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01:08:13

IA-C01: 이페메라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 보스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0px"
<colcolor=#ffffff> 챕터 1
밀항 AH12: HC 헬리콥터
테스터 AC 격파 다펑 파일럿 훈련생 / 테스터 AC
다목적댐 습격 인덱스 더넘 / 번 피칵스
다목적댐 습격 ALT + G4 볼타 / 캐논 헤드+ ·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무장 채굴함 파괴 EB-0309 스트라이더
월벽 HA-T-102 저거노트
전투 로그 회수 리틀 쯔이 / 유에 유
포로 구출 + G2 나일 / 딥 다운+
강제 감사 방해 ++ PCA 특무이등상사 / AAS03: 엑드로모이++ · PCA 특무준위 / AAS03: 엑드로모이++ · PCA 특무중위 / AAS02: 카타프락토이++
워치 포인트 습격 술라 / 엔탱글
AAP07: 발테우스
챕터 2
그리드 086 잠입 인빈시블 러미 / 매드 스텀프
노자크 / 비터 프로미스
EC-0804 스마트 클리너
기밀 정보 누설 저지 +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도해 IA-13: 씨 스파이더
챕터 3
관측 데이터 탈취 AS07: 헤비 워십
연료 기지 습격 PCA 특무소위 / AAS03: 엑드로모이 · PCA 특무일등상사 / AAS03: 엑드로모이
베스퍼 7 제거 V.VII 스윈번 / 가이던스
로쿠몬센 / 시노비
신형 기체 노획 저지 + PCA 집행소위 / AA22: 헤비 카발리+ · PCA 집행일등상사 / AA18: 라이트 카발리+ · PCA 집행이등상사 / AA18: 라이트 카발리+
무인 해상 도시 조사 AH12: HC 헬리콥터
무인 해상 도시 조사 ALT ++ 섬 돌마얀 / 아스트힉++
집행 부대 섬멸 링 프레디 / 캔들 링
PCA 집행준위 / AA22: 헤비 카발리
특무 기체 격파 PCA 특무대위 / AAS02: 카타프락토이
구 우주 공항 습격 PCA 집행대위 / AA22: 헤비 카발리 · PCA 집행중위 / AA18: 라이트 카발리
어니스트 브루트 제거 어니스트 브루트 / 밀크 투스
구 우주 공항 방어 레이븐 / 나이트폴
다목적댐 방어 + 샤르트뢰즈 / 엄버 옥스+ · / 애스터 크라운+ · 레이븐 / 나이트폴+
아이스 웜 격파 IA-02: 아이스 웜
챕터 4
지층 탐사 - 심도 1 AB08: 네펜테스
지층 탐사 - 심도 2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AAP03: 인포서
지층 탐사 - 심도 2 ALT + 콜드콜 / 데드슬레드+
AAP03: 인포서
지층 탐사 - 심도 3 IA-C01: 이페메라
레드 건 부대 요격 G1 미시간 / 라이거 테일
베스퍼 부대 급습 V.V 호킨스 / 리콘피그 · V.VIII 페이터 / 듀얼 네이쳐
베스퍼 3 제거 ++ V.III 오키프 / 배런 플라워++
미답 영역 조사 V.IV 러스티 / 스틸 헤이즈
미답 영역 조사 ALT + V.IV 러스티 / 스틸 헤이즈 · 미들 플랫웰 / 츠바사+
집적 코랄 도달 V.VI 마테를링크 / 인펙션 · G3 우 화하이 / 리 롱
IB-01: CEL 240
집적 코랄 도달 ALT ++ V.VI 마테를링크 / 인펙션 · G3 우 화하이 / 리 롱
V.II 스네일 / 오픈 페이스++ ·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챕터 5
레이븐의 불
기업 세력 요격 아르카부스 주력 부대원 / AA22: 헤비 카발리
V.I 프로이트 / 록스미스
카르만선 돌파 러스티 / 스틸 헤이즈 오르투스
봉쇄 위성 제지 [[에어(아머드 코어 시리즈)|{{{#!wiki style="letter-spacing: -1px"
루비콘의 해방자
신더 칼라 제거 V.II 스네일 / 오픈 페이스
신더 칼라 / 풀 코스 · 채티 스틱 / 서커스
동력 블록 파괴 EC-0804 스마트 클리너
V.II 스네일 / AAP07A: 아르카부스 발테우스
자일렘 격추 [[핸들러 월터|{{{#!wiki style="letter-spacing: -1px"
주사위는 던져졌다
실종 ++ G6 레드 / 허밋++
V.III 페이터 / AA18: 라이트 카발리++
자일렘 제어 수정 ++ 자일렘 올 블록 프로세스++
코랄 릴리즈 ++ [[올 마인드|{{{#!wiki style="letter-spacing: -1px"
+: 2회차 이상부터 조우 가능한 보스.
++ : 3회차 이상부터 조우 가능한 보스.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IA-C01: 이페메라
IA-C01: EPHEMERA
파일:AC_Data_icon_ACVI_Preset_51-015_GA_INSTITUTE.webp
등장 미션 지층 탐사 - 심도 3
소속 행성 봉쇄 기구

