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7 23:11:21

TO BE HERO X




리하오링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bgcolor=#000000>
파일:To Be Hero 로고.svg
||<width=33.3%>
파일:애니 스피릿팩트 로고.png
||<width=33.3%>
파일:TO BE HEROINE 로고.png
||
TO BE HERO
(2016)
스피릿팩트
(2016)
TO BE HEROINE
(2018)
파일:우리의 계절은 로고.png
파일:천관사복 애니 1기 한글 로고.png
파일:시광대리인 -Link Click- 한글로고.png
우리의 계절은
(2018)
천관사복
(2020~2021)
시광대리인 -Link Click-
(2021)
파일:우리들의 동계올림픽 애니 로고.png
파일:시광대리인 2기 한글 로고.png
파일:천관사복 애니 2기 한글 로고.png
우리들의 동계올림픽
(2022)
시광대리인 -Link Click- 2기
(2023)
천관사복 2기
(2021)
파일:운명권대 일본어 더빙판 로고.svg
파일:시광대리인영도편로고.png
파일:TO BE HERO X 로고(화이트).svg
운명권대
(2023~2024)
시광대리인 -Link Click- 영도편
(2024)
TO BE HERO X
(2025)

상세 정보 링크 열기

투 비 히어로 X (2025)
TO BE HERO X
凸变英雄X
トゥー・ビー・ヒーロー X
파일:TO BE HERO X 키비주얼.jpg
{{{#000,#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3f3f3,#010101><colcolor=#000,#fff> 장르 판타지, 히어로, 액션, 드라마
원작 리하오링
감독
시리즈 디렉터 ○○
시리즈 구성 ○○
캐릭터 디자인 ○○
미술 감독 ○○
색채 설계 ○○
촬영 감독 ○○
3D 감독 왕펑빈(王丰彬)[1]
편집 ○○
음향 감독 ○○
메인 테마 사와노 히로유키
음악 사와노 히로유키
KOHTA YAMAMOTO
켄모치 히데후미(ケンモチヒデフミ)
DAIKI (AWSM.)
무츠키 슈헤이(睦月周平)
후카사와 히데유키(深澤秀行)
우마세 미사키(馬瀬みさき)
타카다 류이치(髙田龍一) (MONACA)
프로듀서 쿠로사키 시즈카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애니메이션 제작 비몽 BeDream총괄
Studio LAN2D 및 총괄
흑연 애니메이션2D
종이비행기 애니메이션(纸飞机动画)3D
B.Cool Studio기획 및 초안작업
제작 빌리빌리
애니플렉스
비몽 BeDream
소니 뮤직 솔루션즈
후지 테레비
방영 기간 2025. 04. ○○. ~ 방영 예정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테레비(???[2]) / (일) 09: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송신사 파일:중국 국기.svg 빌리빌리 / (일) 20:30
파일:미국 국기.svg 크런치롤 / (요일) 시간
스트리밍 미정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미정
시청 등급 미정
관련 사이트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2.1.2. 캐릭터2.1.3. 기타
2.2. 키 비주얼2.3. 스태프 코멘트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설정
5.1. 연합회
6. 음악7. 회차 목록
7.1. 회차별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7.2. 회차별 줄거리
8. 방송국 일람9. 해외 공개
9.1. 미국9.2. 대한민국
10. 평가
10.1. 방영 전10.2. 방영 후
11. 둘러보기12. 외부 링크13. 기타

[clearfix]

1. 개요


사람은 누구나 평범하고, 모두가 영웅이 될 수 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7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00 0% 20%, #ff4040 20% 80%, #79d91600 80% 100%); color: #fff;"

사람은 누구나 평범하고, 모두가 영웅이 될 수 있다

일본&중국 공동제작 액션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TO BE HERO 시리즈의 3번째[3] WEB중국/TV일본 애니메이션. 방영시기는 2025년 4월. 감독은 리하오링. 음악은 사와노 히로유키, KOHTA YAMAMOTO 등.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비몽 BeDream, Studio LAN 등. 배급/투자는 빌리빌리, 애니플렉스, 비몽 BeDream.

