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8:07:00

풍생수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풍생수(風生獸)는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상상의 동물이다.

1. 설명2. 대중문화 속의 풍생수3. 관련 문서

1. 설명

불에도 타지 않는, 표범과 비슷한 괴수의 일종. 풍리(風狸)라고도 한다.

중국 (宋)대의 도교 문헌 『운급칠첨(雲笈七籤)』에 따르면 중국 염주(炎州)라는 땅에 살고 있었다고 한다. 담비와 비슷하다고도 한다. 크기는 너구리 정도로 푸른 털에 뒤덮여 있다. 거의 불사신으로 장작과 함께 태우려 해도 몸의 털 한 가닥 타지 않고 칼로 베지도 못한다. 쇠망치로 머리를 계속 내리치면 일시적으로 죽지만, 바람을 불어넣으면 부활한다. 풍생수의 에는 영양이 많아서 이것을 먹은 사람은 5백 살까지 살 수 있다고 한다.

'불에 타지도 않는다'는 구절 때문에 풍생수는 다른 전설 속의 동물인 불쥐(화광수)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다른 전승에는 풍리가 지니고 다니는 풍리장이라는 신기한 지팡이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풍리가 자신만이 알고 있는 특별한 풀을 꺾어 만든 지팡이로, 이 지팡이로 가리킨 대상은 날짐승이건 들짐승이건 사람이건 관계 없이 모두 쓰러지거나 떨어진다고 한다. 풍리는 이 능력을 이용해 나무 위에 앉아 있는 새를 풍리장으로 가리켜 떨어뜨려서 잡아먹는다.

이렇다보니 당연히 풍리장을 노리는 사람들도 많은데, 문제는 풍리가 사람을 보면 풍리장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풀숲으로 멀리 던져버리거나 아예 먹어서 없애 버리는지라 풍리장은 예형초[1]보다 더 손대기 힘든 아이템으로 간주되었다. 이런 탓에 풍리장을 손에 넣으려면 풍리가 풍리장을 쓰고 있는 틈을 노려서 전속력으로 달려가서 빼앗거나, 만약 빼앗지 못했다면 풍리를 열심히 두들겨 패서(...) 터는 방법밖에 없다고 한다.

2. 대중문화 속의 풍생수

2.1. 왜란종결자

왜란종결자에 등장하는 마수.

태을사자 일행이 인도할 영혼의 숫자가 맞지 않아 탐색을 거듭하다 조우한 최초의 마수다. 그 형태는 푸른 색의 목이 긴 호랑이에 전갈 꼬리를 단 모습. 어쨌든 겉모습이 호랑이에 가깝기 때문에 그 털을 손에 넣은 태을사자 일행이 노서기로부터 호랑이 일족과 뭔가 관계가 있지 않을까 하는 말을 들어 흑호의 조부 호군과 만나러 가게 된다.

이후 흑풍사자와 윤걸을 상대로 싸우는데, 일개 사자들을 뛰어넘는 힘을 지닌 데다 몸이 바람으로 이루어진 탓에 상처를 입어도 금세 복원되는 불사신에 가까운 존재라 둘은 치명상을 입고 태을사자 역시 위기에 몰린다. 그러나 흑호의 공격으로 일단 후퇴.

그 뒤 그 정체를 전해들은 노서기로부터 태을사자가 그의 퇴치법을 듣게 되는데, 화(火)와 금(金)의 속성을 동시에 가하면 그 몸을 자를 수 있다 한다. 태을사자는 이에 대해 고심하나 정작 은동은 도끼에 불붙여 휘두르면 죽는 거라 아주 간단하게 파악했다. 이후로 한동안 등장이 없다가 태을사자와 다시 만나는데, 이 때는 태을사자가 힘에 있어 더욱 우위였음에도 그 불사성 때문에 놓치고 만다. 그 뒤에는 고니시의 명을 받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뒤를 캐던 닌자들을 습격하여 그들을 살해했지만, 일행의 리더인 겐키만은 나무묘법연화경의 경문을 옷 안에 적어놓은 덕분에 풍생수의 마수를 피할 수 있었다.

최후의 최후까지 살아남아 다시 태을사자와 격돌하게 되는데, 은동이 태을사자의 백아검에 성성대룡의 남은 수법을 걸면서[2] 불타는 검이 완성되고 이 때문에 결국 그 불사성도 통용되지 않아 최후를 맞는다.

죽지 않는다고 자신만만해 하다가 뜬금없이 검에 불이 붙자 허걱하고 안색이 변하는 모습이 허망하다. 참고로 태을사자에게 살해당하는 장면 자체는 그려지지 않았다.

초반에 태을사자 일행을 박살내버리던 위엄과 달리 마지막은 그야말로 비참하다.

3. 관련 문서



[1] 모습을 감출 수 있는 풀.[2] 사실 은동 본인은 세 번의 술수를 전부 쓴 걸로 알고 있었지만 아니었다. 마지막 한 번이 남아 있었고, 태을사자가 풍생수와 싸울때 '그걸 지금 쓸 수 있었으면' 하고 바랬기 때문에 발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