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4 20:45:00

닷발괴물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1. 개요2. 전승

1. 개요

한국민담에 나오는 환상종.

꼬리 깃이 닷 발, 부리가 닷 발이나 되는, 식인 괴물새로 나오며,[1] 대개는 '꽁지 닷 발 주둥이 닷 발'로 알려져 있다. '조마구'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발이란 건 한국의 옛 길이 단위인데, 한 발이 1.5m(양 팔을 펼쳐서 한쪽 손에서 반대쪽 손까지의 거리)다.[2] 즉 꼬리 깃만 7.5m에 부리도 7.5m인 셈.[3] 다만 정확한 크기를 아는 건 불가능한데, 우선 몸통 길이와 날개 익장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으며, 꼬리 깃과 부리도 어느 정도 비율이었는지 알 수가 없다.[4]

2. 전승

주인공이 나간 사이 주인공의 어머니를 죽인다.[5] 그리고 나서 판본에 따라 갈리는데

1. 주인공의 어머니의 가죽을 벗겨 나무에 건다.
이 경우 주인공은 어머니가 자신에게 옷을 만들어 주기 위해 마련한 옷감인 줄 안다.
또는 주인공의 어머니가 괴물에게 습격 받아 쓰러져 죽은채 발견된다.
이 경우 주인공은 어머니를 죽인 괴물의 실체를 알게 된다.

2. 주인공의 어머니로 고깃국을 만든다.
이 경우 집에 돌아온 주인공은 어머니가 자신을 위해 만든 국인 줄 알고 먹어버린다.
또는 가마솥에 든 국을 끓인 사람이 어머니로 둔갑한 닷발괴물임을 알아차린다?!

사실을 알게 된 후 온갖 역경을 넘어서 찾아온 주인공의 재치에 당해, 활활 지펴진 가마솥 안에서 끔살당해버린다.

대개는 이걸로 끝이지만 어떤 판본에서는 죽은 시체가 모기로 변했다는 이야기가 있기도 하고, 생김새가 모기와 비슷하다는 점 때문에 모기의 기원으로 보기도 하며, 실제 이 '꽁지 닷발 주둥이 닷발' 설화의 다른 이름이 '모기의 유래담'이다.

또다른 전승에서는 반대로 주인공이 우연히 닷발괴물의 집으로 찾아간다. 닷발괴물은 가마솥에 밥을 지어놓고 잠시 집을 비운 상태였는데, 시장했던 주인공은 먼저 밥을 먹어치운 뒤(!?) 나중에 사과하고 변상하기로 한다. 그러나 집 주인이 커다란 새 요괴라는 걸 알고 급히 숨는데, 이때 이불에 미리 바늘을 꽂아놓는다. 닷발괴물은 밥이 없자 화를 내다 잠이나 자자고 이불로 들어가지만, 바늘에 찔려 다시 성을 내며 밥을 지은 잔열로 따끈따끈한 가마솥에서 잠을 청하고, 이 때 다시 뛰쳐나온 주인공은 돌로 가마솥 뚜껑을 누른 뒤 불을 때 닷발괴물을 구워버린다.


[1] 다만 경우에 따라 악어나 오리너구리 비슷한 괴물로 묘사될 때도 있다.[2] 전근대 시절에는 사람의 평균 키가 1.5m 정도였고, 양 팔을 펼친 길이는 키와 거의 같다.[3] '입이 댓발은 나왔다'는 속담 또한 이 발 단위.[4] 닷발괴물이 참새처럼 부리가 몸에 비해 짧았던 새라면 아주 거대한 새가 되며, 마도요처럼 몸에 비해 부리가 긴 새라면 약간 작아진다. 보통 부리가 긴 새로 묘사된다.[5] 주인공의 어머니를 납치한다든지 아버지, 누나 등 다른 가족을 납치했다는 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