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3 17:48:11

KFC 파트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체인점 아르바이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에버랜드 로고.svg 파일:롯데월드 어드벤처 로고.svg 파일:한국민속촌 로고(상하).svg
에버랜드 캐스트 롯데월드 캐스트 한국민속촌 아르바이트
파일:CGV 로고.svg 파일:롯데시네마 로고.svg 파일:메가박스 로고.svg
CGV 미소지기 롯데시네마 드리미 메가박스 크루
파일:맥도날드 로고.svg 파일:롯데리아 로고.svg 파일:버거킹 로고.svg
맥도날드 크루 롯데리아 메이트 버거킹 크루
파일:올리브영 로고.svg 파일:스타벅스 로고.svg 파일:쿠팡 로고.svg
올리브영 메이트 스타벅스 파트너 쿠팡 아르바이트
파일:맘스터치 로고.svg
맘스터치 맘스비
}}}}}}}}} ||


1. 개요2. 급여3. 하는 일
3.1. 카운터3.2. 빽3.3. 주방

1. 개요

패스트푸드 체인점인 KFC아르바이트. KFC 내에서의 정식 명칭은 파트너이다. 매장 내 서비스를 맡는 단기고용직을 뜻한다.

한국에서는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중에서 업무 강도가 제일 강하기로 악명이 높다. 2014년 한국 KFC가 사모펀드에 완전히 매각된 이후 더 심해졌는데, 사모펀드 완전 매각 이후 계속되는 경영 악화 등의 문제로 인하여 다른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아르바이트들과 달리 인력을 매우 적게 쓰는 편이다.[1]

2. 급여

보통 현재 최저임금에 맞춰지는 경우가 많다.

3. 하는 일

KFC 내 서비스를 담당하며, 카운터, 빽, 주방으로 나뉜다.

3.1. 카운터

현재 KFC 영업점 대부분에선 키오스크가 설치되었기 때문에 주로 음식을 포장 또는 전달을 한다. 배달의 경우 음료 또한 용기에 담아 포장을 한다. 홀 관리도 보통 카운터가 맡는다.

3.2.

주로 감자튀김을 비롯해서 몇몇 사이드 메뉴를 제조하거나 햄버거 제조를 해 카운터로 전달한다. 처음 빽으로 들어가면 감자튀김 및 사이드 메뉴를 만드는 법을 배우고 이후 햄버거 만드는 법을 배우게 된다.

3.3. 주방

주로 징거버거 패티(가슴살, 다릿살) 제조를 비롯해 KFC 대표 치킨들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한다.


[1] 특히 2023년 7월 1일부터 밤 9시~10시에 고작 1시간 동안만 진행되는 치킨나이트 시간대의 경우 한가한 매장에도 불지옥이 펼쳐지는데, KFC의 열악한 근무 환경은 디시인사이드의 KFC 마이너 갤러리를 조금만 깊게 탐방해봐도 알 수 있다. 맥도날드 크루도 업무 강도가 강하기로 유명하지만 직영점은 그나마 사람을 많이 뽑는 편이고, 써브웨이 아르바이트도 의외로 업무 강도가 강하기로 유명한데 업무 강도는 맥도날드 크루(직영점 한정)~KFC 파트너의 중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