1. 개요2. 보스전3. 풀 프레임
3.1. AC 기술연구소
4. 기타

[clearfix]

1. 개요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의 등장 병기이자 챕터 4의 보스.

기술연구소무인 AC형 C병기로, 행성 봉쇄 기구가 워치 포인트 알파의 지하 진입을 막기 위해 설치해둔 레이저 장벽을 걷기 위해 반응로를 터트리고 나가려고 할 때, 봉쇄 기구의 프로토콜에 의해 기동해서 주인공을 가로막는다.[1]

2. 보스전

고기동 AC 컨셉의 보스로, 빠르게 날아다니면서 월광검과 플라즈마 라이플로 공격한다. 다른 AC전과 마찬가지로 리페어 키트를 사용하며, 코어 확장으로는 터미널 아머를 장비했다.

실시간으로 자폭 중인 지하시설이 배경이라 2분의 시간제한이 있다. 이리저리 날아다녀서 가뜩이나 귀찮은데, 리페어 키트와 터미널 아머로 시간을 끈다. 또한 클리어하고 나서도 문을 액세스해서 열고 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문을 열고 클리어 포인트까지 이동하는데 길게 잡아 30초쯤 소모되므로 1분 30초 안에 컷해야 다 이겨놓고 폭사할 걱정 없이 클리어가 가능하다.

시간 제한이 있는 만큼 특히나 DPS이나 순간화력을 높은 무기가 유용하다. 특히 이페메라는 경량기라 AP가 낮으며 특히 내탄 방어가 낮기 때문에 쌍개틀링이 유용하다.

3. 풀 프레임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의 AC 프레임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0px"
[[발람 인더스트리|
파일:ACVI 발람 로고.png

발람 인더스트리]]
[[발람 인더스트리#s-3.1|
파일:ACVI 다펑 로고.png

다펑 핵심 공업 집단]]
[[아르카부스 코퍼레이션|
파일:ACVI 아르카부스 로고.png

아르카부스
코퍼레이션
]]
[[슈나이더(아머드 코어 시리즈)|
파일:ACVI 슈나이더 로고.png

슈나이더]]
[[아르카부스 코퍼레이션#s-3|
파일:ACVI 아르카부스 선진개발국.png

아르카부스
선진개발국
]]
MELANDER
VERRILL
MELANDER C3
TIAN-QIANG VP-4XS
VP-4XD
NACHTREIHER
KASUAR
LAMMERGEIER
VE-4XA
VE-4XB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등장인물 및 세력#s-3.2|
파일:ACVI BAWS 로고.png

BAWS]]
[[RaD(아머드 코어 시리즈)|
파일:ACVI RaD 로고.png

RaD]]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등장인물 및 세력#s-3.3|
파일:ACVI 엘카노 로고.png

엘카노 파운드리]]
[[올 마인드|
파일:ACVI 올 마인드 로고.png

올 마인드]]
[[루비콘 조사기술연구소|
파일:ACVI 루비콘 조사기술연구소 로고.png

루비콘
조사기술연구소
]]
BASHO XC-2000
WRECKER
XS-5000
FIRMEZA
ALBA
MIND ALPHA
MIND GAMMA
IA-C01: EPHEMERA
IB-C03: HAL 826
}}}}}}}}}}}} ||

파일:1704182214_ephe.png
풀 스펙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타입 - 준경량 2각
내장 기준 (최저 중량 및 부하)
부스터 - BST-G1/P10
제네레이터 - JOSO
FCS - FCS-G1/P01
내장 부품 중량 4800 내장 부품 부하 388
방어 성능
총 AP - 9880
내탄 방어 1011 내EN 방어 1186
내폭 방어 1144 자세 안정성능 1638
적재 및 무게
총 중량[중량기준] - 45430
안정 회복 보정 - 134
적재 상한 55050 적재 합계[중량기준] 30230
남은 적재량 - 24820 / (45.09%)
복원 성능 및 스캔
시스템 복원 성능 - 132
스캔 거리 - 550m
스캔 지속 시간 4.8s 스캔 대기 시간 6s
코어 출력 및 공급
EN 부하 합계[부하기준] - 1295
부스터 효율 보정 - 101
출력 보정 126 공급 보정 96
전투 및 기동관련
팔 적재 상한 - 12680
반동 제어 108 조준 추적 성능 90
사격 적성 104 근접 적성 106
수평 도약 144 수직 도약 27
}}} ||