2. 공개 정보

  • 2022년 빌리빌리 World 2022에서 컨셉 PV를 공개로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시작을 알렸다. 그 직후 애니플렉스에서도 컨셉 PV를 공개하며 공동 제작 프로젝트로 시작을 알렸다.
  • 2023년 9월 26일, 티저 PV를 공개하며 조금씩 애니메이션의 틀이 잡히기 시작했다. 또한 히어로 캐릭터 중 한명인 럭키 시안 국제 뮤지션 성우 모집 예정을 발표했다.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2023년 10월 20일, 히어로 캐릭터 럭키 시안 국제 뮤지션 성우 모집을 시작했다.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또한 국제 뮤지션 성우 모집 시작과 함께 캐릭터 정보도 함께 공개되었다.
  • 2024년 1월 1일, 신년 인사와 함께 제작중이라는 소식이 올라왔다. 속보를 기다리라고 하니 곧 새로운 소식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2024년 3월 24일, 일본 AnimeJapan 2024에서 추가 정보가 공개되었다. TO BE HERO X 애니메이션은 이야기 시리즈 총 감독인 신보 아키유키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이야기 시리즈와 공통된 구조가 있을 것이라 밝혔다. 내용에 대해서도 언급이 있었는데 리하오링 감독 말에 따르면 미국에서도 히어로에 대한 작품들이 많지만 그 작품들 대부분은 히어로의 능력이 뭍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래서 TO BE HERO X에서는 히어로의 능력을 수치화 해 사람들로부터 얼마나 주목을 받고 있는지, 또 히어로에게 얼마나 많은 팬이 있는지에 대한 것 등 수치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한다. 제작 현황도 언급되았는데 '보통의 제작 흐름하고는 다릅니다'라고 했다. 우선 세계관과 캐릭터를 구성하고 해당 캐릭터를 세계관과 접목시키면 어떤 내용이 나올지를 고민하면서 각본을 짰다고 한다. 각각의 히어로들에게는 다양한 개성이 있으며 각각의 에피소드를 다른 연출로 표현한다고 한다. 또 그 각각의 내용들이 마지막의 하나로 정리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프로듀서인 쿠로사키 시즈카는 '애니메이션이지만 지금까지의 애니메이션과는 다른 연출을 보인 작품'이라 평가하고 해당 작품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2D 애니메이션과 3D가 섞인 새로운 연출 방식은 리하오링 감독이 선보이는 애니메이션계의 새로운 시도라고 평가했다. #
  • 2024년 7월 12일, 중국 빌리빌리 World 2024에서 캐릭터 PV 및 비주얼이 공개되었다.
  • 2024년 8월 5일, 일본 애니플렉스 Online Fest 2024에 참여가 결정되었다. 중국에서 공개된 캐릭터 PV 및 비주얼이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
  • 2024년 9월 16일, 애니플렉스 온라인 페스트 2024에서 방영 일정 및 새로운 PV와 성우진들이 공개되었다. 또한 빌리빌리후지테레비에서 동시 방영될 예정으로 공개되었다. 공개일자는 2025년.
  • 2024년 11월 30일, 일본에서도 모든 캐릭터 PV가 공개되었으나 방영일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후지테레비에서 방영하는 것으로 보아 B8station 편성 블록으로 방영할 것으로 보이지만 2025년 1분기에는 리하오링 감독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운명권대의 일본어 더빙판이 해당 편성 블록으로 방영 예정이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 2024년 12월 6일, 제작 비하인드 영상과 함께 애니메이션은 아직 현재진행형으로 제작중이란 정보가 공개되었다.
  • 2024년 12월 9일, 일본중국에서 동시에 방영 일정 및 오프닝, 엔딩 주제가 정보가 공개되었다. 일본에서는 매주 일요일 아침 9시 30분부터 방영하며[4] 중국에서는 매주 일요일 밤 8시 30분 WEB 방송국에서 방영한다.
  • 2024년 12월 21일, 일본중국에서 동시에 키비주얼 및 2차 PV가 공개되었다. 또한 전세계 동시 이벤트로 '히어로 연합 TOP 10' 인기 투표를 개최했다.

