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5:35:12

진정령

陈情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FFFFF {{{#!folding [ 소설 ]
<tablewidth=100%>
파일:인사반파_표지.jpg
파일:K972635639_f.jpg
파일:천관사복.webp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인사반파자구계통
(人渣反派自救系统)

소설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1px; padding: 2px 4px 2px 7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5deg, #cacaca 21%, #aaaaaa 21%, #aaaaaa); font-size: 1em;"
2014. 09. 21. ~ 2014. 11. 30.
마도조사
(魔道祖師)

소설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1px; padding: 2px 4px 2px 7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5deg, #cacaca 21%, #aaaaaa 21%, #aaaaaa); font-size: 1em;"
2015. 10. 31. ~ 2016. 03. 01.
천관사복
(天官赐福)

소설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1px; padding: 2px 4px 2px 7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5deg, #cacaca 21%, #aaaaaa 21%, #aaaaaa); font-size: 1em;"
2017. 06. 16. ~ 2018. 02. 25.
사신몰유휴식일
(死神没有休息日)

소설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1px; padding: 2px 4px 2px 7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5deg, #cacaca 21%, #aaaaaa 21%, #aaaaaa); font-size: 1em;"
연재 예정
}}}}}}}}}
{{{#!folding [ 드라마 ]
{{{#!folding[ 애니메이션 ]
{{{#!folding[ 웹툰 ]
{{{#!folding [ 오디오 드라마 ]
}}}}}} ||

파일:텐센트 로고 화이트.svg
진정령 (2019)
陈情令 | The Untamed
파일:진정령.jpg
<colbgcolor=#891800><colcolor=#ffffff> 장르 선협, 로맨스, 가족
방송 시간
[[중국|]][[틀:국기|]][[틀:국기|]] ~ / 오후 08:0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 / 오후 09:00 ~
방송 기간
[[중국|]][[틀:국기|]][[틀:국기|]] 2019년 6월 27일 ~ 2019년 8월 20일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2019년 10월 21일 ~ 2019년 12월 2일
방송 횟수 50부작
방송 국가
[[중국|]][[틀:국기|]][[틀:국기|]] 중국
제작 企鹅影视, 新湃传媒
채널
[[중국|]][[틀:국기|]][[틀:국기|]] 파일:텐센트 비디오 로고.svg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파일:아시아앤 로고.png


<colbgcolor=#891800><colcolor=#fff> 제작 方芳, ​杨夏
연출 정위문, 진가림
극본 杨夏
원작
출연 샤오잔, 왕이보, 왕탁성, 쉬안루, 맹자의
국내
스트리밍

[[TVING|
TVING
]] | | | |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링크
[[중국|]][[틀:국기|]][[틀:국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일본|]][[틀:국기|]][[틀:국기|]]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공개 정보
2.1. 예고편2.2. 포스터2.3. 메이킹2.4. 배우 응원 영상
3. 시놉시스4. 등장인물
4.1. 주인공4.2. 고소 남씨(姑苏蓝氏)4.3. 운몽 강씨(云梦江氏)4.4. 난릉 금씨(兰陵金氏)4.5. 기산 온씨(岐山温氏)4.6. 청하 섭씨(清河聂氏)4.7. 의성(义城)4.8. 기타 인물
5. 설정6. 명대사7. 음악8. 방영 목록9. 평가10.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진정령.gif
남씨, 강씨, 온씨 등 다섯 가문이 천하를 지배한 가운데, 남씨와 강씨 두 가문의 청년이

중국소설가 묵향동후의 웹소설 《마도조사》를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 2019년 6월 27일, 중국텐센트 QQ LIVE에서 방영되었다. 연출은 정위문과 진가림이 맡았으며, 주연은 샤오잔왕이보가 맡았다.

웹드라마였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물론 대한민국, 일본, 태국, 인도네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흥행하였다. 현재 중국 텐센트 조회수만 100억뷰에 달하고, 국내에서도 OTT 서비스에서 시청률 상위권을 차지한 바 있다.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진정령 공식 예고편
진정령 공식 예고편 【일본어 더빙판】

2.2. 포스터

파일:wwx.jpg
파일:lwj.jpg
위무선 남망기
파일:shd.jpg
파일:wq.jpg
강염리 온정
파일:jc.jpg
파일:wn.jpg
파일:lxc.jpg
파일:jgy.jpg
강징 온녕 남희신 금광요
파일:금자헌.jpg
파일:온조.jpg
파일:nhs.jpg
파일:nmz.jpg
금자헌 온조 섭회상 섭명결
파일:xueyang.jpg
파일:xxc.jpg
파일:szc.jpg
파일:아천.jpg
설양 효성진 송람 아천
파일:lsz.jpg
파일:ljy.jpg
파일:금릉.jpg
파일:소섭.jpg
남사추 남경의 금릉 소섭

2.3. 메이킹



2.4. 배우 응원 영상

[navertv(14429214)]
[navertv(14429129)]
[navertv(14429022)]
송지양, 이박문 기리, 조욱진 정번성, 우빈

3. 시놉시스

고소 남씨, 운몽 강씨, 청하 섭씨, 기산 온씨, 난릉 금씨가 함께 천하를 다스리고 있던 시기, 밝고 명랑한 위무선과 진중한 성격을 가진 남망기는 서로 알게 되어 지기가 된다. 우연한 기회로 두 사람은 남씨 일가가 계속 수호해왔던 비밀을 알게 되고 유지를 받들어 사람들 주위에 잠복해 있는 환난을 없애주려 했지만, 배후의 흑막이 존재했으니 그는 바로 온씨가의 온약한이었다.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도조사/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4.1. 주인공

파일:위무선 프로필.jpg
위무선 (魏无羡)
배우 : 샤오잔, 성우 : 로지행

드라마의 주인공. 원작에서는 수(受) 포지션. 배우는 샤오잔, 성우는 로지행. 테마곡은 곡진진정.
무선은 자(字)이며, 이름은 위영(魏婴). 호(号)는 이릉노조(夷陵老祖). 패검의 이름은 수편(隨便),[1] '아무거나'란 뜻. 피리의 이름은 진정(陳情).

어릴 적 부모를 잃고 떠돌다가 강풍면이 거두어들인 덕분에 운몽 강씨에서 자랐으며, 강징과 강염리 남매와는 친형제이자 친구같은 사이를 자랑한다. 뻔뻔하고 자유로운 성격 탓에 운심부지처 수학 시절에 사고뭉치로 악명을 날렸다. 그와 별개로 외모순위 작중 4위로 남자답고 키크고 잘생긴데다가 다재다능한 천재다. 고소 남씨로 수학을 갔다가 남망기와 마주치고, 그 후 까불어서 벌을 받으면서도 플러팅을 치며 친해지게 된다.