분류는 준경량기에 속한다. 전체적으로 EN 속성 무기에 특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머리의 경우 중량이 준경량 주제에 4000이 넘어갈 정도로 무겁고, 부하도 200 이상 먹는 괴물이지만 안정성, AP, 내EN, 내폭 방어력이 골고루 높아 부하만 널널하다면 껴볼 만 하다. 상위 티어의 자세 안정 성능을 가진 머리들과 비교하자면, 방어력도 높게 가지고 있어 방어력 보완에도 쓸 수 있단 것이 장점. 이 때문에 PVP에서 쌍짐머나 쌍LRB를 든 인파이팅 중량기가 안정성과 방어성능 확보를 위해 자주 채용하곤 한다.

코어의 경우 EN에 올인했다고 봐야 할 정도로 막강한 코어 출력을 자랑한다. 코어 출력이 모든 코어 중 최상위급에 속하기 때문에 무식한 에너지 무기도 해당 코어를 사용하면 손쉽게 부착이 가능할 정도. 그러나 그 대가로 중량값이 경량보다 무거우며, 출력 대비 부스터나 공급 보정값이 낮다보니 기동성 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다. EN 방어가 뛰어난 건 덤.

완부의 경우 반동제어나 사격, 근접 적성 모두 100 이상의 값을 보여줘 높은 출력값을 자랑하지만 특출난 장점이 없을 뿐더러 딱 100 내외 수준에 머무는지라 효용성은 떨어진다. 각부도 마찬가지로 수평 및 수직 속성이 높은 편이지만 이 자체로만 보면 특출난 장점은 없다. 그러나 중량까지 고려할 경우 각부류와 완부류는 전 파츠중 가장 뛰어난 중량대비 성능을 보여준다.

전체적인 평가로는 EN 전용 풀 프레임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모든 신체 파츠가 EN 출력에 올인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모든 부위가 고부하를 자랑한다.[5] 거기에 적재 상한도 경량기와 비교해서 더 높은지라 고부하 EN 무장을 아낌없이 낄 수 있다. 때문에 EN병기를 많이 사용하는 보스전일수록 빛나는 성향이 있다. 대신 반대 급부로 내탄 방어가 많이 떨어져 EN병기가 적은 초반 미션에선 그다지 좋지 않고, PVP 역시 샷건 같은 근접 실탄 세팅에 취약한 면모를 보이는 편.

풀 프레임 부하값은 높지만, 출력값이 최상위급인지라 상술하듯 하이엔드의 EN 무장을 세팅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때문에 출력을 대가로 다른 적성을 미친듯이 높이는 제네와 상성이 매우 좋아서 좀 더 극단적인 빌드를 짜는 데 좋다.

예시로 VE-20B 제네가 있다. 출력값이 매우 낮은 대신 최고치의 EN 무장 적성을 가지는 제네레이터로, 이페메라 코어와 조합할 경우, 조합만 잘 하면 해당 제네로도 EN 무장으로 떡칠을 해줄 수가 있는데 덥배 한 자루도 소화가 가능할 정도. 대신 그만큼 부하값이 심해지기 때문에 내장에서 어느정도 합의점을 봐야 한다. 어차피 공급 성능이 딸리기 때문에 경량기의 기동성만 믿고 최대한 EN 출력을 쥐어짜주는 게 관건.

반대로 극단적인 기동성을 가진 링타이 제네도 어느 정도 실전(?)성을 보일 수 있는 어셈이기도 하다. 이쪽은 출력을 대가로 공급에 올인한 제네레이터로 공급통 자체는 최하급 제네인 JOSO보다도 낮지만 압도적인 충전 성능 및 복원 성능에 올인한 제네레이터다. 문제는 기동성에 올인한 제네 치고 출력/공급 둘 다 최하급이라 어지간한 출력값으로는 택도 없다는 것이 문제. 그나마 링타이의 장점이 복원 성능임에도 출력값을 한계까지 쥐어짜버리면 사실상 밍탕 공급 성능이랑 똑같아져버리기 때문에 비슷한 고출력 경량기인 FIRMEZA로도 기동성을 뽑아내기 어려운 제네다. 그러나 이페메라는 어느 정도 최상위 출력값으로 이런 저출력값을 보충해줄 수 있어서 저부하 무장을 잘 조합하면 실전성도 어느 정도 갖추는 무장 체계를 이룰 수가 있다.