2.1. PV

2.1.1. 본편

<rowcolor=#000,#fff> 파일:중국 국기.svg 컨셉 PV 파일:일본 국기.svg 컨셉 PV
<rowcolor=#000,#fff> 파일:중국 국기.svg 티저 PV 파일:일본 국기.svg 티저 PV
<rowcolor=#000,#fff> 파일:중국 국기.svg PV 제1탄 파일:일본 국기.svg PV 제1탄
<rowcolor=#000,#fff> 파일:중국 국기.svg PV 제2탄 파일:일본 국기.svg PV 제2탄

2.1.2. 캐릭터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4040><table bgcolor=#ffffff,#191919><bgcolor=#f3f3f3,#010101><-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5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00 0% 15%, #ff4040 15% 85%, #79d91600 85% 100%); color: #fff;"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5%;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No.10 '나이스' ]
{{{#!wiki style="margin: -5px 0"
}}}}}}}}}
[ No.9 '혼전' ]
||<tablewidth=100%><width=1000>
||
[ No.8 '토라' ]
||<tablewidth=100%><width=1000>
||
[ No.7 '럭키 시안' ]
||<tablewidth=100%><width=1000>
||
[ No.6 '로리' ]
||<tablewidth=100%><width=1000>
||
[ No.5 '리틀 조니 & 빅 조니' ]
||<tablewidth=100%><width=1000>
||
[ No.4 '묵살' ]
||<tablewidth=100%><width=1000>
||
[ No.3 '양룡' ]
||<tablewidth=100%><width=1000>
||
[ No.2 '퀸' ]
||<tablewidth=100%><width=1000>
||
[ No.1 'X' ]
||<tablewidth=100%><width=1000>
||
}}} ||

2.1.3. 기타

<rowcolor=#000,#fff> 파일:중국 국기.svg TO BE HERO X란? 파일:일본 국기.svg TO BE HERO X란?
<rowcolor=#000,#fff> 파일:중국 국기.svg 제작 비하인드 파일:일본 국기.svg 제작 비하인드
<rowcolor=#000,#fff> 히어로 연합 TOP 10' 인기 투표 홍보 PV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PV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3f3f3,#010101><colcolor=#000,#fff>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위아크(STUDIO WEAC)
}}}}}}}}} ||

2.2. 키 비주얼

파일:TO BE HERO X 티저 이미지.png
프로젝트 소개 비주얼
파일:TO BE HERO X 티저비주얼.jpg
파일:TO BE HERO X 티저비주얼 2탄.png
<rowcolor=#000,#fff> 티저 비주얼 1탄 티저 비주얼 2탄
파일:TO BE HERO X 키비주얼_중국.jpg
파일:TO BE HERO X 키비주얼.jpg
<rowcolor=#000,#fff> 파일:중국 국기.svg 키 비주얼 파일:일본 국기.svg 키 비주얼

2.3. 스태프 코멘트

음악
사와노 히로유키
이번 'TO BE HERO X'에 참여하게 되어서 영광입니다. 작품의 열량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음악을 제작해 나갈 수 있도록 저 자신도 즐기면서 작업해보겠습니다.
(대표작: 진격의 거인, 길티 크라운, 갑철성의 카바네리)

||<table 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ff4040><bgcolor=#f3f3f3,#010101><-2> MUSIC ||
{{{#!wiki style="min-width: 150px;"
OP
사와노 히로유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코멘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사와노 히로유키 - TBHX 오프닝 테마 코멘트.jpg

이번에 SawanoHiroyuki[nZk]로서 'TO BE HERO X'의 오프닝 테마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공개된 영상에서 작품의 에너지를 느낄 수 있었고, 시청자의 한 사람으로서 방송이 기대됩니다. 이번에 보컬로 Newspeak의 Rei가 참여함으로써 곡의 사운드에 필요했던 그루브와 기세를 더욱 강력하고 감성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INERTIA'라는 곡이 'TO BE HERO X'의 이야기와 세계관에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Rei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코멘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파일:Rei - TBHX 오프닝 테마 코멘트.jpg

이번에 SawanoHiroyuki[nZk] 프로젝트의 게스트 보컬로 발탁되어 진심으로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처음 듣는 순간, 혼돈 속에 감춰진 신념을 풀어내는 듯한 “INERTIA”라는 강력한 곡에 마음이 흔들렸습니다. 녹음 부스에 서서 느낀 것을 그대로 노래로 표현하니, 사와노 씨의 곡과 파장이 딱 맞아떨어진 듯 녹음이 순조롭게 진행되었습니다. 그 파동을 그대로 음원에 담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정말 즐거운 하루였습니다. 미스터리하고 중독성이 있으면서도 주인공에게 순식간에 감정 이입할 수 있는 'INERTIA'라는 곡이 애니메이션과 함께 많은 분들의 마음을 울릴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 {{{#!wiki style="min-width: 150px;"
ED
SennaRin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코멘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파일:SennaRin - TBHX 엔딩 테마 코멘트.jpg