검을 버리고 피리(진정陈情)를 들어 마도의 길을 걷게 된 이후에는 이릉노조라고 불리게 된다.[2] 이릉노조로 돌아온 뒤에는 귀신 피리 진정을 이용해 흉시를 부려 기산 온씨들을 학살하면서 사일지정에서 큰 공을 세웠으나, 온씨 일가를 연쇄적으로 흉시로 만드는 모습에 선문세가의 두려움을 사게 된다. 정도에서 벗어나 사도를 수련하고 있기 때문에 동정인데도 불구하고 음란하고 지저분한 소문이 많이 따라다닌다.

본인의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도와주지만, 좋은 의도로 하는 일을 일일이 설명하는 성격이 아닌지라 오해도 많이 받는다. 결국 이러한 오해는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심해져 위무선이 생전에 선문세가 만인의 적이 되는데 한몫 한다.
파일:남망기 프로필.jpg
남망기 (蓝忘机)
배우 : 왕이보, 성우 : 변강

드라마의 또 다른 주인공. 원작에서는 공(攻) 포지션. 배우는 왕이보, 성우는 변강. 테마곡은 불망.
망기는 자(字)이며, 이름은 남잠(蓝湛). 호(号)는 함광군(含光君)[3] 패검의 이름은 피진(避尘)[4], 고금의 이름은 망기금(忘机琴).

고소 남씨의 2공자. 자유분방한 위무선과는 다르게 과묵하고 무거운 성격에 3000개[5]의 가규를 모조리 외워 칼같이 지킨다. '남에게 접촉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봐서는 사람 사귀는 것을 꺼리는 것 같으나 위무선을 만난 이후로는 조금씩 그에게 마음의 문을 연다. 결국은 위무선 바라기 위무선이 마도의 길에 들어서려고 했을 땐 남들처럼 마도의 길에는 댓가가 있다며 그를 말리고 설득했으나, 위무선이 16년동안 사라졌다가 돌아온 이후에는 그가 가는 길이면 가규도 뒤로 하고 나란히 함께하려고 한다.

미남이 많은 남씨 가문에서도 출중한 외모로 꼽혀 형과 함께 고소 쌍벽이라고 불리며, 차갑고 다가가기 어려운 느낌 때문에 온화한 형에게 밀려 외모순위 2위를 담당한다.
이야기 자체가 기본적으로 위무선을 중심으로 돌아가는데다가 중간에 위무선이 연화오로 돌아가 강징 남매와 함께 지내는지라 남망기와 마주칠 일이 없어 몇 화 동안 얼굴을 비추지 않은 적이 있다. 그 반동으로 18화 쯤에 남망기가 잠깐 얼굴을 비췄을 때 반응이 상당했다.[6] 원작에서는 꽤나 오랜기간 위무선에게 입덕부정기를 겪은 것으로 보인다.

4.2. 고소 남씨(姑苏蓝氏)

파일:lxc.jpg
남희신 (蓝曦臣)
배우 : 류해관, 성우 : 능비

고소 남씨의 종주이자 남망기의 형. 배우는 류해관.
작중에는 언급되지 않지만 이름은 남환, 호(号)는 택무군. 주로 열빙(裂冰)이라는 퉁소를 사용한다. 패검의 이름은 삭월(朔月).

종주인 만큼 가규를 중요시하나, 남망기와는 달리 인자한 미소를 자주 보인다. 초반에는 위무선을 차갑게만 대하던 동생 망기의 감정을 일찍이 눈치챈 것 같기도 하다. 그리고 그가 위무선을 믿는 만큼 남희신 본인도 금광요를 믿고 있다고 한다.[7] 여담으로 원작에서는 남망기와 함께 미모 1, 2위를 다툰다고 한다.
파일:lsz.jpg
남사추 (蓝思追)
배우 : 정번성, 아역 배우 : 강혁정, 성우 : 전문청

고소 남씨의 문하생. 배우는 정번성, 아역배우는 강혁정.
자는 남망기가 지어준 사추이며, '임을 그리워해도 쫓아갈 길 없네 思君不可追' 의 첫 글자와 끝 글자를 따서 만들었다. 위무선을 그리는 마음 이름은 남원(蓝愿).[8]

앳된 외모와는 달리 성숙하고 온화한 성격. 고소의 입담왕 남경의를 늘 말리는 포지션이다. 총명하고 신중하며, 문령[9] 등은 함광군에게 칭찬을 받았다는 것을 보아 실력 또한 나쁘지 않은 듯하다. 5살 이전의 어린 시절 기억이 없으나, 16년 후 돌아온 위무선을 만난 이후 조금씩이나마 과거를 떠올린다. 빡치면 매우 무섭다
파일:ljy.jpg
남경의 (蓝景仪)
배우 : 구오청, 성우 : 류사잠

고소 남씨의 문하생. 배우는 구오청. 성우는 류사잠.
고소 남씨의 입담왕이다. 1화부터 거림낌 없이 말을 내뱉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때문에 함께 다니는 남사추에게는 눈치를 자주 받지만, 위무선은 신경도 쓰지 않는 것 같다. 남사추와는 절친이며 남사추와 함광군만 보면 인상을 쓰다가도 화색이 된다.[10]
파일:진정령_남계인.jpg
남계인 (蓝启仁)
배우 : 황자등, 성우 : 장문천

남망기, 남희신의 숙부. 배우는 황자등.
종주는 아니지만 전 종주 청형군의 동생이자 현 종주 남희신의 숙부로서 고소 남씨의 웃어른 대접을 받는다. 여담으로 화가 나면 자주 피를 뱉어 '피토계인' 이라는 별명도 있다.
파일:진정령_남익.jpg
남익 (蓝翼)
배우 : 이약동, 배우 : 육경의

남씨의 선조. 배우는 이약동.
오래 전 고소 남씨의 종주였으며, 위무선의 생각처럼 음철을 제어하여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포산산인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음철을 제어하려 했으나 실패하였고, 한담동에 음철과 함께 봉인되었다. 이후 한담동을 찾아온 남망기와 위무선에게 모든 이야기를 들려주고, 음철을 넘겨준 후에 사라진다.

