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4 20:48:46

새타니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1. 개요2. 특징

1. 개요

한국귀신 중 하나.

2. 특징

새타니란 말이 지칭하는 대상은 3가지인데, 하나는 어려서 죽은 아이의 혼으로 그중에서도 무당에게 영험을 내리는 귀신을 뜻한다. 주로 천연두 등으로 병사하거나 아사한 아이의 혼령. 사전에는 주로 태주(太主)라는 이름으로 기재된다. 새타니가 원한이 강하거나 경험치를 쌓아 레벨업하면 새우니가 되며 새우니는 훨씬 강력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통제불능이라서 자신을 부린 무당을 죽이고 사람들을 괴롭힌다고 한다. 새우니 항목에 자세히 나오지만 취소선이 그어진 부분은 근래 인터넷을 통해 확산된 설정 추가다. 새우니는 "서구할미"와 같은 귀신이다.

2번째로 제주도 설화에 나오는 새타니가 있다.
전국을 떠돌며 소금을 팔던 소금장수가 오랜만에 집에 돌아오니 젖먹이 아이는 말라 비틀어져 굶어 죽어 있고 아내는 오간 데가 없었다. 소금장수는 아이의 시신을 장사 지내지 않고 소금짐 밑칸에 자리를 마련해 안치했다. 전국 어디를 가든 부자(父子)는 함께였다. 몇년 뒤 어느 부잣집에서 소실로 잘 사는 아내를 만난 소금장수는, 짐을 풀어 아이의 시신을 보여줬다. 썩지도 않은 아이가 어미에게로 조금씩 기어가자, 놀란 아이의 어미는 그대로 엎어져 급사했다.
이 아기의 미이라를 새타니라 부른다고 한다. [1]

마지막으로 이런 혼령을 받아 점을 치는 무당을 북부 지역에서는 새타니, 남부 지역에서는 ‘명도(明圖)’ 혹은 ‘명두(明斗)’라고 부르는데, 순우리말로 '를 탄 이', 또는 '새를 받은 이'라는 뜻이다. 만화 '바람의 나라'에 등장한 캐릭터 중 하나인 혜압도 이 후자 쪽의 새타니이다. 그러나 네이버 사전 쪽의 태주 항목에도 나오지만 결국 새타니는 태주(太主=태자귀)의 토속 이름이면서 지역색이 강한 호칭이다. 이 때문에 이런 아이 귀신을 몸주신으로 모시는 무당을 태주무당(太主巫堂)이라 소개한다. 결국 새타니, 새트니는 학계에선 비주류 호칭인 셈....

새타니, 혹은 태주무당은 아주 어린애가 실리는 무당이어선지 점을 칠 때 아이의 목소리와 표정, 몸짓을 하게 된다. 그리고 휘파람 같은 소리를 통해 영혼과 대화를 하는데, 학계에서는 이는 복화술로 보고 있다. 그래서 ‘복화무(腹話巫)’ 또는 ‘공창무(空唱巫)’로 정의한다. 이와는 별개로, 무당들 사이에 전해지는 귀신의 영험과는 상관없이 새타니(태주무당)는 무당사회에서 가장 낮은 직급에 속한다고 한다.

새타니는 주로 한반도 이북에서 부르는 명칭이다. 지역에 따른 이름을 구분하면 이렇다.
  • 평안도, 함경도북한지역: 남녀 구별 없이 "새튼이, 새타니, 새티니, 새치니"라 부른다. 이 이름은 혼령이 내는 소리가 휘파람과 비슷해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2]
  • 경상도, 전라도: "명두, 명도"라 하는데 남녀 구분 없는 이름이지만 여아의 호칭으로 많이 쓰인다고. 경상도에는 "공징, 공밍, 공명"이라고도 하는데 이 역시 내는 소리가 허공에 떨리듯 들려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 경기도, 충청도: "태주(太主)"라 불리우는데 명도와는 반대로 주로 남아에 한정하는 경향이 짙다. "태자(太子)"라 불리우기도 하는 모양. 근래에는 동자, 동자애기, 산신동자, 도령, 선동이란 이름등으로 칭하는 모양이다.