어릴 적부터 공주보다 영웅을 동경했던 저에게 'TO BE HERO X'는 꿈같은 작품이고, 엔딩 테마를 맡게 되어서 행복합니다. 그리고 엔딩 영상의 멋스러움에 소름이 돋았습니다. 'KONTINUUM'이 여러분들이 작품을 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요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table 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ff4040><bgcolor=#f3f3f3,#010101><-2> CAST ||

3. 줄거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5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00 0% 20%, #ff4040 20% 80%, #79d91600 80% 100%); color: #fff;"

이색적인 영웅들이 박수갈채를 받는 세상.
― 공식 줄거리 ―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O BE HERO X/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O BE HERO X/등장인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5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00 0% 15%, #ff4040 15% 85%, #79d91600 85% 100%); color: #fff;"]]

파일:TBHX 등장인물 - X 아이콘.png
파일:TBHX 등장인물 - 퀸 아이콘.png
파일:TBHX 등장인물 - 묵살 아이콘.png
파일:TBHX 등장인물 - 조니 아이콘.png
[[TO BE HERO X/등장인물#엑스|
X
]]


[[일본|]][[틀:국기|]][[틀:국기|]] 미야노 마모루

[[중국|]][[틀:국기|]][[틀:국기|]] 위초

[[미국|]][[틀:국기|]][[틀:국기|]] ???
[[TO BE HERO X/등장인물#퀸|
]]


[[일본|]][[틀:국기|]][[틀:국기|]] 하나자와 카나

[[중국|]][[틀:국기|]][[틀:국기|]] 류샤오위

[[미국|]][[틀:국기|]][[틀:국기|]] ???
[[TO BE HERO X/등장인물#양룡|
양룡
]]


[[일본|]][[틀:국기|]][[틀:국기|]] 우치야마 코우키

[[중국|]][[틀:국기|]][[틀:국기|]] 진장태강

[[미국|]][[틀:국기|]][[틀:국기|]] ???
[[TO BE HERO X/등장인물#묵살|
묵살
]]


[[일본|]][[틀:국기|]][[틀:국기|]] 나카무라 유이치

[[중국|]][[틀:국기|]][[틀:국기|]] 창원타오

[[미국|]][[틀:국기|]][[틀:국기|]] ???
[[TO BE HERO X/등장인물#조니|
조니
]]


[[일본|]][[틀:국기|]][[틀:국기|]] 마츠오카 요시츠구

[[중국|]][[틀:국기|]][[틀:국기|]] 진리

[[미국|]][[틀:국기|]][[틀:국기|]] ???
파일:TBHX 등장인물 - 로리 아이콘.png
파일:TBHX 등장인물 - 럭키 시안 아이콘.png
파일:TBHX 등장인물 - 토라 아이콘.png
파일:TBHX 등장인물 - 혼전 아이콘.png
파일:TBHX 등장인물 - 나이스 아이콘.png
[[TO BE HERO X/등장인물#로리|
로리
]]


[[일본|]][[틀:국기|]][[틀:국기|]] 사쿠라 아야네

[[중국|]][[틀:국기|]][[틀:국기|]] 첸천

[[미국|]][[틀:국기|]][[틀:국기|]] ???
[[TO BE HERO X/등장인물#럭키 시안|
럭키 시안
]]


[[일본|]][[틀:국기|]][[틀:국기|]] 미나세 이노리

[[중국|]][[틀:국기|]][[틀:국기|]] 자오솽

[[미국|]][[틀:국기|]][[틀:국기|]] ???
[[TO BE HERO X/등장인물#토라|
토라
]]


[[일본|]][[틀:국기|]][[틀:국기|]] 야마데라 코이치

[[중국|]][[틀:국기|]][[틀:국기|]] 장푸정

[[미국|]][[틀:국기|]][[틀:국기|]] ???
[[TO BE HERO X/등장인물#혼전|
혼전
]]


[[일본|]][[틀:국기|]][[틀:국기|]] 시마자키 노부나가

[[중국|]][[틀:국기|]][[틀:국기|]] 양카이치

[[미국|]][[틀:국기|]][[틀:국기|]] ???
[[TO BE HERO X/등장인물#나이스|
나이스
]]


[[일본|]][[틀:국기|]][[틀:국기|]] 하나에 나츠키

[[중국|]][[틀:국기|]][[틀:국기|]] 구장산

[[미국|]][[틀:국기|]][[틀:국기|]] ???

