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WEB 라디오는 일본에서 특정 애니메이션, 게임, 라이트 노벨 등 서브컬처 콘텐츠를 홍보하고 팬서비스를 하기 위해 제공하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이다. 대표적인 플랫폼으로는 온센, 초!A&G+, 히비키 라디오 스테이션이 있다.2. 특성
원래 일본에서는 주파수 라디오를 통해 서브컬쳐를 홍보하는 'アニラジ[1]'가 있었는데, 이 애니라지가 시대의 흐름에 맞춰 인터넷으로 미디어를 거의 다 옮기면서 'WEB 라디오'라고 부르게 되었다. 'WEB 라디오'라는 표현을 글자 그대로 색독(色讀)한다면 인터넷 라디오와 동의어 같지만 실제로는 '인터넷 애니라지'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쓰인다.2007년 초!A&G+의 개국으로 촉발된 분카 방송과 온센간의 WEB 라디오 경쟁은 2025년 초!A&G+가 폐국하면서 온센의 승리로 끝났다.[2] 이를 두고 초!A&G+는 지상파 라디오 분카 방송이 운영하던 인터넷 플랫폼, 온센은 순수 100% 인터넷 플랫폼이라는 점에 착안해 '시대의 변화를 보여주는 장면'이라는 평이 나오기도 했다.
방송 분량은 천차만별이다. 20, 30분대 방송들이 많지만, 니세코이, 오레슈라 라디오처럼 최소 40분을 제공하면서 회차에 따라 1시간을 넘기는 방송들도 존재한다. 반대로 무적 철가방, 야마노스스메 라디오처럼 10분 안짝에 불과한 방송들도 있다.
|
이어폰즈 라디오 방송. 작가 스와 마사루(諏訪勝)가 부스 중앙에 앉아 있다. |
담당하는 방송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인기 작가들일수록 방송 출연을 즐기는 경향이 있다 보니 작가들의 목소리가 껴 있는 방송들이 더 많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WEB 라디오 방송에서 작가들의 목소리가 들리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청취자들이 꽤 있다.
반면에 성우의 목소리에 집중하고 싶은 성우팬들에게는 썩 좋은 환경이 아니다. 작가들의 과한 웃음소리, 거친 음색, 정제되지 않은 발음과 억양 등이 성우들의 깔끔하고 낭랑한 발성과 대조되어 큰 이물감을 주기 때문.
3. 목록
마지막 회 방송의 생방송 진행이 끝나고 녹음 파일이 배포되기 시작하면 종료된 방송 목록으로 옮길 것. 목록이 마구잡이로 늘어나는 걸 막기 위해 문서가 개설된 라디오 방송만 적는다.3.1. 진행중인 방송 목록
3.2. 종료된 방송 목록
3.3. 아마추어 방송
프로그램 이름 | 진행자 |
사랑하는 라디오 | 하츠네 미쿠(OSTER project) |
4. 관련 링크
- 니코니코 대백과 라디오 방송 일람
- Radibrary, ORAS(Radibrary 전신): 한국에서 WEB 라디오 관련 녹음 파일을 전문적으로 올리는 유명한 블로그이다. 원래 개인이 운영하던 블로그였지만, 주인장이 블로그 운영을 포기하면서 여러 업로더가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바뀌었다. 그러다 ORAS에 올린 자료가 너무 많아져서 내려받기에 문제가 생기자 Radibrary로 이주했다.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일본에서 방송 중인 웬만한 애니메이션/게임/성우 관련 웹 라디오는 거의 만나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이후 주요 업로더들이 은퇴하며 많이 쇠퇴한 모습이다. 그렇지만 일본 인터넷에서도 구하기 힘든 방송들도 많을 정도로 누적 자료량이 많아서, 옛날 라디오를 듣고 싶어 하는 라덕들로서는 이만한 사이트는 찾기 힘들다.
- 온센: 온센 문서 참고.
- 히비키: 히비키 라디오 스테이션 문서 참고
- 인터넷 방송
[1] 한글로 읽으면 애니라지, 또는 아니라지.[2] 물론 초!A&G+ 자체는 QloveR 내 채널로 계속 이어나가지만 사세의 축소까지는 피할 수 없었다.[3] 물론 지상파와 인터넷을 직접 비교한다는 걸 감안해야 한다만.[4] 그나마 한국 라디오에서 비슷한 분위기의 방송을 꼽자면 배성재의 TEN이 있다.[5] BEMANI Backstage의 후신. 기본적으로는 유스트림을 기반으로 화면에 타이틀을 띄워두고 음성만 나오는 형식이지만, 가끔 스페셜로 영상이 나오기도 한다.[6] 통칭 히토카나(ひとかな).[7] 실제로 퍼스널리티가 저렇게 로켓단 삼인방으로 되어 있고, 방송 진행도 저 명의로 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