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6 21:59:08

우부메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파일:external/www.hyogo-c.ed.jp/le3_02_012_l.jpg

産女
1. 개요2. 대중문화

1. 개요

일본의 여성 요괴.

여성출산 도중에 아기가 사망해서 그 슬픔으로 인해 요괴가 되었다는 설이 있고, 출산 도중에 아기는 무사히 태어난 대신 자기 자신은 사망해서 그 아기를 지키고 싶다는 마음에서 요괴가 되었다는 설도 있고, 혹은 임신 도중에 사망해서 요괴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아무튼 이러저러한 이유로 요괴가 된 여성은 밤마다 피투성이의 모습으로 아기[1]를 안고 숲이나 마을을 헤매며, 지나가는 사람을 어떤 방식이든 유혹해서 잡아먹는다는 전승이 있고, 상대에게 아기를 대신 안아달라고 하면 그 상대는 아기의 무게에 짓눌려 압사당한다는 전승도 있으며 어떤 전승에서는 새의 모습으로 활동[2]해서 아이들을 잡아먹는다고 한다. 하지만 자신의 마음에 드는 사람을 발견했을 때는 그 사람에게 부나 뛰어난 신체 능력을 선물하는 등의 반전 면모 역시 가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고획조(姑獲鳥)라고 적어놓고 우부메라고 읽는 경우가 있지만 우부메와 고획조는 다르다.

2. 대중문화

다만 현대에 와선 아무래도 요괴 만화 게게게의 키타로의 영향 때문인지 의 모습을 한 요괴로 많이 등장하며 아이들을 잡아먹는 게 아닌 아이들을 납치해 자신이 기르는 고약한 취미를 가진 요괴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요괴 주제에 친절함이라도 남아 있는 것인지, 어떤 전설에서 우부메를 도와준 사람한테 괴력을 선물해 주었다고 한다.

2.1. 게게게의 키타로등장인물

파일:20191008-122126.jpg

게게게의 키타로의 원작과 1, 3, 4, 5기에서 등장한 요괴. 동공이 없는 커다란 눈을 한 모습을 한 요괴로 아이들을 납치해 자신이 키우는 고약한 취미를 가졌다.

원작에선 키타로를 납치하려다 츠루베히에게 퇴치되어 봉인석으로 변하고 등장 끝.

1기에서도 키타로와 네즈미오토코를 납치해가나 키타로에게 패배하고 원작과 동일하게 츠루베히가 불태워 다시 돌로 봉인된다.

3기에선 아이를 잃은 여성의 원혼이 요괴화 된것으로 자신의 아이만 당하는게 억울한 나머지 아이들을 납치하기도 했으며 여기선 우부메를 봉인시킨 깃털을 키타로가 머리카락 침으로 쏘아 부리에 꽂는것으로 봉인시켰다.

이후 4기에선 무책임하게 아이들을 생쥐인간이 운영하는 보육원에 맡긴 어른들의 행태에 분노해[3] 아이들을 모조리 납치해 자신이 기르고 있었으며 여기선 자신이 데려간 아이들을 영원히 아이의 모습으로 만들 수 있는지 자신은 아이들을 영원히 아이의 모습으로 자신에게 사랑받게 하는 최고의 어머니라며 키타로에게 저항하나 원작과 1기와 동일하게 츠루베히가 난입해 전신이 불타며 봉인석이 된다.

5기에서도 등장. 여기서도 3기작의 내용을 일부 채택했는지 아이를 잃고 추운 눈밭에서 사망한 여성의 원혼이 요괴화 되었고, 이땐 사람을 어리게 만드는 능력이 추가되었다, 나중엔 키타로에게 패배한 후, 새의 모습을 한 요괴 모습은 사라지고 다시 인간의 모습으로 돌아와서 자신의 아이를 껴안고 눈물을 흘린다.

이후 6기 47화의 주역으로 등장 예정. 원작과 모습은 거의 비슷하나 전체적인 몸 색깔이 자줏빛으로 변경되었고[4] 4기에선 3기 네코무스메를 맡은 미타 유코가 성우를 맡았고 6기 성우는 카츠키 마사코/이주은. 아이들을 집단유괴한 범인으로 나오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코나키지지를 아이로 위장시킨 키타로일행의 의도에 걸려 코나키지지를 데리고 아지트로 가서 생쥐인간에게 코나키지지를 돌보라며 윽박지르다가 키타로에게 제압당하고 소멸될뻔했으나 코나키지지가 키타로를 말리고 우부메에게 자신은 아이가 아니지만 놀아줄게라며 게게게의 숲에 데리고가서 살게 되나 나나시의 계략으로 인해 누명을 쓰고 울면서 게게게의 숲을 빠져나가나 사람들에 의해 밧줄로 묶여서 옴짝달싹 못해서 이대로 벗어나지못하게 되는 줄 알았지만 때마침 마나가 사람들을 막자 밧줄을 풀고 인간들이 밉다고 울면서 날아가버린다.


[1] 전승에 따라서 아기의 시체나 돌멩이, 나뭇잎, 구더기, 사람의 내장, 사람의 머리 등등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2] 아래의 고획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3] 덤으로 갑자기 동생들이 생겨 친구들과 놀 시간이 없어진 탓에 누군가 동생들을 데려가 자신 대신 돌봐줬으면 하는 켄타라는 소년의 마음을 꿰뚫어보고 이를 언급하기도 한다.[4] 그 이전엔 대체로 옅은 하늘색 계통의 몸 색깔을 띄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