4.3. 운몽 강씨(云梦江氏)

파일:jc.jpg
강징 (江澄)
배우 : 왕탁성, 성우 : 왕개

운몽 강씨의 종주이자 위무선과 애증 관계의 절친. 배우는 왕탁성, 성우는 왕개.
자(字)는 만음(晚吟), 호(号)는 삼독성수(三毒圣手).[11] 패검의 이름은 삼독(三毒). 어머니 우자연에게 물려받은 채찍 자전(紫电)이 있다.[12]

어릴 적부터 같이 자란 위무선의 사제이자 절친이다. 늘 투닥대고 싸워서 누나인 강염리가 말리는 것이 일상이었지만, 실은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하며 지냈던 사이이다. 16년 전 위무선이 절벽에서 떨어지던 날 이후에는[13] 위무선을 그 누구보다도 저주하게 된다. 이릉노조의 사술을 쓴 자는 죽여서 네 개한테 먹이라고!
파일:강염리 프로필.jpg
강염리 (江厌离)
배우 : 쉬안루, 성우 : 백설잠

강징의 친누나이자 위무선의 사저. 배우는 쉬안루, 성우는 백설잠.
무선과 강징에게 가장 소중한 사람 중 한 명. 난릉 금씨의 금자헌을 좋아하나, 약혼이 깨지면서 마음을 다잡으려 한다. 하지만 사일지정이 끝난 후에 서로 사랑을 확인하고, 혼인을 올리고 아이도 낳는다.
얼굴은 세가 여인들 중 다소 밋밋하다는 설정. 예? 약혼자였던 금자헌은 난릉 금씨 집안에서도 외모가 출중한 편이었기에 초기에는 강염리를 배척하기도 했다.
파일:진정령_강풍면.jpg
강풍면 (江枫眠)
배우 : 육검민, 성우 : 탕수우

전 운몽 강씨의 종주이자 강징과 강염리의 아버지. 배우는 육검민. 성우는 탕수우.
친우의 아들인 위무선에겐 다정했지만 정작 친아들인 강징에게 엄격한 아버지였다. 딸인 강염리와 함께 집안을 비운 사이에 기산 온씨가 운몽 강씨를 습격하였는데, 자전에 묶인 채 조각배에 실려 오는 위무선과 강징을 보고 문제가 발생했음을 짐작하여 딸 역시 조각배에 태워 은신처로 보낸다. 이후 연화오로 돌아갔다가 아내와 함께 죽임당한다.
파일:진정령_우자연.jpg
우자연 (虞紫鸢)
배우 : 장정동, 성우 : 이금염

강징의 어머니. 배우는 장정동. 성우는 이금염.
이름은 우자연. 호(号)는 자지주. 자전의 주인으로 아들에게 자전을 물려줬다.[14] 강풍면과는 정략혼으로 결혼했으나 남편과는 성격이 정반대였기에 부부 사이는 좋지 않았다.
불같은 성정의 위풍당당한 쾌걸이다. 위무선을 좋게 보지 않았지만[15] 기산 온씨가 연화오를 습격하자 강징과 함께 위무선도 대피시킨다. 이후 온가에게 죽임 당한다. 생전에는 남편을 그렇게 좋게 생각하지 않았지만, 마지막에는 남편의 손을 잡은 채 최후를 맞이한다. 거기다가 하필 이 장면에서 온조와 왕영교가 결연하게 싸우다 죽어간 이 둘을 비웃듯 가주 전용 의자에 앉아 강 종주 부부의 시신을 내려다보며 서로 사랑을 나누는지라 비극성이 더 심화된다.

4.4. 난릉 금씨(兰陵金氏)

파일:jgy.jpg
금광요 (金光瑶)
배우 : 주찬금, 성우 : 쑤샹칭

난릉 금씨의 종주. 배우는 주찬금. 성우는 쑤샹칭.
이름은 맹요, 호(号)는 염방존. 패검의 이름은 한생(恨生).

금광선의 사생아라는 이유로[16] 가문에서 쫓겨나 살았다. 그러다 섭명결의 손에 거두어져 총애받는 청하 섭씨의 문하생으로 지내다가 그마저도 금방 쫓겨나게 된다. 이후 음철을 이용해 꼭대기에 서려는 기산 온씨에 들어가 군사 배치도를 다른 가문들에게 몰래 흘리며 온씨의 멸망을 돕는다. 결국 기산 온씨의 가주 온약한을 죽이고 그 공 덕분에 금광선의 자식으로 인정받아 난릉 금씨에 다시 들어가게 된다.[17] 16년 후에는 난릉 금씨의 종주가 된다.
파일:금릉.jpg
금릉 (金凌)
배우 : 칠배흠, 성우 : 장사왕지

강염리와 금자헌의 아들. 배우는 칠배흠. 성우는 장사왕지.
자(字)는 위무선이 지어준 여란(如兰). 패검은 아버지 금자헌에게 물려받은 세화(岁华).

난릉 금씨에서 자랐으나 외삼촌인 강징 손에서도 꽤 오래 자란 듯하다. 어릴 적부터 강징에게서 이릉노조에 대한 악담을 듣고 자란 탓에 커서도 위무선에 대한 원한이 크다. 줄곧 옆에 붙어서는 정 아닌 정을 들였던 모현우가 위무선이라는 사실을 알고는 꽤나 충격받은 모습을 보였다.
파일:금자헌 프로필.jpg
금자헌 (金子轩)
배우 : 조욱진, 성우 : 사택곤

금광선의 적자이자 금릉의 아버지. 배우는 조욱진. 성우는 사택곤.
패검은 세화(岁华). 이후 아들 금릉이 물려받는다.

금광선의 유일한 적자로 아버지의 총애를 받으며 당연히 다음 종주는 금자헌 자신이 되어야 한다는 소리까지 들었다. 강염리와의 약혼을 맺었을[18] 당시에는 대놓고 면전에서 싫은 티를 냈지만, 막상 파혼이 되자 그제야 강염리를 눈여겨 보며 유치한 짝사랑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위무선과 강징은 금자헌을 못마땅해 하기도 했다.[19] 결국 나중에야 강염리와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여 혼인하고 아들 금릉도 낳는다.
파일:진정령_금자훈.png
금자훈 (金子勋)
배우 : 요서호, 성우 : 왕민납

금자헌의 사촌 형. 배우는 요서호. 성우는 왕민납.
온 몸에 구멍이 나고 종기가 나는 천창백공의 저주에 걸린다. 위무선이 저주를 걸었다고 생각하고는 위무선을 위협한다. 그러나 천창백공의 저주를 걸게 되면 저주를 건 사람 몸에 또한 그 흔적이 있어야하는데 자신은 그것이 없다며 위무선은 반박한다.
파일:진정령_금부인.jpg
금 부인 (金夫人)
배우 : 호소정

금자헌의 어머니. 배우는 호소정.
파일:진정령_금광선.jpg
금광선 (金光善)
배우 : 심효해, 성우 : 양묵

난릉 금씨의 나쁜놈 전 종주. 배우는 심효해. 성우는 양묵.
금자헌, 금광요의 아버지. 엄청난 호색한으로 밖에서 낳은 사생아만 몇 백에 달한다고 한다. 금광요와 모현우도 그런 사생아들에 속한다.
파일:진정령_나청양.jpg
나청양 (罗青羊)
배우 : 왕예비, 성우 : 장위멍