이 어린 귀신은 상당히 영험하여 앞 날을 잘 보고 물건도 잘 찾는다. 나아가 조상신급의 능력인 자손번영, 무병장수를 들어주는 힘도 가지고 있다 한다. 심지어는 죽은 자를 살리는 힘도 있다고 알려져 있는 모양. 한국민속대백과사전에 의하면 새타니(태주)는 평소에 무당이 신당에 모신 꽃병의 '"[3]에 머물러 있다. 그러다 점을 치면 신당 밖으로 나가 필요한 것을 알아내는데 알아볼 사람의 집 굴뚝을 타고 들어가 살펴보는 것이다. 지금은 보일러 배기구려나? 밥그릇과 숟가락 개수에서 부터 조상들 중에 안 좋은 죽음이 있는가에 대한 집안내력은 물론 앞으로의 길흉화복(吉凶禍福)까지 알아낸다. 그리고 돌아와 무당에게 빙의해 휘파람 같은 소리로 점복의 결과를 알려준다.

이처럼 영험하지만 너무 어린 아기라 점을 칠 때 무당에게 빙의한 상태로 장난스런 행동도 하고 무책임하게 틀린 점괘를 알려주기도 한다고.(...) 무당은 이런 몸주신을 달래기 위해 아이가 좋아할 만한 음식, 사탕, 새 옷 등을 마련해 치성을 드린다. 잘만 달래면 인간의 부탁을 잘 들어주지만, 그렇다고 우습게 보면 후환이 크기에 각별히 모셔진다고 한다.

이런 새타니, 혹은 태자귀를 주술로 만들어낸다는 속설도 있는데, 이는 조선시대 학자 성호 이익성호사설에 "염매(厭魅)"의 술법으로 나온다. 위키백과에도 이에 관한 번역본이 실려있다. 원문은 한국고전종합DB이 출처로 되어있다.
우리나라에 염매(魘魅)라는 괴이한 짓이 있다.
이는 악인이 만들어낸 것이다.
우선 남의 집 애를 훔쳐다 가두고 죽지 않을 정도로만 먹여 서서히 피골이 상접하게 만든다.
그리고 죽통(竹筒) 안에 좋은 음식을 넣어 아이가 좁은 그 안으로 발버둥치며 들어가게 한다.
이 때에 칼로 아이를 번개처럼 찔러 죽이고 아이의 정혼(精魂)이 빠져 나오지 못하게 죽통
주둥이를 봉한다.
그렇게 만든 염매의 죽통을 들고 부유한 집들을 찾아 다니면 아이의 귀신이 음식냄새에 이끌려
집안에 침입해 병마를 퍼뜨린다.
병자들에게 댓가로 돈과 곡식을 챙기면 귀신으로 하여금 병을 거두게 만든다.
— 《성호사설》 제5권 〈만물문〉(萬物門) 중 염매고독(魘魅蠱毒)
일본의 "견신"과 중국의 "묘귀"도 이런 "고독蠱毒"의 술법으로 만들어지며 특히 사람의 아이를 잔인하게 죽이는 이 염매는 가장 악독한 범죄로 여겨져 한, 중, 일 삼국에서 모두 금지한 주술이다. 고독주술에 대해선 앞의 묘귀 외에도 위키백과의 "무고"항목에 나와있다.

커뮤니티 등을 통해 태자귀로 알려진 이 염매귀신은 그 연원과 역할 모두 새타니(태자귀)와는 차이가 있다. 저주와 상관 없이 혼령이 된 새타니가 거의 조상신급의 영험을 가졌다면, "염매귀신"은 고독으로 만들어진 귀신이 그렇듯 주술사의 의지에 따라 사람을 해하는 일에 특화되어있다. 태자귀 항목에 염매 관련 내용이 더 있으니 참고바람.

2023년 5월 방영된"구미호뎐1938" 3화에서 이연의 눈을 멀게 하는 저주를 거는 역할로 표현되었고, 4화에서는 이름을 찾는 소원을 이루고 성불하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당연하지만 엄연히 살인이기에 아이를 납치하여 새타니를 만들거나 시도하다가 적발되어 처벌된 사례가 있다.



[1] 이 의미로 붙인 법의학서의 제목이 새튼이다.[2] 위에 나온 "새를 탄 이"라는 설은 좀 불확실한 출처로 보인다.[3] 조화(造花)와 생화(生花)의 구분은 없는 모양. 한국의 신들은 주로 위에 좌정한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