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4 03:15:01

기쁠 흔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キン, ゴン
일본어 훈독
よろこ-ぶ
-
표준 중국어
xī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欣은 '기쁠 흔'이라는 한자로, "기쁘다", "즐겁다"의 뜻을 나타낸다. 부수가 斤 (도끼 근)이 아닌 欠 (하품 흠)이므로 헷갈림에 주의해야 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서는 U+6B23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LNO(竹中弓人)로 입력한다. 뜻을 담당하는 입을 벌리는 뜻인 (하품 흠)과 소리를 담당하는 (날 근)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받들다"라는 뜻도 존재하여 "기쁘다"라는 뜻들과 문맥에 맞게 잘 분류해서 써야 한다.

3. 용례

3.1. 단어

  • 흔연(欣) : 기쁘거나 반가워서 기분이 좋은 모양
  • 흔쾌(欣) : 마음에 기쁘면서도 통쾌함.

3.2. 고사성어/숙어

  • 남흔여열() : 남녀가 좋아한다는 뜻으로, 부부가 서로 화목함을 이르는 말.
  • 흔희작약(欣) : 참새가 날아 오르듯이 춤춘다는 뜻으로, 크게 기뻐함을 이르는 말.

3.3. 인명

3.4. 지명

3.5. 기타

4. 유의자

  • (기쁠 열)
  • (말씀 설, 달랠 세, 기뻐할 열)
  • (기쁠 이)
  • (기쁠 태)
  • (기뻐할 환)
  • (기쁠 희)

5. 상대자

  • (슬플 비)
  • (슬플 애)
  • (슬플 오)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노래 가)
  • (구덩이 감)
  • (바랄 감)
  • 欿(서운할 감)
  • (흉년들 겸)
  • (정성 관)
  • (토할 구)
  • (힘셀 근)
  • (속일 기)
  • (연할 연)
  • (마실 음)
  • (버금 차)
  • /(불 취)
  • (불 땔 취)
  • (탄식할 탄)
  • (쉴 헐)
  • (기쁠 환)
  • (공경할 흠)
  • (흠향할 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