대신 두 케이스를 보듯이 제네를 제외한 내장은 어느 정도 타협을 봐야 할 뿐더러 그리 좋지 않은 근접 적성 때문에 근접 무기는 추천되지 않는다. 경량기의 빠른 속도를 확보하면서 저부하인 그리드워커나 플루겔이 부스터로서 추천되며, FCS는 어지간해서는 중거리 온리면서 저부하인 P05가 추천된다.

3.1. AC 기술연구소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 분석 아레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0px"
등급 α
[[51-001 K|{{{#!wiki style="letter-spacing: -1.5px"]] [[51-011 AL|{{{#!wiki style="letter-spacing: -1.5px"]] [[다펑 파일럿 훈련생|{{{#!wiki style="letter-spacing: -1.5px"]]
등급 β
[[케이트 마크슨|{{{#!wiki style="letter-spacing: -1.5px"]] [[51-013 BE|{{{#!wiki style="letter-spacing: -1.5px"]] [[51-014 BE|{{{#!wiki style="letter-spacing: -1.5px"]]
등급 γ
[[51-003 K|{{{#!wiki style="letter-spacing: -1.5px"]] [[51-015 GA|{{{#!wiki style="letter-spacing: -1.5px"]] [[레이븐(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wiki style="letter-spacing: -1.5px"]]
등급 δ
[[V.IV 러스티#s-5|{{{#!wiki style="letter-spacing: -1.5px"]] [[IB-C03: HAL 826|{{{#!wiki style="letter-spacing: -1.5px"]] [[에어(아머드 코어 시리즈)#s-3|{{{#!wiki style="letter-spacing: -1.5px"]]
}}}}}}}}}}}} ||

파일:211354.png
기술연구소
技研 | INSTITUTE
머리 코어 완부 각부
IA-C01H: EPHEMERA IA-C01C: EPHEMERA IA-C01A: EPHEMERA IA-C01L: EPHEMERA
FCS 제네레이터 부스터
IA-C01F: OCELLUS IA-C01G: AORTA IA-C01B: GILLS
우측 팔 무장 좌측 팔 무장 우측 등 무장 좌측 등 무장
IA-C01W1: NEBULA IA-C01W2: MOONLIGHT IA-C01W3: AURORA IA-C01W3: AURORA
익스팬션
터미널 아머
인테그레이션 프로그램 제 3페이즈
루비콘 조사기술연구소는 코랄 연구의 총본산이었습니다.

그들이 만든 AC는 인간과 코랄의 생물학적 유사성에
착안점을 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C를 서로 다른 종이 상호보완하며 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사고방식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분석 아레나에서는 이름이 바뀌어 참전했다. 대응 기체는 AC 인스티튜드. 등급은 γ-2.

AC 이름이 기술연구소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전 부품을 기술연구소제로 떼운 기체이다. 내장 부품들 설명 역시 보면 인간이 모는 것이 아닌 무인기를 상정한 성능임을 알 수 있다.

무장셋은 여타 AI AC들 그렇듯이 실전용이 아닌 컨셉질이 메인이긴 하지만 의외로 PVE라면 그나마 상황에 따라 쓸만한 편. 등 무장인 광파 캐논의 경우 말이 캐논이지, 사실상 EN미사일과 유사한 기능을 하며 월광 역시 중거리 견제가 가능한 근접 무기란 점에서 의외로 활용성을 보이지만 그리 효율적이지는 않다.

우선 제네가 코랄 제네라서 고갈 시 일시적으로 바보가 되버리는 건 둘째치고 너프를 먹은 이후 AURORA 제네의 EN 적성값이 105밖에 안된다. 그런데 낀 무장들은 죄다 EN 적성값에 따라 효율이 달라지는 무장들이라서 제성능을 내기 어렵거니와, 네뷸라의 차지샷을 써야 제 값을 하고 월광 또한 사용 시 경직을 먹는 걸 생각한다면 공격할 때마다 틈이 자주 보일 수밖에 없는 빌드. 다만 중근접 화력은 강력하기 때문에 무턱대고 덤비기도 애매하다.