면면이라고 불리는 난릉 금씨의 제자. 배우는 왕예비. 성우는 장위멍.
금자헌의 총애 아닌 총애를 받으며 지냈으나, 점점 악해져가는 가문을 참지 못하고 스스로 난릉 금씨를 나오게 된다. 이전에 왕영교가 던진 인두에 맞을 뻔한 것을 위무선이 대신 맞았는데, 그 일 이후로 위무선이 악한 소문에 오르내려도 면면은 그가 착한 사람이라고 이야기한다. 여담으로 다른 수사들과 함께 현무 동굴에 갇혔을 때 면면이 위무선에게 미안하다면서 엉엉 우는데, 상황 자체는 심각하지만 면면이 뜬금없이 울음을 터뜨린거라 개그성 이벤트로 지나간다.
이후 밝혀진 본명은 나청양. 이후 상인이었던 남편과 결혼해 이름 똑같은 딸 '면면'을 둔다.
파일:진정령_진소.jpg
진소 (秦愫)
배우 : 금로옥

금광요의 아내. 배우는 금로옥.
난릉 금씨의 부속 가문인 악릉 진씨의 가주이자 금광선의 오랜 부하였던 진창업(秦苍业)의 딸이다. 금광요와 서로 사랑하게 되어 혼인했다. 슬하에 아들 금여송도 있었으나 어린 나이에 죽었다.
[스포일러]
사실 금광선의 숨겨진 딸이자 금광요, 모현우, 금자헌의 이복 여동생이다. 금광선이 진창업의 아내인 진 부인을 강제로 겁탈해 태어난 딸이었던 것. 아들 금여송은 이복남매간의 근친상간으로 태어나서 지적장애를 가진 것이 확실했기 때문에, 이 사실이 자신의 약점이 될 것을 우려하여 숨기려는 남편 금광요에 의해 살해당했다. 이후 이 모든 사실을 알고 충격을 받은 채 괴로워하다가 고통을 버티지 못하고 기절하여 밀실에 갇힌다. 결국 절망을 견디지 못한 채 많은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자결한다.

4.5. 기산 온씨(岐山温氏)

파일:wn.jpg
온녕 (温宁)
배우 : 우빈, 성우 : 이흔

기산 온씨의 방계이자 위무선이 데리고 다니는 지능이 있는 흉시. 배우는 우빈,[20] 성우는 이흔.
자(字)는 경림(琼林), 호(号)는 귀장군(鬼将军).

이름만 들어도 사람들이 벌벌 떤다는 귀장군이라는 호가 무색하게 순하고 순진하다. 어릴 적 영혼 일부를 흡수당하는 사고 때문에 지능이 떨어져 하는 행동도 어딘가 바보스러운 면이 있다.[21] 그 탓에 고소 남씨의 운심부지처에서 교육이 진행되었을 때도 참여하지 못하고 홀로 궁술 연습을 했다. 지능과 별개로 무예 능력은 뛰어난 듯. 또한 순진한 성격만큼 자신에게 진심으로 호의를 베푼 사람을 믿고 도와주기도 한다. 사일지정 중 난릉 금씨에게 온씨 사람들이 죽임을 당할 때, 사술 중 하나인 소음기에 찔린 채로 발견되었다. 그 때문에 죽은 것도 산 것도 아닌 삶을 살게 된다. 위무선을 존경한다.
파일:진정령 온정_맹자의1.jpg
온정 (温情)
배우 : 맹자의, 성우 : 챠오스위

온녕의 누나. 배우는 맹자의. 성우는 챠오스위.

기산 온씨의 솜씨 좋은 의원이다.[22] 난폭한 기산 온씨에서 지내며 동생인 온녕에게 의지를 많이 한 탓에 온정의 모든 첫 순위는 온녕이 되었다. 온씨 가문의 몇 안되는 상식인이기에[23] 가문 사람들의 악행을 좋게 생각하지 않지만, 온약한이 온녕을 인질삼아 협박을 한 탓에 온약한과 온조의 곁에서 뜻을 따르며 지내고 있다. 평소에는 온녕이 자주 아파서 치료해야 된다는 핑계로 자신의 의원에서 벗어나지 않는데, 이 덕에 강씨 남매가 잠깐이나마 온씨 가문으로부터 몸을 숨길 수 있었다. 강징을 치료하기 위해 지나치게 무리하는 위무선에게 '너는 그럼 누가 걱정해주냐'는 식으로 충고하기도 한다.
파일:진정령_온약한.webp
온약한 (温若寒)
배우 : 수경, 성우 : 류총

기산 온씨 가문의 종주. 배우는 수경. 성우는 류총.
임무에 실패한 부하를 흉시들을 부려 찢어 죽이거나 온정에게 온녕을 빌미로 협박하는 등 잔인한 성격이다. 현무 동굴 사건 이후 힘을 점점 통제할 수 없게 되며, 이는 온조가 운몽 강씨를 침공하는 계기가 된다.
파일:온조.jpg
온조 (温晁)
배우 : 하붕, 성우 : 문정연

온약한의 둘째 아들. 배우는 하붕. 성우는 원징위안. 요약: 연기하는 배우가 불쌍한 인간 쓰레기 캐릭터
생긴 것만 봐도 거만함이 잔뜩 묻어있으며, 실제 성격도 그렇다. 잔인한데다가 자신과 소속 가문외에 다른 사람은 전부 하찮게 여긴다. 다른 4대 세가의 힘을 억누르겠다는 명분으로 선전포고 없이 무력을 행사하여 수많은 문하생들을 죽이고, 세가의 자제들에게 교육이라는 명분으로 탈진해 쓰러지는 사람이 나와도 억지로 기립 상태에서 글을 읽게 하거나 무술과 퇴마가 주업인 자제들에게 농삿일을 시키며 부려먹는다. 급기야 자제들을 끌고 현무동굴 안을 헤집고 다니다가 모두를 위기에 몰아놓고는 정작 본인은 가문 사람들만 데리고 탈출한 뒤 지상과 연결하는 밧줄을 끊고 동굴 입구를 막는 치졸함까지 보여준다.[24] 특히 첫만남부터 안좋게 시작한 위무선을 굉장히 아니꼽게 여겨 세가 자제들 중에서 위무선을 유독 많이 괴롭힌다.[25] 이후에도 계속 가문의 위세에 기대 다른 세가를 학살하는 등 악행을 저지르나, 결국 사일지정이 일어나면서 이릉노조로 돌아온 위무선에게 잔혹하게 살해당한다.
파일:진정령_온욱.jpg
온욱 (温旭)
배우 : 왕융

