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00:01:45

UFC on ESPN 마이너 갤러리

UFC on ESPN 마이너 갤러리
UFC on ESPN Gallery
파일:UFC on ESPN 대문.jpg
<colbgcolor=#4b59a7> 분류 <colcolor=#191919,#fff>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
개설일 2023년 11월 27일
주제 UFC
카테고리 스포츠
링크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1. 개요2. 용어3. 여담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다중이 북치고 장구치고 열일하는 갤러리

이후 2024년 5월 18일에 개최한 상남자 격투대회 002에서 성명준이 김중우를 꺾고 승리하자 성명준을 찬양하는 주작 념글도 우후죽순 생겨났고 이에 기존 유저들 다수가 관리가 전혀 되지 않는 UFC 갤러리를 포기하고 UFC on ESPN 마이너 갤러리로 본격적으로 이주하면서 UFC 갤러리를 이은 종합격투기 관련 주요 커뮤니티로 자리잡게 되었다.[1]

2. 용어

UFC 갤러리의 후신 갤러리인 만큼 전반적인 용어는 유갤에서 쓰던 용어와 거의 비슷하다.
  • 코너 맥그리거 관련
    • 맥구: 맥그리거를 맹구에 빗대어 쓰이는 멸칭이다. 현재는 의미가 희석되어 갤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용어.
    • 파리: 맥그리거가 손을 비비는 사진을 보고 파리같다면서 조롱하는 표현이다. 현재는 쓰이지 않으나 맥더기의 유래가 되었다.
      • 더기: 맥파리에서 파생된 용어로, 맥그리거의 악성 팬들을 비하하는 멸칭이지만 맥그리거의 부상 이후 공백기가 길어져 현재는 하빕까로 변하거나 다른 팬덤으로 이리저리 옮겨다니는 경우가 많다. 어감이 좋아서 파생된 용어가 많다.[2]
    • 페더맥: 맥그리거의 전성기(페더급 무패 시절)를 그리워하며 쓰는 표현이다.
  • 하빕 누르마고메도프 관련
    • 런빕, 쫄빕, 티라미수: 하빕의 감량 도중 실신, 퍼거슨과의 경기 파토를 조롱하는 멸칭들이다.
    • 빕더기: 맥더기에서 파생된 용어로 추정된다. 하빕의 팬덤으로 갤러리에서 매우 큰 지분을 차지하며, 하빕이 은퇴한 이후로는 마카체프로 옮겨갔지만 여전히 하빕 역대최강설을 밀어주고 있다.
  • 이스라엘 아데산야 관련
    • 젖데산야: 아데산야의 여유증(스테로이드 부작용) 논란으로 생긴 멸칭이다.
    • 아데숭이: 아데산야의 외모와 경박한 행실을 조롱하는 별명이다.
    • 짱깨산야: 킥복싱 시절에 스스로를 중국인이라고 표현한 프로모션을 션 스트릭랜드가 극딜하면서 흥했던 별명이다. 주로 션과 엮이면 사용된다.
    • 두창, 두창산야: 마빈 베토리의 엉덩이를 주물럭거리거나 파울로 코스타에게 후배위 퍼포먼스를 시전하는 등 LGBT 의혹에서 나온 별명이다. 현재는 갤에서 맥구 다음으로 많이 쓰인다.
  • 알렉스 페레이라 관련
    • 페상구: 이스라엘 아데산야와의 2차전에서 페레이라가 실신한 모습이 마치 비상구같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
    • 으어햄: 페레이라가 부족한 마이크웍으로 인해 말 끝에 "으어?"라고 퉁치는 말버릇에서 유래된 별명 .
  • 스티페 미오치치 관련
    • 미오젖: 미오치치 -> 미오찌찌 -> 미오 순으로 변형됐으며 미오치치를 찰지게 부르는 별명이다.
    • 존버치치: 미오치치가 은가누와의 2차전에서 패배한 이후 3년 넘게 경기를 하지 않고 타이틀 도전권을 받으려고 하자 안티들이 지어준 별명이다.
  • 존 존스 관련
    • 뽕스: 이름의 유래는 존스+. 존스가 유독 약물 적발을 많이 당한 것을 조롱하는 별명이다.
  • 토니 퍼거슨 관련
    • 조현슨: 퍼거슨이 조현병에 걸린 이후 붙은 별명.
  • 알렉산더 볼카노프스키
    • 볼쪽이: 원래도 짧은 경기텀을 가지고 있던 볼카노프스키가 경기 10일 전 대타로 투입되어 이슬람 마카체프에게 ko패배를 당한 UFC 294 이후 팬들이 쉬라고 해도 계속해서 경기를 잡으려는 모습을 보여 생긴 별명.
  • 정찬성
    • 그만하께여: 정찬성의 은퇴전 인터뷰에서 파생 된 유행어. 경기 직후 너무 감정이 실린 나머지 인터뷰 첫마디를 '그만할께요' 로 시작했는데 그게 너무 강렬했던 나머지 '그만하께여' 로 변형되어 밈화되었다. 디시뿐만 아니라 유튜브 등지에서도 많이 쓰이는 드립.
  • 기타 줄임말, 용어
    • 목탁: 머리를 빡빡 민 선수가 두들겨 맞는 모습이 목탁 치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하여 생긴 용어이다. 주로 알렉산더 볼카노프스키, 조제 알도, 케인 벨라스케즈에게 쓰인다.
    • 포게챈: 라이트급의 컨텐더들인 더스틴 이리에, 저스틴 이치, 마이클 들러의 줄임말이다. 이들은 일단 경기가 잡혔다 하면 꿀잼 경기를 보장하는 것으로 팬들 사이에서 명성이 높으며 서열정리가 끝난 현재는 저스틴 게이치가 포게챈의 최강 자리를 차지했다. 여기에 포게챈을 모두 격퇴한 전적이 있는 스 올리베이라를 추가한다면 찰포게챈이 되지만 유머성은 포게챈에 비해 덜하다.
    • 부자() 드립: 경기에서 승자와 패자가 갈리면 이긴 쪽이 아버지, 진 쪽이 아들이 된다. A 선수를 이긴 B 선수, B를 이긴 C 선수가 있다면 C는 A 선수의 할아버지가 되는 식으로 족보가 생기며, 앞서 말한 A 선수(아들)가 C 선수(할아버지)를 이겨서 개족보가 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3. 여담

  • 침공 및 도배를 시도하는 유동 분탕들이 많은 편이라 통신사 아이피, VPN을 수시로 막고 있다. 경기 당일날에는 통피가 해제된다.

4. 관련 문서



[1] 이를 증명하듯 UFC 302 경기 당일날 실북갤 1위, 대흥갤 5위를 달성했다. 해당 경기 이후에도 흥갤 중위권을 유지하는 중이다.[2] 팬덤의 멸칭은 주로 ○더기 또는 ○○맘 중에 하나를 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