4. 기타

  • 월광검을 사용한다. 아머드 코어 6의 문라이트 블레이드는 기술연구소의 잔재를 봉쇄기구에서 끄집어내 이용하고 있었다는 내용인데 이 무인기 또한 봉쇄기구가 시설에 침입한 621을 한시빨리 처리하기 위해 파견한 기체라 할 수 있다.
  • AC인 만큼 모든 구성 파츠를 플레이어블 파츠로 습득 가능하며 동일한 세팅으로 만들 수도 있다. 설정상 개발 초기에는 유인 조종으로 개발하다가 완전 무인 방식으로 변환하는 바람에 유인 조종을 위한 잔재가 남아있다고 한다. 모든 파츠에 유인 운용을 고려하지 않은 무인기용 부품이라는 설명대로 성능이 극단적인 것이 특징이다. '유인 운용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표현은, 인간은 다룰 수 없다는 얘기가 아니라 인간이 다뤘을 경우 파일럿에게 생기는 문제들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그런고로 주인공처럼 오직 AC를 몰기 위한 목적으로 신경계를 최적화한 강화 인간이라면 어떻게든 다룰 수 있었을 것이며, 실체를 가지지 않은 존재라면 아예 문제점의 적용 밖이었을 것이다. 코어 부분의 '인간이 탑승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니다'라는 플레이버 텍스트가 있지만 원래 유인 조종용 기체였던 걸 감안하면 불편하긴 해도 아예 못탈 정도는 아닌 모양.
  • 이페메라의 파츠들은 본작에서 최고로 기괴하고 못생겼단 평가를 받는다. 유선형 구조를 채택하며 첨단 과학 이미지가 강한 아르카부스나 올 마인드 제품 이상으로 독특한 외견을 자랑하는데, 기계보다는 마치 생명체에 가까운 디자인이다. 헤드는 뒷통수가 길쭉하면서 비대하며 머리 위에 튀어나온 센서는 동물귀나 개구리의 눈을 떠올리게 만들고, 완부의 어깨 견갑에는 구슬 같은 점들이 박혀있어 보는 사람에 따라 징그럽게 느껴진다. 코어와 각부는 유선형 구조에다 호리호리하면서 골반은 넓어 인간 여성의 신체를 연상케 하며 코어의 가슴 부분이 튀어나와 있고[6] 등쪽에는 갓난아기 형상의 부스터 엔진이 달려있다.# 그러면서 발은 뾰족한 앞굽과 뒷꿈치 때문에 하이힐처럼 생겼다. 인테그레이션 프로그램의 설명을 보아 의도적으로 외계 생명체에 가까운 형태로 도안된 것으로 보인다. 거기에 여성성을 강조한 도안은 스토리에서 이 기체를 조종하는 누군가를 염두에 둔 도안으로 추정된다. 아무튼 매우 이질적이고 독특한 외견 때문에 다른 AC 부품들과 조합하면 지나치게 불협화음을 일으켜서 쓰기 꺼려지는데, 문제는 중량 대비 성능이 상당히 좋은 파츠들이 많아 성능 위주의 어셈블리를 만들 때 외형을 망가뜨리는 주범으로 악명이 높다.
  • 단어인 이페메라의 뜻은 일시적인 창조물이라는 뜻인데, 이는 하루살이의 학명인 Ephemeroptera으로도 사용된다.
  • 본 프레임 및 무장인 네뷸라, 오로라의 메카닉 디자인은 미야타케 카즈타카[7]가 담당했다.

[1] 기동하는 이페메라는 이때 처음 등장하지만, 잔해 상태의 이페메라는 구시대 데이터 회수 임무에 몇 기 등장한다.[중량기준] 세팅된 내장값인 4800을 제외한 순수 외장무게 기준.[중량기준] 세팅된 내장값인 4800을 제외한 순수 외장무게 기준.[부하기준] 최소 내장 부하값인 388을 제외한 순수 외장부하 기준.[5] 예시로 각부의 경우, 이보다 높은 2각 다리는 대부분 중량급이다.[6] 축쳐진 듯한 모양새인지라 국내 팬덤에서는 할매젖 코어라는 멸칭으로 불린다. 제네레이터 출력 보정 1위라는 성능에도 불구하고 외형 때문에 기피하는 사람이 많을 정도.[7] 성전사 단바인오라 배틀러, 초시공요새 마크로스데스트로이드 몬스터, 슈퍼로봇대전그룬거스트 등으로 알려진 메카닉 디자이너. 아머드 코어 시리즈에서는 fA에 참여하여 암즈포트 스티그로를 디자인했으며, 6에서는 본기 외에 풀 코스인포서도 디자인했다.