온약한의 첫째 아들. 배우는 왕융.
고소 남씨를 공격하는 과정에서 남망기의 한 쪽 다리를 부러뜨리는 만행을 저질렀지만[26], 아버지와 동생이 온갖 쓰레기 짓을 다 차지하는지라 비중은 크지 않다.
원작 소설에선 사일지정이 일어나면서 섭명결에게 목이 잘려 효수 당하고, 남은 시신은 청하 섭씨의 수사들에게 갈기갈기 찢겨지고 땅에 짓이겨 발라버렸다.
파일:진정령_온축류.jpg
온축류 (温逐流)
배우 : 풍명량, 성우 : 상문도

온조의 부하이자 기산 온씨 가문의 고수. 배우는 풍명량. 성우는 상문도.
원래의 이름은 조축류였으나, 온조가 거두어 성씨를 바꾼 듯하다. 온조가 자신을 거두어주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온조에게 평생 충성하며, 운몽 강씨 멸문 때는 강징의 금단을 파괴하여 그를 일시적으로 폐인으로 만든다. 하지만 사일지정이 일어나면서 온조와 함께 도망치다가 결국 이릉노조로 돌아온 위무선에게 살해당한다.
파일:진정령_왕영교.jpg
왕영교 (王灵娇)
배우 : 로은길, 성우 : 구추

온조의 애첩. 배우는 로은길. 성우는 구추.
온조의 애첩이라는 위세에 기대 안하무인으로 행동하고 그의 악행에 동조한다. 다른 세가의 여인들을 무시하는 것은 기본이고, 혼란을 틈타 면면에게 달궈진 인두를 들이밀려고 했고, 종주만 앉을 수 있는 연화오 의자에 자기가 상전인 양 앉으면서 우 부인에게 위무선을 죽일 것을 지시한다. 결국 사일지정이 일어나면서 이릉노조 위무선에게 잔혹하게 살해당하여 그동안의 악행을 돌려받는다.

4.6. 청하 섭씨(清河聂氏)

파일:nhs.jpg
섭회상 (聂怀桑)
배우 : 기리

섭명결의 동생. 배우는 기리(Jili).[27]

16년 전에는 어딘가 어벙한 위무선의 친구로 나오다가 16년 후엔 청하 섭씨의 종주가 된다. 늘 '나는 몰라요' 를 입버릇처럼 달고 산다. 때문에 붙은 호가 일문삼부지(一问三不知).[28]

[스포일러]
위무선이 헌사된 후 벌어진 모든 사건을 계획한 인물. 최종 흑막
섭명결이 주화입마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는 정말로 '모르쇠'였던 섭회상이었지만, 섭명결의 시신이 뒤바뀌고 믿었던 금광요의 진상을 알게 된 순간부터 이 모든 일을 계획했던 것. 하나뿐인 친형을 죽게 하고 사후에도 편히 쉬지도 못하게 만든 금광요에게 복수를 하기 위해, 금린대에서 쫓겨난 모현우에게 헌사술로 위무선을 헌사시켜 모가장의 모씨 일가에게 복수하라고 부추겼다.또한 금광요의 살심을 부추기기 위해 협박 서신을 보내면서 그를 궁지에 몰기 시작했다. 이후 2차 난장강 토벌 이후 세가 사람들이 연화오에 모여있을 때, 사사와 벽초를 보내 금광요가 공공의 적이 되도록 만드는데 성공한다. 마지막에는 관음묘에 금광요가 묻어두었던 금광요의 어머니인 맹시의 시신과 섭명결의 머리를 미리 빼돌려 관을 연 금광요가 독성 연기에 당하도록 했으며, 끝으로 한쪽 팔을 잃고 만신창이가 된 금광요를 확실하게 끝장내기 위해 일부러 뒤를 조심하라고 비명을 질러 남희신이 그를 검으로 찌르도록 부추겼다.위무선이 헌사한 후 기회를 틈타 적봉존 섭명결의 왼손을 던져 판을 키운 사람도 섭회상이였다. 적봉존의 남은 시신을 찾는 위험하고 귀찮은 일은 모두 남망기와 위무선이 떠안고, 자신은 그들의 동향을 살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그리 했던 것이다
원작 소설에서는 금광요가 파멸한 원인을 어디까지나 위무선의 추측으로 남겨두어 해석의 여지를 남기는데 비해, 진정령에서는 관음묘에서 부상당해 남희신에게 응급처치를 받는 금광요를 보는 섭회상의 표정이 싸늘해지고, 진통제 약병을 못 찾는 척 남희신이 돌아보게 만드는 등 확실하게 금광요에게 원한을 품고 그의 몰락을 계획했음을 암시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파일:nmz.jpg
섭명결 (聂明玦)
배우 : 왕익주

청하 섭씨의 전 종주. 배우는 왕익주.
호(号)는 레드 블레이드 마스터 적봉존. 패도[29]는 패하(霸下).

촐싹대는 섭회상과는 달리 엄하고 진지한 엄근진 분위기로 기산 온씨 공격을 주도한다. 16년 후, 섭명결의 주화입마로 인한 갑작스런 죽음과 사라진 시체를 찾는 것으로 드라마의 후반부가 전개된다.[30]

4.7. 의성(义城)[31]

파일:xueyang.jpg
설양 (薛洋)
배우 : 왕호헌, 성우 : 류삼목

기산 온씨에서 처음 음철을 갖고 거래한 악당. 배우는 왕호헌. 성우는 류삼목.
자(字)는 설성미(薛成美).[32] 패검의 이름은 강재(降灾).[33]

음철 네 조각을 모두 손에 넣으려는 기산 온씨가 '음철을 가져오는 대신 약양 상씨는 마음대로 하라'는 조건으로 데려온 소년 악당이다. 설양은 개인적인 원한[34]으로 거래를 했기 때문에 어느 가문의 소속도 아니다. 효성진과 송람의 손에 붙잡혀 청하 섭씨에 의해 가두어지지만 누군가에 의해 금방 풀려난다.

의성편에서는 앞이 보이지 않는 효성진에게 목숨을 구해지며 생전 느껴본 적 없는 다정함을 느끼고 사람을 대하는 감정을 알아가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평생을 악동으로 살아온 탓에 사람간의 관계라는 것을 몰랐기에 자신의 뜻대로 휘두르면 된다고 생각한 것 같다. 함께 지내며 앞이 보이지 않는 효성진을 이용해 무고한 사람들과 송람을 죽였고, 결국 진실을 알게 된 효성진은 자결한다. 이후 효성진을 되살리려고 몇 년간 혼백을 모으던 설양도 결국은 송람의 손에 죽는다.
파일:효성진 프로필.jpg
효성진 (晓星尘)
배우 : 송지양, 성우 : 진장태강

포산산인의 제자. 배우는 송지양. 성우는 진장태강.
호(号)는 명월청풍 (明月清风). 패검의 이름은 상화(霜华).

