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5 16:49:19

누에(요괴)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 예티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1. 개요
1.1. 해석
2. 창작물에서

1. 개요

파일:external/pds.exblog.jp/d0284766_4571932.jpg

일본요괴 중 하나. (네 발짐승의 형태일 때) or (조류의 형태일 때).[1]

몸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다고 전해지는 요괴. 일본의 문헌인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를 뒤져보면 헤이안 시대때부터 꽤 빈번하게 출현했다. 서양에서는 일본의 키메라라고 부른다.

정체는 알 수 없다. 검은 연기가 나타남과 함께 '효- 효-'라는 기분 나쁜 울음소리로 울었다고 하며, 항상 을 맞고 퇴치된다. 미나모토노 요리마사라는 무장이 두 번 정도 죽인다.

사실 사람을 습격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고, 그냥 궁궐에 들어가서 재수 없는 소리로 운 것 뿐인데 궐내 사람들은 괜스레 쫄아서 걱정만 하다가 마음에 병을 얻고 끙끙 앓은 것이다.

현대에 와서 알려진 누에의 모습은 원숭이의 머리, 너구리 혹은 호랑이의 몸통, 호랑이의 다리와 발, 의 머리가 달린 뱀꼬리를 가진 거대한 육상생물(鵺)이며, 혹은 호랑이의 등, 너구리의 다리와 발, 고양이의 머리, 혹은 의 날개와 몸, 여우의 꼬리를 가진 (鵼)라는 전승도 있다. 미나기 토쿠이치 작가의 이로하소시라는 만화에서는 이 두 종류의 전승을 이용해 누에가 형제로 등장하며, 닭은 폼이 안 난다고 생각했는지 새의 형상을 한 누에는 몸통이 독수리로 변경되어있다. 다른 요괴인 라이쥬(雷獸)와 동일시되는 사례도 빈번한 요괴.

1.1. 해석

사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누에라는 것은 헤이케모노가타리에 등장하는 그 요괴의 이름이 아니었다. 헤이케모노가타리를 보면 그 요괴의 신체 부위들이 호랑이나 뱀 등을 닮은 것 처럼 "울음소리가 누에(鵺)와 닮았다(鳴くこえぬえにぞにたりける)"고 말하고 있을 뿐이지, 요괴 자체를 누에라고 부르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정확하게 말하자면 이 요괴의 이름이 무엇인지는 헤이케모노가타리에서는 알 수 없다.

여기서 말하는 누에(鵺)라는 것은 호랑지빠귀이다.[2] 鵺가 처음 등장한 만엽집에서는 단순히 새를 가리키는 단어였다. 호랑지빠귀가 밤에 우는 소리는 현대인에게도 소름끼치게 들리는데, 고대 일본에서는 매우 불길한 징조로 여겼다고 한다. 헤이케모노가타리를 보면 이 누에에 얽혀서 미나모토노 요리마사가 활약한 이야기가 두 번 있는데, 첫번째가 코노에 덴노 때 검은 안개 너머로 나타난 '누에와 울음소리가 닮은 요괴'이며, 두번째가 10년 뒤 니죠 덴노 때 나타난 '괴조'로, 이 괴조는 누에라고 확실하게 언급되고 있다(鵺といふ化鳥). 쉽게 말해 원래 이 둘은 서로 다른 존재이고 먼저 나타났던 요괴의 울음소리가 누에와 닮았을 뿐이나, 하필 요리마사라는 동일한 인물이 사살했다는 에피소드 때문에 후대에 서로 섞여버린 것이다.

누에의 키메라는 호랑이, 뱀, 원숭이, 너구리를 섞어 놓은 모양인데, 이 네 동물은 각각 12간지에서 동북, 동남, 서남, 서북에 해당한다(너구리를 개에 대응시킨다). 이는 동(쥐)-서(토끼)-남(말)-북(닭)으로 이루어진 헤이안쿄의 십자대로에 어긋나는 X자로서, 일본의 수도를 뒤틀어 불안정하게 하는 존재임을 시사한다. 일반적인 요괴담과 달리 민중이 아닌 지배계급의 공포의 대상이 집약된 존재라는 점도 특이하다.

2. 창작물에서

똑같은 합성 괴수들인 키메라만티코어 못지 않게 인기가 많은지, 요괴나 괴수 관련 소설&만화에선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레귤러 중 하나이다. 정체불명 기믹 때문인지, 여러 요괴의 융합체 비슷한 모습 때문인지, 몇몇 작품에서는 등장할때 보스나 준보스급 대접을 받기도 한다.

2.1. 게게게의 키타로의 누에

파일:게게게의 호쥬.jpg

성우는 츠지 신파치[6] / 이동윤.

국내 대원판에선 괴성귀로 이름이 로컬라이징 되었다.

원작 이후 5기 애니판에서 등장을 하고[7] 6기 애니판 50화에서도 등장 예정.

귀동 이부키마루, 쿠로보즈, 타마모노마에와 같은 지옥 '대역사장'이라 불리는 최강이자 최악의 요괴라고 한다.

다만 50화에선 누에로 변신한 무지나가 악행을 벌였으며 본인은 도쿄 타워 위에서 "역시 나타났나... 게게게의 키타로..."라는 대사를 하며 막바지에 잠시 등장했다. 이후 도쿄에 직접 나타나서 인간의 혼을 빨아먹으며 악행을 부리다가 키타로에게 저지당하나 인간의 혼을 꽤나 흡수한 탓에 상당히 강력해져 키타로를 역으로 몰아붙인다. 그러나 때마침 원래 모습으로 돌아온 네코무스메가 합류하고 이스루기 레이 또한 나타나 궁지에 몰린 후 누에가 싫어하는 소리를 활로 연주한 레이에게 굴복해 흡수한 사람들의 혼을 모두 돌려줬으나 애시당초 누에를 살려둘 생각이 없었던 레이에게 그대로 끔살당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낮은 해상도에서 잘 보이지 않는 경우를 위해 파자해 보면, 각각 夜鳥와 空鳥를 뭉뚱그려 조합한 한자이다. 그 때문에 夜鳥라고 쓰고 누에라고 읽는 경우가 나오거나 밤+새 조합의 이름일 때 누에라고 읽는 경우가 나오기도 한다. 대표적인 경우가 Far east nightbird의 애칭인 누에와 내 시체를 넘어서 가라 2에 나오는 누에코.[2] 요리마사와 동시대를 살았던 사이교 법사의 와카 중에서도 누에를 호랑지빠귀를 뜻하는 시어로 사용한 와카가 있다. 내용은 새벽녘 호랑지빠귀 소리를 듣고 속세의 허무함을 체감했다는 내용.[3] 사실은 작중 외국인의 유언 메시지를 번역하기 위해서 그런것. 원작에서는 철의(てつの)를 세로로 쓴걸 뒷면으로 읽어 nue로 착각한 것을 더빙판에서는 '은'을 돌려서 뒷면으로 읽어 LIO로 착각한 것.[4] 누에가 아닌 와자와이라는 요괴가 모티브일수도 있다.[5] 머리가 원숭이에 다리가 호랑이라는 것을 감안한 초월번역.[6] 강철의 연금술사의 키메라 중 하나인 하인켈을 맡았던 성우다.[7] 단 이 땐 주역이 아니라 다른 요괴의 음모로 하지도 않은 악행의 범인으로 몰린 케이스. 사건이 해결되고 나선 키타로에게 감사를 표하고 자신은 그냥 봉인된 채로 계속 살아갈거라며 잠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