5. 설정

5.1. 연합회

  • Mighty Glory
  • TREEMAN
  • FOMO

6. 음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O BE HERO X/음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O BE HERO X/음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5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00 0% 20%, #ff4040 20% 80%, #79d91600 80% 100%); color: #fff;"]]

Main Theme
JEOPARDY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노래 사와노 히로유키 (Vocal. Benjamin & mpi)
OP
INERTIA
ED
KONTINUUM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노래 SawanoHiroyuki[nZk]:Rei[5] 노래 SennaRin

7. 회차 목록

<rowcolor=#000,#fff> 회차 제목[6]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선공개: 2024.06.29.
선공개: 2024.07.04.
中/日:
2025.04.

7.1. 회차별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

  • 몇몇 WEB계 애니메이터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 다만 TO BE HEROINE에 참여한 애니메이터가 이번 작품에도 참여하는지는 미지수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10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00 0% 20%, #ff4040 20% 80%, #79d91600 80% 100%); color: #fff;"

제○○화

7.2. 회차별 줄거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6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00 0% 20%, #ff4040 20% 80%, #79d91600 80% 100%); color: #ff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제목)

(회차 줄거리)

8. 방송국 일람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4040><table bgcolor=#ffffff,#191919><bgcolor=#f3f3f3,#010101><-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5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00 0% 20%, #ff4040 20% 80%, #79d91600 80% 100%); color: #fff;"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8%;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중국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rowcolor=#000,#fff> 방영기간 방영시각 방송국 방송지역 비고
20○○. ○○. ○○. ~ 20○○. ○○. ○○.
20○○. ○○. ○○. ~ 20○○. ○○. ○○.
(요일) / 00:00
(요일) / 00:00
파일:방송국 로고.svg 제작 국가 ○○ 지역 최속 방송국
파일:방송국 로고.svg 제작 국가 ○○ 지역
}}}}}}}}}
일본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f3f3f3,#010101><rowcolor=#000,#fff><width=1000> 방영기간 ||<width=15%> 방영시각 ||<width=15%> 방송국 ||<width=30%> 방송지역 ||<width=10%> 비고 ||
20○○. ○○. ○○. ~ 20○○. ○○. ○○.
20○○. ○○. ○○. ~ 20○○. ○○. ○○.
(요일) / 00:00
(요일) / 00:00
파일:방송국 로고.svg 제작 국가 ○○ 지역 최속 방송국
파일:방송국 로고.svg 제작 국가 ○○ 지역
}}} ||

9. 해외 공개

9.1. 미국

<rowcolor=#000,#fff> 파일:미국 국기.svg 컨셉 PV 파일:미국 국기.svg 티저 PV
  • 크런치롤이 직접 서영권 수입 및 배급을 진행하며 미국을 포함한 서양권에서 스트리밍이 될 예정이다. 또한 자체적으로 영어 더빙도 함께 공개 예정이다.

9.2. 대한민국

10.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FFFFFF><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Filmarks 로고.svg ||
별점 X.X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bordercolor=#2f51a2><bgcolor=#2f51a2> 파일:MyAnimeList 로고 화이트.svg ||
평점 X.XX / 10.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X.X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X.X / 5.0

10.1. 방영 전

컨셉 PV에서 2D와 3D 세계를 자유자제로 이동하는 모습이 전작인 현실과 이세계를 왔다갔다하는 TO BE HEROINE과 컨셉이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광대리인 -Link Click-, 천관사복, 운명권대 등의 애니메이션으로 각본, 연출 실력을 보여준 감독인 리하오링이 이번작에서도 감독을 맡으며 연출, 스토리에 대한 기대가 크며 컨셉 PV 액션신 등에서 높은 작화력으로 큰 기대를 받고 있다. 전작 TO BE HEROINE처럼 WEB계 애니메이터 몇 명이 참가 의사를 밝히고 있다. TO BE HEROINE으로 데뷔했던 WEB계 애니메이터 Hero, GEM, Tilfinning, spike, Mitchell Gonzales, Chris, 슈퍼 마메진 등이 다시 모일지도 주목해볼만 하다.

3D 그래픽에서는 리그 오브 레전드 애니메이션인 아케인과 비슷하다는 평가가 많다. 실제로 3D 감독인 왕펑빈(王丰彬)이 아케인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한 이력이 있다.