하산 후 벗인 송람과 함께 세상을 돌아다닌다. 악동인 설양을 붙잡으려다 위무선 일행과 처음 마주치게 된다. 위무선의 어머니인 장색산인은 효성진과 같은 스승을 둔 사매인지라 따지고 보면 효성진과 위무선은 사숙 지간이었으나, 아쉽게도 효성진 또한 장색산인은 소문으로만 들었다고 한다.
절친한 벗인 송람이 눈을 잃자 망설임 없이 제 눈을 빼주었으며, 이후 의성 에피소드에서는 하얀 천으로 눈을 가린 채로 등장한다. 앞이 보이지 않는 탓에 원수인 설양의 목숨을 구해주며 의성 에피소드가 시작된다.
파일:아천 프로필.jpg
아천 (阿菁)
배우 : 천쥬오쉬엔, 성우 : 하문소

효성진을 따라다니는 어린 소녀. 배우는 천쥬오쉬엔. 성우는 하문소.
장님인 척하며 소매치기를 일삼다가 효성진을 만나고선 그를 따라 나선다. 이후 함께 지내게 된 설양을 의심하다 결국엔 설양에 의해 진짜로 눈이 멀게 되고 혀도 잘린다.
파일:szc.jpg
송람 (宋岚)
배우 : 이박문, 성우 : 로력봉

효성진의 벗. 배우는 이박문. 성우는 로력봉.
이름은 송람(宋岚), 호(号)는 오설능상(傲雪凌霜). 패검의 이름은 불설(拂雪).

효성진의 절친한 벗이었으나, 설양에게 눈을 잃게 된 후 화풀이 할 곳이 없어 죄 없는 효성진에게 다신 보지 말자며 화를 낸다. 이후 효성진에게 눈을 받아 시력을 되찾으나 효성진은 송람의 곁을 떠난다. 이후 홀로 효성진을 찾으러 떠돌아다니다 의성에서 설양과 함께 지내는 효성진을 발견하고, 설양의 기만적인 행동에 분노해 겨루게 되나 설양의 흉계에 당해 눈이 안 보이는 효성진이 송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찌르게 되는 사태가 발생한다. 그 후 괴뢰로 변해 설양에게 조종받다 위무선에 의해 제정신으로 돌아오게 된 후 설양을 죽여 복수한다. 효성진의 찢어진 혼이 담긴 쇄령낭과 효성진의 검 상화도 송람이 가지게 된다.

4.8. 기타 인물

파일:소섭.jpg
소섭 (苏涉)
배우 : 풍총, 성우 : 북진

고소 남씨에서 파생된 말릉 소씨(秣陵苏氏) 가문의 종주. 배우는 풍총. 성우는 북진.
자(字)는 소민선. 고소 남씨 문하생이었지만 자신이 홀대받는다는 것 같다는 열등감에 가문을 박차고 나왔다. 이후 금광요에게 충성하게 된다. 함광군을 싫어한다고 하지만 함광군의 모습을 자주 따라한다. 그리고 누군가가 그것을 언급하는 것도 싫어한다.
파일:진정령_구양자진.jpg
구양자진 (欧阳子真)
배우 : 조준상

구양 종주의 아들이자 위무선이 의성에서 만난 소년들 중 한 명. 배우는 조준상.
남경의 못지 않게 할 말은 다 하는 편이나, 눈치 보지 않는 남경의와는 다르게 남의 눈치를 굉장히 많이 보는 편이다. 위무선을 상당히 존경하는 모습을 보인다.
파일:진정령_모현우.png
모현우 (莫玄羽)
배우 : 샤오잔

죽은 위무선을 헌사[35]한 인물. 금광선의 사생아. 원작에서는 단수로 묘사되며 금광요에게 집적대다가 난릉 금씨에서 쫓겨났다고 나오지만, 드라마에선 금광요의 부인에게 들이댔었다고 되어있다.
파일:진정령_모부인_.png
모 부인 (莫夫人)
배우 : 가서이

모현우의 이모. 배우는 가서이.
파일:진정령_모자연.jpg
모자연 (莫子渊)
배우 : 손성헌

모 부인의 아들이자 모현우의 사촌. 배우는 손성헌.
파일:온묘_진정령.webp
온묘 (温卯)
배우 : 장빈

기산 온씨의 시조. 수진계에 가문을 성행시키고 문파를 쇠락시킨 창시자. 배우는 장빈.
파일:진정령_설중해.webp
설중해 (薛重亥)
배우 : 우자관

진정령 오리지널 캐릭터이자 음철로 처음 세상에 재앙을 가져온 사람. 배우는 우자관.

5.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도조사/설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명대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정령/명대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결말 #==
파일:진정령마지막화(50화).gif
진정령 50화(完) 마지막 장면

사건 이후에도 함께하는 원작 소설과는 다르게 남망기는 선독이 되어 운심부지처로, 위무선은 다른 방향으로 떠난다. 이후 혼자가 된 위무선은 진정으로 무기(无羁)를 부는데, 어디에선가 "위영"하고 부르는 남망기의 목소리가 들리고, 이에 연주를 멈춘 채 뒤돌아보며 웃는 열린 결말로 마무리된다.

한편 일본판에서는 순서가 바뀌어 서로 갈 길을 가다 재회하고 함께 합주를 하는 결말이기에, 원작 소설처럼 함께하게 된 것이 결말아니냐는 의견도 존재한다.

7. 음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정령/음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방영 목록

<rowcolor=#FFFFFF> 회차 제목[36] 비고
제1화 부활
제2화 재회
제3화 인연의 시작 과거편(16년 전) 시작
제4화 온씨 남매의 등장
제5화 벽령호의 수행연
제6화 한담동
제7화 음철의 비밀
제8화 시화녀와 음철
제9화 과거의 그림자
제10화 설양과 효성진
제11화 폐허가 된 운심부지처
제12화 지하감옥의 하룻밤
제13화 모계산의 동굴
제14화 도륙현무
제15화 왕영교의 위세
제16화 연화오의 비극
제17화 화단수
제18화 송람과의 재회
제19화 난장강
제20화 피리소리
제21화 돌아온 위영
제22화 사일지정
제23화 음호부의 등장
제24화 또 다른 음모
제25화 백봉산 야렵대회
제26화 온녕을 찾아서
제27화 위무선을 향한 의심
제28화 강징과의 결투
제29화 되살아난 온녕
제30화 재회
제31화 온녕의 폭주
제32화 비극의 소용돌이
제33화 다시 운명 속으로 16년 후
제34화 행로령의 식인보루
제35화 식인보루의 비밀
제36화 살며시 드러난 마음
제37화 잘 꾸며진 연극 의성편
제38화 은혜를 원수로 갚다
제39화 사탕
제40화 드러나는 비밀
제41화 금광요의 두 얼굴
제42화 오직 한 사람
제43화 맞닿은 진심
제44화 다시 난장강으로
제45화 옛 추억의 그림자
제46화 수편을 버린 이유
제47화 관음묘
제48화 잔혹한 진실
제49화 최후의 발악
제50화 끝과 시작의 경계

