아에서 유학할 당시 2층 짜리 건물에 살았는데 얼음공주는 1층에 보관되어 있었고 강인욱 교수는 2층에서 5년 반 동안 같이 생활했지만 아무 일도 없었다고 하며(...)강인욱 교수는 얼음공주 귀신을 만났다면 물어볼 것[16]이 많았는데 한 번도 안 나오셔서 굉장히 아쉬웠다고 한다.
진짜 광기
[1] 석사 학위 논문 : 中國 東北地方 靑銅器文化에 대한 일고찰 : 遼寧地域 琵琶形銅劍을 중심으로[2] 박사 학위 논문: Бронзовые кинжалы Китая в I тыс. до н. э. : Проблемы типологии и хронологии 기원전 1천년 중국 청동 단검: 형식학 및 연대 문제[3] 석사 논문 주제는 비파형 동검이었다고 한다.[4] 유라시아 고고학을 세부전공으로 하고 있다.[5] 부제 : 황당한 가짜 유물 도난 사건! 신라 금관이 두 번이나 도둑맞은 사연은?[6] 부제 : 역사 속 실크로드에서 배우는 투자의 길[7] 부제 : 0.1% 부자들의 꿈에서 찾는 투자 비결[8] 부제 : 축구의 기원은 중국..? 고고학자가 바라보는 원조 논쟁[9] 부제 : 인류 최초의 식인은 언제 시작되었을까?, 고고학자가 하는 일[10] 부제 : 한국 고고학계의 이 유물 전세계가 충격받는 이유[11] 부제 : 한인 강제노동만 쏙 뺀 채 일본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12] 부제 : 고고학과 슈퍼내츄럴 특강[13] 부제 : 모두가 자기꺼라는 만주는 도대체 어느나라의 땅일까[14] 부제 : 한국 고대 문명의 비밀. 돌 하나로 인류 사 바꿨다/한국 고고학의 보물, 세계적인 유물이 한국에 밀집된 이유[15] 발굴 조사를 위해 몇 개월 그곳에 체류했어야 해서 텐트를 고르는 데 러시아어를 모르다보니 손짓으로 좋고 커보이는 텐트를 선택했다고 한다. 알고보니까 그곳이 발굴한 인골과 각종 유물을 놔두는 창고였다고(...)[16] 얼음공주는 알타이 지역에서 발견되었는데 알타이는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 위치한 곳으로 발견되는 문화는 페르시아 계통이 많아서 당대 알타이 사람들의 기원을 '페르시아에서 왔느냐?, 아니면 몽골의 현지 계통 사람이냐?' 를 가지고 학계에서 논쟁거리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