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5 17:30:11

스케일 AI

Scale AI에서 넘어옴
<colbgcolor=#000><colcolor=#fff> 스케일 AI
Scale AI, Inc.
파일:Scale AI 로고.png
설립 2016년 6월 ([age(2016-06-01)]년차)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창업자 알렉산더 왕, 루시 궈
최대주주 메타 플랫폼즈 (49%)
경영진
CEO
제이슨 드로게 (2025년~ )
거래소 비상장 기업
기업가치 290억 달러 (2025년 6월)
고용 인원 약 900명 (2024년)
본사 소재지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외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역사3. 여담

1. 개요

미국인공지능 스타트업. API 형태로 고객사에게 모델 학습을 위한 라벨링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1]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사[2]생성형 인공지능 개발사[3]들이 주요 고객사다.

2. 역사

2016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알렉산더 왕은 기숙사에서 거주하던 당시 룸메이트가 본인의 음식을 훔쳐먹는 것으로 의심되자, 냉장고에 카메라를 설치한 뒤 알림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하지만 자동화에 어려움을 겪은 뒤 세부 라벨링의 중요성을 느낀 상황에서 기본적인 아이디어가 창안되었다. 이후에도 인공지능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데이터 병목이 또 다른 문제점이라는 것을 깨달은 뒤에는 1학년을 마친 뒤 6월 여름방학 중 학부 과정을 중퇴하고 루시 구오와 함께 스케일 AI를 설립했다.[4]

창업 직후 Y Combinator 프로그램에 참여해 환자와 의사를 연결시켜주는 챗봇을 만들었으나, 고품질 데이터의 부재로 인해 성능 향상에 어려움을 겪자, API를 통해 직접 학습용 데이터 라벨링 사업을 벌이기로 결정한 뒤 프로그램을 졸업하며 초기 자금을 유치하고 자율주행 자동차 기업을 상대로 데이터 라벨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후에는 모델 구축에 필요한 고품질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하여 응용 분야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수십만 명의 글로벌 계약직 주석자(worker)를 활용하고, 이들의 작업을 자동화 도구와 병행하여 제공하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2017년 자사 아웃소싱 전용 에이전시인 리모테스크를 설립했다. 이를 통해 평균 임금이 낮은 아프리카동남아시아, 라틴아메리카 등지에서 수십만명의 데이터 라벨러들을 모집한 뒤 수작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2018년 공동창업자 루시 구오가 퇴사했다.

2019년 8월에 진행된 시리즈 B 라운드에서 피터 틸의 파운더스 펀드의 리드 투자를 통해 1억 달러 자금을 조달하면서 유니콘 기업에 등극했다.

2021년 7월, 73억 달러 기업가치로 자금을 조달했다.[5]

2022년 1월 미국 국방부와 2억 4,9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군용 생성형 인공지능의 테스트와 평가를 협업할 예정이다.

2022년 3월 Plaid 창업자인 윌리엄 하키가 이사회에 합류했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2022년 하반기 TikTok과 계약이 임박했으나, 미중 패권 다툼이 심화됨에 따라 안보 문제로 인해 무산되었다.

2023년 8월 OpenAIGPT-3.5 파인튜닝을 위한 우선 파트너로 선정되었다.##

2024년 3월 130억 달러 기업가치로 자금을 조달했다.

2024년 5월 시리즈 F에서 138억 달러 기업가치로 10억 달러를 조달했다.

2025년 6월 12일 메타 플랫폼즈가 290억 달러 기업가치로 143억 달러를 투자해 지분 49%를 인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알렉산더 왕은 메타의 신설된 최고AI책임자(CAIO) 직책으로 떠나게 됨에 따라 제이슨 드로게가 신임 CEO가 되었다.

3. 여담

  • 아마존닷컴도 라벨링이 가능한 설문 아웃소싱 소셜 서비스인 M-Turk 플랫폼을 갖추고 있다. 이미지넷이 이곳을 통해 라벨링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했다. 다만 저조한 퀄리티로 인해 스케일 AI만큼의 주목을 받고 있진 못하다.

[1] 고객사가 데이터를 제공하면 스케일 AI가 각종 툴 등 특화된 자사 파이프라인을 통해 데이터 라벨링을 도와준 뒤 API 형태로 제공하는 형태다.[2] 제너럴 모터스, 웨이모, Uber, 도요타 등.[3] OpenAI, Microsoft, Meta, 핀터레스트, 코히어 등.[4] 두 사람은 2015년 Quora에서 함께 근무하며 인연을 맺었다. 알렉산더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루시는 디자이너로 근무했다.[5] 해당 라운드를 통해 창업자 알렉산더 왕은 만 24세의 나이로 세계 최연소 억만장자가 되었다. 당시 지분의 약 15%를 보유하고 있었다고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