9.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 bordercolor=#0c9bff><bgcolor=#fdfdfd,#000014><tablebgcolor=#fff,#191919> 파일:라쿠텐 비키 로고.svg ||
평점 9.8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px><tablebgcolor=#fff,#191919><bgcolor=#275c9d><tablebordercolor=#275c9d> 파일:MyDramaList_logo.png ||
별점 9.0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7.7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4.1 / 5.0


10. 여담

  • 원작인 마도조사는 과거편(고소 수학시절부터 난장강 대토벌까지)과 현재편(위무선 헌사 이후)이 교차되는 형식으로 전개되는 반면, 진정령에서는 현재편의 시작을 먼저 보여주고 나서 과거편을 보여준 뒤 다시 현재편에서 전개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37] 또한 과거편 내에서도 회상 씬이 상당히 많다.
  • 진정령을 제작하면서 감독이 주연 외에는 대부분 과감히 신인을 캐스팅했는데, 진정령이 대박나면서 신인들도 한 번에 얼굴을 알리게 된 케이스가 많다. 다행히 신인 배우들이 연기 논란이 없어서 그럴 수도. 중국은 물론 국내에서도 팬층이 점차 생기고 있다. 주연 배우들의 팬층은 이미 어느정도 두꺼워진 상태.
  • 고장 분장 탓인지 배우들의 나이를 비교하다 보면 놀라는 사람들이 많다. 예를 들어 택무군 배우와 남경의 배우가 동갑이라거나,[39] 효성진 배우와 남사추 배우가 동갑이라거나,[40] 강징과 금릉의 배우가 한 살 차이라던가.[41] 당장 공동 주인공이자 친구 관계인 위무선과 남망기를 연기한 샤오잔과 왕이보부터가 6살 차이다.
  • 웨이보에서 '한국인들의 남망기 평가' [42] 라는 해시태그가 돌던 적이 있다. 이 해시태그를 타고 들어가보면 중국 팬들이 한국인들이 SNS에서 남망기 주접 떤 것을 번역한 사진들이 많다. 역시 주접의 민족
  • 왠만한 드라마나 영화들이 다 그렇지만 캐릭터와 배우간의 성격 차가 큰 경우가 많다. 그러다보니 오프 더 레코드 사진이나 영상에서는 꽤 훈훈한 모습을 많이 보인다. 예를 들어 남희신, 금광요, 섭명결 역의 배우들이 서로에게 모기약을 뿌려주거나 휴대용 선풍기를 쐬며 엎드려 있는 위무선 배우에게 강징 배우가 옷을 덮어주는 시늉을 하는 식으로. 남망기 배우는 아예 위무선 배우에게 까부는 모습도 종종 보인다. 이 때문에 위무선 배우가 남망기의 배우와 어울려주다 중간에 지치는 모습이 많다. 또 남망기 배우인 왕이보가 블랙핑크의 뚜두뚜두를 추는 것을 남희신 배우가 흥미롭게 보기도 한다.[43]
  • 원작이 BL 소설인지라 크게 부각되지는 않지만 수준 높은 무협설정과 캐릭터성 덕분에 은근히 숨어있는 남덕들도 많다. 심지어 부모님들과 함께 보는 사람들도 있다.
  • 원작 소설의 망선(忘羡)과 대응하는 주제가인 무기(无羁)에는 마찬가지로 두 주인공의 이름이 담겨있다.#