공개된 성우진은 일본 중국을 가리지 않고 모두 유명하고 실력있는 성우들로 구성되어 기대감을 높였다. 중국어 성우는 위초, 진장태강, 첸천, 자오솽, 류샤오위 등이[7], 일본어 성우는 미야노 마모루, 하나자와 카나, 우치야마 코우키, 나카무라 유이치, 마츠오카 요시츠구, 사쿠라 아야네, 미나세 이노리, 야마데라 코이치, 시마자키 노부나가, 하나에 나츠키 가 캐스팅 되었다.

선공개 된 오프닝 애니메이션에서부터 압도적인 퀄리티의 영상미를 자랑한다. 오프닝 애니메이션은 특수 연출로 뛰어난 애니메이터 히라오카 마사노부가 제작하였다.

다만 일본 편성 시간에 의문을 품는 사람들이 많다. 심야 애니메이션 시간대가 아닌 주로 아동용이나 소년만화 애니메이션이 방영되는 시간대로 편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또 중국 편성 시간은 또 심야 애니메이션 시간대이다.

10.2. 방영 후

선행상영회로 1화를 보고 온 후기로는 일상, 액션 가릴 것 없이 연출, 작화가 매우 좋다고 하며 스토리 기대감도 높여주는 에피소드라는 평가다.

11. 둘러보기

파일:To Be Hero 로고.svg
{{{#!folding [ 펼치기 · 접기 ]<rowcolor=#de0000,#e5e5e5> TO BE HERO
(2016)
TO BE HEROINE
(2018)
TO BE HERO X
(2025)
일본 & 중국 공동합작 애니메이션 시리즈
}}} ||

12. 외부 링크

13. 기타

  • 전 작인 TO BE HEROINETO BE HERO와 같은 세계관이었으나 이번 시리즈는 세계관을 공유할지 알 수가 없다. 아니면 조금 먼 미래라는 추측들도 나오고 있다.
  • 2023년 미국 Anime Expo에서 영어 더빙 버전 컨셉 PV를 공개해 영어 더빙도 확정되었다. 영어 더빙은 TO BE HERO 시리즈 최초이다.
  • 일반적인 TV 시리즈의 화면비인 16:9가 아닌 시네마스코프 비율인 2.39:1 비율로 제작한다. 리하오링 최근 감독작 대부분이 시네마스코프 비율로 제작한다.
  • 럭키 시안 스페셜 비주얼이 공개되었다.
    파일:TO BE HERO X 티저비주얼 럭키 시안.png
  • 할로윈 특별 일러스트를 공개했다.
    파일:TO BE HERO X 할로윈 특별.png
  • 빌리빌리 주관으로 전세계 동시 이벤트인 '히어로 연합 TOP 10' 인기 투표, 'PICK YOUR X' 캠페인이 개최되었다. 각 히어로별 투표수에 따라 숨겨진 이야기를 담은 개별 단편 애니메이션이나 한정판 디지털 컬렉션 세트 및 기타 이벤트용 맞춤 상품 등을 공개할 예정이다.#
    <colbgcolor=#f3f3f3,#010101><colcolor=#000,#fff> 나이스 편 신규 PV 1500k 달성

    혼전 편 신규 PV 1900k

    한정판 디지털 컬렉션 세트 2250k

    토라 편 신규 PV 2600k

    럭키 시안 편 신규 PV 2950k

    로리 편 신규 PV 3300k

    이벤트용 맞춤 상품 3650k

    조니 편 신규 PV 4000k

    묵살 편 신규 PV 4350k

    양룡 편 신규 PV 4700k

    TOP 1 히어호 한정판 디지털 컬렉션 5050k

    기준: 2024년 12월 25일

[1] 종이비행기 애니메이션(纸飞机动画) 대표로 아케인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한 이력이 있다.[2] 후지테레비애니플렉스의 공동 제작 애니메이션 편성 시간대가 될 예정이다.#[3] 시리즈라 해도 실제로 스토리가 이어진다거나 하는건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별개의 애니메이션으로 봐도 무방하다.[4] 이전에는 원피스(애니메이션) 편성 시간이었다. 이제 해당 시간대는 후지 테레비애니플렉스의 공동 제작 애니메이션 편성 시간대가 될 예정이며 # TO BE HERO X가 그 첫번째 방영작이다.[5] 주식회사 차세대 소속의 그룹 Newspeak의 보컬이다.[6] 국내에서는 정식 방영이 이뤄지지 않는 작품이므로 한국어 제목 번역은 임의로 서술되었다.[7] 대부분 729 보이스 스튜디오변강 스튜디오 출신 성우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