[1] 패검의 이름을 지으라는 말에 ‘아무거나 해요’라고 대답했다가 정말로 ‘아무거나’가 되었다.[2] 운몽 강씨가 기산 온씨에게 멸문당할 때 강징이 위무선을 보호하려다 온축류에게 공격을 받아 금단을 잃고, 이에 위무선이 자신의 금단을 내주어 강징에게 줬다. 금단 없이는 패검을 들 수 없는데다가 피로와 부상이 겹쳐 몸이 성치 않은 상태에서 영혼마저 수장된다는 난장강에 던져지는 바람에 살기 위해서는 다른 선택이 없었다. 애초에 난장강에서 결손 없이 빠져나온 것만으로도 충분히 기적이다.[3] '빛을 품은 자'라는 뜻이다. 어쩜 딱 본인[4] '속세를 피하다'라는 뜻이다.[5] 16년 후엔 1000개가 늘어 4000개가 되었다.[6] 이 시점에서 위무선이 온조에게 봉변을 당하는데, 사람에 따라서는 마치 남망기가 위무선의 위기를 직감한 것 같은 모습으로 보이기도 한다.[7] 금광요, 섭명결, 남희신은 작중에서 의형제를 맺었다.[8] 본래 이름은 온원으로, 16년 전 위무선이 온씨 사람들과 난장강에서 지냈을 때 안아 키우다시피 했던 아이다. 위무선이 죽은 후 난장강에 찾아갔던 남망기의 손에 구해졌으나 홀로 오래 있던 탓에 고열을 앓고 어린시절 기억을 잃은 채로 고소 남씨 문하생으로 자란다.[9] 작중에서 고금의 선율을 이용해 영혼과 대화를 하는 것을 말한다.[10] 배우들 인터뷰에 따르면 고소 남씨의 차기(?) 종주감인 듯. 모든 일이 마무리 되고 폐관수련에 들어간 직계 종주 남희신이나, 선독이자 위무선의 도려가 된 남망기에게서는 자손이 없을 테니, 고소 남가 직계 대는 끊어지는 셈.[11] 삼독이란, 사람의 착한 마음을 해하는 세 가지의 번뇌. 곧, 탐(貪:욕심)·진(瞋:성냄)·치(癡:어리석음) 를 일컫는다. 그 세가지를 다 이겨냈다는 뜻인가? 아니면 그 세가지를 다 갖춘 못된 인간이란 뜻인가? 조카인 금릉의 말에 따르면 강종주는 신선이 되고자 덕을 쌓는 것에 관심을 두지 않고 오로지 금릉의 양육과 운몽 강씨의 재건에 모든 힘을 쏟았다고 했다.[12] 영혼이 산 사람 몸을 뺏은 탈사의 경우 자전에 맞으면 혼이 튕겨나온다. 그러나 위무선과 같이 산 사람이 영혼에게 몸을 바친 헌사의 경우 자전이 인식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강징의 자전은 모헌우에 헌사된 위무선을 인식하지 못했다.[13] 위무선의 음호부 때문에 염리의 남편 금자헌이 죽고 누나인 강염리 마저 죽었다. 따지고 보면 금자헌의 죽음은 배후가 있었고 강염리는 위무선을 구하려다 대신 죽은 것이었으나, 음호부가 간접적인 원인이었고 자세한 내막을 알 길이 없었던 강징의 입장에선 위무선을 원망할 수 밖에 없다.[14] 여담으로 원작과 애니메이션에서는 평소 반지의 형태를 하고 있는 것과 달리 본작에서는 평소에 팔찌 형태를 하고 있다.[15] 친아들인 강징이 위무선과 계속 비교되는데다가 온씨 일가 측에서 위무선을 핑계로 운몽 강씨를 공격했기 때문. 왕영교가 위무선의 처벌을 요구했을 때 위무선이 토혈할 정도로 자전으로 후려쳤고, 아들과 함께 대피시킬 때에도 위무선에게는 온갖 모진 말을 한다.[16] 기생이었던 어머니의 이름은 맹시. 아버지 인정을 받지 못해 어머니 성인 ‘맹’을 붙여 맹요라는 이름으로 살아간다.[17] 그런데 나중에 금광선이 자식으로 인정했다고 하지만, 금자헌, 금자훈 처럼 금광선의 아래 항렬은 ‘자’ 돌림인데, 그렇다면 금자요 가 되었어야 맞다. 금광선이 과연 제대로 맹요를 자식으로 인정한 건지 의문이 든다. 하여튼 애비노릇이라곤 제대로 하질 않는다.[18] 금자헌의 어머니 금 부인과 강염리의 어머니 우자연이 절친한 친구 사이였기에 일찍이 자신들의 자식을 정혼시켰다.[19] 위무선은 아예 강염리가 받은 모욕을 이유로 금자헌에게 시비를 걸다가 몸싸움까지 한다.[20] 국내에서 2013년도에 M4M이라는 그룹으로 데뷔를 한 적이 있다.[21] 물론 아주 바보는 아닌지라 기본적인 예를 갖출 줄 안다. 그리고 온조가 부하들과 연회를 베풀 때 그들이 먹을 술에 몰래 약을 타서 모두가 잠든 사이에 금단이 파괴된 강징을 위무선에게 돌려보내고 몸을 숨기는데 도움을 준다.[22] 동생인 귀장군 온녕의 말에 따르면, 온정은 기산 온씨 최고의 의원이다. 과장이 아닌게, 책으로만 전해져 내려온 금단이식술을 실행, 성공해낸다. 지금으로 치자면 책으로만 배운 장기이식수술을 성공해낸, 존재가 의심스러운 실력.[23] 온조가 자신의 가문 사람들을 제외하고 다른 세가 자제들을 동굴에 가둬놓고 나가는 길을 막을 때 이를 유일하게 제지하려고 했다. 다행히 그 당시에 동굴에 갇혔던 자제들은 무사히 탈출했다.[24] 현무동굴의 요괴가 눈이 어두워 큰 소리만 내지 않으면 무사히 벗어날 수 있는데 자신의 입을 막은 위무선을 뿌리치고 고래고래 소리를 질러 사상자를 늘렸다. 정작 본인은 동굴에 들어섰을 때 면면이 발을 헛디뎠다는 이유로 채찍을 휘두르거나, 동굴 바닥으로 위무선을 걷어찼다. 급기야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부하들을 시켜 검을 뺏긴 자제들을 공격하기에 이른다.[25] 위무선은 원래 직설적이고 할 말은 다 하는데다가 불의를 넘어가지 않는 성격이다. 그렇기에 온조가 고소 남씨에서 주최한 수학에 지각했음에도 운심부지처에 억지로 진입한 것으로도 모자라 운몽 강씨의 인사를 끊고 거들먹거리는 것을 지적했다. 고문은 기본이고 현무 동굴 사태 때는 이 인간이 동굴 입구를 막아버리는 바람에 위무선이 직전 기산 온씨의 기습으로 다리 부상을 입은 남망기와 함께 낙오되었고, 동굴 요괴를 퇴치하는 과정에서 위무선이 사기에 휘둘리는 등 큰 부상을 입어 탈출 직후 며칠간 의식을 잃는다. 급기야 강징을 치료하느라 몸이 망가지고 영력도 잃은 위무선을 무참히 짓밟고 난장강에 던져버림으로 만행의 정점을 찍는다.[26] 이 때의 부상으로 인해 남망기는 현무 동굴에서 위무선과 함께 낙오하였다.[27] 작품에서 유일하게 성우가 아닌 배우 본인의 목소리를 녹음했다.[28] 즉 하나를 물어도 셋을 모른다(...).[29] 청하 섭씨는 시초가 백정으로 검이 아닌 도를 다룬다.[30] 사실 주화입마에 빠지게된 이유는 금광요가 청심음을 들려주는척 다른 심성을 해치는 음을 들려줘 주화입마에 빠지도록 의도하였기 때문.[31] 가문이 아니라 지역명이다. 아래 등장인물들은 의성에서의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인물들. 참고로 의성편은 37화~39화.[32] 금광요가 지었다. 그래도 자(字)가 있어야 하지 않겠냐는 금광요에 당신 마음대로 지으라고 했으면서 설성미라는 자를 보고 어이없어했다고 한다. 작중 언급된 내용은 아니고, 원작 마도조사의 작가 묵향동후의 인터뷰.[33] 재앙이 내려오다 또는 재앙에 저항하다 라는 두가지 뜻으로 해석이 가능한 이름이다.[34] 길에서 살던 어린 시절 간식이 먹고 싶어 약양 상씨 사람에게 심부름을 했는데, 돌아오는건 간식이 아닌 매질뿐이였다. 설상가상으로 약양 상씨의 상자안이 탄 마차가 손가락을 깔고 지나가 왼쪽 새끼손가락을 잃었다. 때문에 작중에선 늘 새끼 손가락만 의수를 한 채로 나온다.[35] 죽은 영혼에게 제 몸을 바치는 것.[36]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아시아N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37] 전개 방식도 바뀌긴 했지만, 진정령에서 시체 관련해서도 검열되다보니 원작의 '조각난 귀수의 몸 찾아주기' 이야기도 어느정도 각색되었다.[38] 우빈, 송지양, 정번성, 조욱진, 이박문, 기리.[39] 둘다 94년생. 참고로 위무선 배우와 온녕 배우는 91년생 동갑.[40] 둘 다 98년생.[41] 각각 96, 97년생.[42] #韩网友评价蓝忘机[43] 참고로 남망기 역의 왕이보는 한중 합작 아이돌 UNIQ 출신으로, 한국에서 트레이닝을 받고 데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